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72 22.07.29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부진한 GDP 성장률 발표에도 불구하고 상승 출발 했으나 전일 급등에 따른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하기도 했음. - 다만, GDP 결과로 9월 금리인상 규모가 축소될 것이라는 점이 부각되고 바이든의 기후법안 통과 기대 등으로 상승 전환에 성공. - 여기에 장 후반 옐런 재무장관이 경기에 대한 자신감 표명을 하자 상승폭 확대. - 한편, 미 의회의 반도체 산업 육성 법안 통과 등 경기 부양책도 긍정적인 영향. - 다우: +1.03%, 나스닥: +1.08%, S&P500: +1.21%, 러셀2000: +1.34% 특이 종목 - 기후 관련 법안 통과에 대한 기대로 퍼스트솔라: +15.29%, 선런: +29.97%, 솔라엣지: +4.92%, 인페이즈: +7.62% 등 태양광 업종은 물론 넥스트에.. 2022. 7. 29. 22.07.27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월마트: -7.60% 가 높은 인플레이션을 이유로 소비 행태가 변화했다며 향후 전망을 하향 조정하자 소비 관련 종목 중심으로 하락. - 더불어 전자 상거래 플랫폼 회사인 쇼피파이: -14.06% 의 구조조정 소식도 아마존: -5.23% 등 관련 종목 하락을 부추겨 전반적인 시장 하락을 야기. - 더 나아가 러시아의 천연가스 공급 감소에 따른 유로존 경기 침체 우려가 부각되며 달러화가 강세를 보인 점도 기술주 중심 매물 출회 요인. - 다우: -0.71%, 나스닥: -1.87%, S&P500: -1.15%, 러셀2000: -0.69% 특이 종목 - 월마트: -7.60%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소비 행태가 변화하며 실적이 부진할 것이라며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하자 하락. - 타겟: -3.61%.. 2022. 7. 27. 22.07.14(목)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보다 높은 전년 대비 9.1%를 기록하자 나스닥이 2% 넘게 하락하기도 했으나 - 물가 정점 가능성이 부각되자 상승 전환하는 등 극심한 변동성을 보임. - 이후 베이지북을 통해 소비지출 감소와 생산활동 위축을 언급하자 재차 하락하는 등 변화는 지속. - 다만, 관련 변화 요인을 소화한 이후 매수세가 유입되며 전기차, 반도체와 필수 소비재가 견고한 모습을 보이자 소폭 하락 마감 - 다우: -0.67%, 나스닥: -0.15%, S&P500: -0.45%, 러셀2000: -0.12% 특이 종목 - 테슬라: +1.70% 파나소닉이 테슬라를 위해 캔자스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을 발표하자 상승. 여기에 중국의 리오토: +2.81%와 샤오펑: +1.85% 등의 2분기 인도량.. 2022. 7. 14. 22.07.13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전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와 매력적인 밸류에이션에 대한 기대 심리가 유입돼 상승하기도 했지만, 유럽 경기 침체 이슈와 MS: -4.10% 의 하락에 따른 소프트웨어 업종을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전환. - 특히 장 후반 강달러에 따른 실적 부진 우려가 부각된 기술주의 낙폭이 확대되는 등 실적에 주목하며 하락 마감 - 다우: -0.62%, 나스닥: -0.95%, S&P500: -0.92%, 러셀2000: -0.22% 특이종목 - 애플: +0.68% 아마존: -2.26% 프라임데이에서 아이폰을 비롯한 자사 제품 매출이 할인 정채에 힘입어 급증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상승. - 이러한 소식에 애플 부품주인 - 스카이웍: +1.14%, 쿼보: +1.24%, 퀄컴: +0.55% 도 .. 2022. 7. 13.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