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증시86 22.07.28 (목)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동향 - 부진한 실적을 발표한 MS: +6.69% 와 알파벳: +7.66%이 과도한 선반영과 핵심 사업인 클라우드 부문의 성장 기대에 힘입어 강세를 보이자 여타 기술주 및 반도체 업종 중심으로 상승 - 그런 가운데 연준이 FOMC 를 통해 75bp 금리인상을 단행했으나 많은 부분 반영이 되었다는 평가 속 상승 지속. - 여기에 파월 연준 의장이 향후 제한적인 금리인상을 할 수 있다며 덜 매파적인 발언을 하자 상승폭 확대 - 다우: +1.37%, 나스닥: +4.06%, S&P500: +2.62%, 러셀2000: +2.39% 특이 종목 - MS: +6.69%와 알파벳: +7.66% 부진한 실적 발표 불구 많은 부분 선반영이 되었다는 평가 속 클라우드 관련 성장 기대로 강세. - 이에 힘입어 아마존:.. 2022. 7. 28. 22.07.27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월마트: -7.60% 가 높은 인플레이션을 이유로 소비 행태가 변화했다며 향후 전망을 하향 조정하자 소비 관련 종목 중심으로 하락. - 더불어 전자 상거래 플랫폼 회사인 쇼피파이: -14.06% 의 구조조정 소식도 아마존: -5.23% 등 관련 종목 하락을 부추겨 전반적인 시장 하락을 야기. - 더 나아가 러시아의 천연가스 공급 감소에 따른 유로존 경기 침체 우려가 부각되며 달러화가 강세를 보인 점도 기술주 중심 매물 출회 요인. - 다우: -0.71%, 나스닥: -1.87%, S&P500: -1.15%, 러셀2000: -0.69% 특이 종목 - 월마트: -7.60%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소비 행태가 변화하며 실적이 부진할 것이라며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하자 하락. - 타겟: -3.61%.. 2022. 7. 27. 22.07.26 (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부진한 경제지표로 인해 경기 침체 우려가 부각되며 하락. - 특히 장 초반 가즈프롬이 천연가스 공급을 축소한다고 발표하자 하락폭이 확대. - 이런 가운데 일부 투자회사들이 반도체 업황에 대한 우려를 표하며 반도체 업종이 하락을 주도한 가운데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 - 그러나 장 후반 바이든 대통령이 경기 침체에 진입하지 않았으며 이번주 시진핑과 회담이 있을 것이라고 언급하자 낙폭 축소 - 다우: +0.28%, 나스닥: -0.43%, S&P500: +0.13%, 러셀2000: +0.60% 특이 종목 - 엑슨모빌: +3.33%, 코노코필립스: +4.45%, 옥시덴탈: +5.49% 에너지 업종은 국제유가 강세에 힘입어 상승. - CF: +6.45%, 모자이크: +6.02% 등 곡물 관.. 2022. 7. 26. 22.07.25 (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경제 지표 둔화에 따른 '경기 침체' 이슈가 부각된 가운데 - 스냅: -39.08%과 씨게이트: -8.11%의 영향으로 대형 기술주 및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할가. - 그렇지만, FOMC 와 대형 기술주 실적 발표를 앞두고 우려와 기대 심리가 부각된 가운데 반발 매수세도 여전히 진행 되 장 후반 낙폭을 일부 축소. - 특히 장 후반 달러화 약세의 견고한 실적을 발표한 일부 헬스케어 및 경기 방어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된 점도 특징. - 다우: -0.43%, 나스닥: -1.87%, S&P500: -0.93%, 러셀2000: -1.62% 특이 종목 - 스냅: -39.08% 실적 발표이후 많은 경쟁과 광고 산업에 대한 우려에 직면해 있다는 점이 부각되며 - 오펜하이머를 비롯한 많은 투자.. 2022. 7. 25.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