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동향
- 구글이 일시적 고용 중단을 발표하자 하락하기도 했지만, 넷플릭스: +7.36% 효과로 기술주 중심 강세가 이어지자 나스닥이 2% 가까이 상승하기도 했음.
- 물론, 이탈리아 정치 불안으로 달러화가 강세 폭을 확대하자 매물이 출회되는 등 변화를 보임.
- 그러나 ECB 회의를 앞두고 달러화 강세폭이 재차 축소되자 반도체, 소프트웨어,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폭 확대하며 마감.
- 다우: +0.15%, 나스닥: +1.58%, S&P500: +0.59%, 러셀2000: +1.59%
특이종목
- 넷플릭스: +7.36%
양호한 실적 발표한 가운데 예상보다 적은 가입자 손실을 기록하자 상승.
- 스트리밍 영업을 하고 있는 디즈니: +3.75%, 아마존: +3.86%, 애플: +1.35% 등도 동반 상승.
- 아마존의 경우 제프리스와 BOA가 달러 강세 및 경제 전망 등으로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했으나, 매수 의견을 유지했다는 점이 영향을 주며 상승.
- 더불어 넷플릭스의 견고한 실적 발표도 대형 기술주의 강세 요인.
- 알파벳: +0.06%은 고용 중단 발표 및 BNP파리바의 투자의견 하향 조정 소식에 제한적인 등락.
- 라스베가스샌즈: +4.36%, 윈 리조트: +3.96% 는 마카오 코로나 완화에 힘입어 상승.
- 인텔: +0.85%
도이체방크가 부진한 실적과 가이던스 하향 조정이 예상된다고 발표하자 하락하기도 했으나 반도체 법안 기대로 상승.
- 엔비디아: +4.80%, AMD :+4.13%, AMAT: +4.07% 등 여타 반도체 종목들은 미 상원에서 반도체 칩 생산 보조금 지원을 위한 법안에 대한 절차적 표결을 통과시키자 강세.
- 서비스나우: +4.80%
번스타인이 목표주가 646달러로 커버리지 시작 소식에 강세
- 세일즈포스: +4.97%
여타소프트웨어 업종도 강세.
- 반면, 베이커휴즈: -8.26%
부진한 실적 발표로 하락했으며 할리버튼: -0.68% 등 원유 서비스 업종 동반 하락.
- 머크: -2.93%
암 치료제 임상 실패 소식에 하락.
이 여파로 제약 업종 전반에 걸친 투자 심리 위축으로 화이자: -1.07% 등도 동반 하락.
- 테슬라: +0.80%
장 마감 후 견고한 실적 발표로 시간 외로 5% 가까이 상승하기도 했으나 결국 마진율 둔화를 이유로 매물 출회되며 소폭 하락 중.
한국 증시 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 0.73% 하락
- MSCI 신흥 지수 ETF: 0.43% 하락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 1,312.53원으로 반영시 달러/원 환율 1원 하락 출발 예상
- Eurex KOSPI200 선물: 0.06% 상승. KOSPI : 0.3% 내외 상승 출발 예상
출처: 미래에셋증권
밤부스 생각
- 외인 선물 매도 물량 쌓여있는게 걸리긴 하나
- 시장 분위기는 회복세.
- 2,500까진 들고 가고 , 돈 없으면 기다리고, 있으면 사고
- 2,500부터 새롭게 대응하자.
'전일 해외 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7.25 (월) 전일 해외 증시 (0) | 2022.07.25 |
---|---|
22.07.22 (금) 전일 해외 증시 (0) | 2022.07.22 |
22.07.20 (수) 전일 해외 증시 (0) | 2022.07.20 |
22.07.19 (화) 전일 해외 증시 (0) | 2022.07.19 |
22.07.18 (월) 전일 해외 증시 (0) | 2022.07.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