본문 바로가기

해외증시86

22.07.21 (목)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구글이 일시적 고용 중단을 발표하자 하락하기도 했지만, 넷플릭스: +7.36% 효과로 기술주 중심 강세가 이어지자 나스닥이 2% 가까이 상승하기도 했음. - 물론, 이탈리아 정치 불안으로 달러화가 강세 폭을 확대하자 매물이 출회되는 등 변화를 보임. - 그러나 ECB 회의를 앞두고 달러화 강세폭이 재차 축소되자 반도체, 소프트웨어,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폭 확대하며 마감. - 다우: +0.15%, 나스닥: +1.58%, S&P500: +0.59%, 러셀2000: +1.59% 특이종목 - 넷플릭스: +7.36% 양호한 실적 발표한 가운데 예상보다 적은 가입자 손실을 기록하자 상승. - 스트리밍 영업을 하고 있는 디즈니: +3.75%, 아마존: +3.86%, 애플: +1.35% 등도 .. 2022. 7. 21.
22.07.19 (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골드만삭스: +2.51% 등의 견고한 실적 발표와 이더리움 이슈에 의한 가상 자산 시장의 급등에 - 테슬라: +0.20%, 엔비디아: +2.15% 등 관련주 중심으로 상승하는 등 개별 요인에 힘입어 상승. - 그러나 오후 들어 애플: -2.06% 이 경기 침체 이슈와 고용과 지출을 줄일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자 관련주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되며 변동성이 확대된 가운데 하락 마감 - 다우: -0.69%, 나스닥: -0.81%, S&P500: -0.84%, 러셀2000: -0.34% 특이 종목 - 암호화폐 시장이 이더리움을 중심으로 급등하자 - 테슬라: +0.20%, 마이크로스트래티지: +5.44%, 코인베이스: +9.07%, 갤럭시 디지털: +19.54% 은 물론 - 엔비디아: +2.15.. 2022. 7. 19.
22.07.18 (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산업생산은 위축되었으나, 주목했던 소매판매와 소비심리가 개선되자 상승 출발. - 더불어 금융주와 헬스케어 기업들이 예상을 상회한 실적을 발표한 점도 강세 요인 - 이런 가운데 기대 인플레이션이 하향 조정되자 7월 FOMC 에서 100bp 인상 가능성이 약화된 점도 우호적인 영향. - 한편, 금융, 헬스케어, 반도체, 스트리밍, 자동차 업종이 상승을 주도한 반면, 태양광, 필수 소비재는 부진한 차별화도 특징. - 다우: +2.15%, 나스닥: +1.79%, S&P500 +1.92%, 러셀2000: +2.16% 특이 종목 - 씨티그룹: +13.23% 비록 자사주 매입 중단을 발표했으나 예상을 크게 상회한 실적을 발표하자 급등. - 전일 JP모건: +4.58% 등의 부진한 실적 발표로 위축.. 2022. 7. 18.
22.07.15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금융주가 대손충당금 증액 여파로 부진한 실적을 발표하자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2분기 실적 시즌에 대한 우려로 2% 대 하락하기도 했음. - 더불어 전일 부각된 7월 FOMC 에서 100bp 인상 가능성도 영향 - 그러나 연준 위원들의 발언으로 관련 우려가 완화된 가운데 실적 시즌에 대한 기대가 부각된 반도체 업종 등의 영향으로 낙폭 축소되었으며, 나스닥은 상승 전환에 성공하는 등 변화폭은 확대 - 다우: -0.46%, 나스닥: +0.03%, S&P500: -0.30%, 러셀2000: -1.07% 특이종목 - JP모건: -3.49% 경기에 대한 우려 속 대손 충당금 증액으로 예상을 하회한 실적을 발표하자 하락. 특히 자사주 매입을 일시적으로 중단한다고 발표한 여파로 낙폭이 확대 - 모건스.. 2022.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