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증시86

22.06.28 (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견고한 경제지표를 통해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자 상승 출발했으나, 최근 상승에 따른 차익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전환하는 등 뚜렷한 방향성 없이 보합권 등락을 보임. - 이 가운데 최근 낙폭이 컸던 에너지 업종의 강세가 뚜렷한 가운데 소프트웨어, 일부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되는 차별화가 진행. - 대체로 시장은 경기에 대한 자신감 속 잠시 쉬어가는 야상을 보이며 마감 - 다우: -0.20%, 나스닥: -0.72%, S&P500: -0.30%, 러셀2000: +0.34% 특이종목 - 아마존: -2.78% 7월에 있을 프라임데이 매출이 부진할 것이라는 전망이 부각되자 하락. 특히 리오프닝 온라인 매출 감소 가능성이 부각된 점도 영향. - 엣시: -3.55%, 이베이: -.. 2022. 6. 28.
22.06.27 (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최근 파월 연준 의장이 하반기 경기가 생각보다 더 강한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주장한 데 이어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가 '경기침체' 우려에 과도하게 반응을 보였다고 언급하자 그동안 시장의 변화를 이끌었던 '경기 침체' 우려가 완화되며 상승 - 더 나아가 소비심리지수 확정치에서 기대 인플레이션이 하향 조정된 점도 위험자산 선호심리를 더욱 자극하며 상승 확대 마감 - 다우: +2.68%, 나스닥: +3.34%, S&P500 +3.06%, 러셀2000: +3.16% 특이종목 - MS: +3.42%, 애플: +2.45%, 아마존: +3.58% 등 대형 기술주 견고한 실적에 기대 상승 지속 - 알파벳: +5.20%, 메타플랫폼; +7.19% 등 경기에 대한 기대로 광고 수익 증가 가능성이.. 2022. 6. 27.
22.06.24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부진한 경제지표를 소화하고 파월 연준 의장이 하원 청문회에서 경기 침체가 필연적이지 않다고 언급하자 상승이 확대되기도 했음. - 그렇지만 일부 연준 위원들이 공격적인 금리인상을 주장하자 매물이 출회되기 시작했으며, 경기에 대한 우려가 높은 가운데 금융, 에너지, 반도체, 산업재가 하락한 반면, 필수 소비재, 헬스케어 및 일부 대형 기술주가 강세를 보이는 등 업종 차별화가 진행 - 다우: +0.64%, 나스닥: +1.62%, S&P500 +0.95%, 러셀2000: +1.27% 특이종목 - 경기 침체 시기에도 견고한 실적이 예상되는 - MS: +2.26%, 애플: +2.16%, 아마존: +3.20% 은 강세 - 월마트: +2.43%, 코스트코: +3.27% 등 필수 소비재도 강세 - 클.. 2022. 6. 24.
22.06.23 (목)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경기 침체 이슈가 부각되며 1%대 하락 출발. - 그렇지만 파월 연준 의장의 의회 청문회가 진행되며 상승 전환에 성공 - 특히 과매도에 따른 저가 매수 심리가 높아진 가운데 파월 의장이 경기에 대해 긍정적인 언급을 한 점이 상승 요인. - 더 나아가 파월 이외의 연준 위원들의 발언도 긍정적인 영향. - 그러나 장 마감을 앞두고 여전히 경기에 대한 불안 심리는 지속돼 매물 소화 속 상승분 반납하며 하락 마감 - 다우: -0.15%, 나스닥: -0.15%, S&P500 -0.13%, 러셀2000: -0.22% 특이종목 - 애브비: +2.85% 만성 C형 간염 소아 환자를 위한 일부 옵션이 캐나다 보건부에서 승인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상승. - J&J: +1.58% 아웃퍼폼 의견으로 다이.. 2022. 6.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