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마존72

22.06.27 (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최근 파월 연준 의장이 하반기 경기가 생각보다 더 강한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주장한 데 이어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가 '경기침체' 우려에 과도하게 반응을 보였다고 언급하자 그동안 시장의 변화를 이끌었던 '경기 침체' 우려가 완화되며 상승 - 더 나아가 소비심리지수 확정치에서 기대 인플레이션이 하향 조정된 점도 위험자산 선호심리를 더욱 자극하며 상승 확대 마감 - 다우: +2.68%, 나스닥: +3.34%, S&P500 +3.06%, 러셀2000: +3.16% 특이종목 - MS: +3.42%, 애플: +2.45%, 아마존: +3.58% 등 대형 기술주 견고한 실적에 기대 상승 지속 - 알파벳: +5.20%, 메타플랫폼; +7.19% 등 경기에 대한 기대로 광고 수익 증가 가능성이.. 2022. 6. 27.
22.06.20 (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최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출발 했으나, 연준이 통화정책 보고서를 통해 '무조건적' 방식을 통해 인플레를 낮추기 위해 노력한다고 발표하자 달러와 국채 금리는 큰 폭으로 상승하고 주식시장은 하락 전환 - 이런 장 초반 변동성 확대 후 국제 유가 급락으로 국채 금리 상승폭이 축ㄷ소되자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며 나스닥은 상승한 반면, 에너지 업종 급락 여파로 다우지수는 하락 마감 - 다우: -0.13%, 나스닥: +1.43%, S&P500: +0.22%, 러셀2000: +0.96% 특이종목 - 아마존: +2.47% 7/12~3일 개최되는 프라임 데이 매출 증가에 대한 기대 심리가 부각되자 상승, 더불어 국제 유가 급락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로 최근 하락.. 2022. 6. 20.
22.06.16 (목)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소매판매가 비록 둔화되엇으나, 여전히 견고하고 공급망 불안도 완화되고 있다는 점 부각돼 상승. -그런 가운데 연준이 FOMC를 통해 정책 금리를 75bp 인상하고 올해 175bp 추가 인상을 시사하자 제한적인 움직임을 보임. - 이후 파월 연준의장이 7월 추가적인 금리인상에 대해 50~75bp 인상을 언급하고 경기에 대한 자신감을 표명하자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폭 확대 - 다우: +1.00%, 나스닥: +2.50%, S&P500: +1.46%, 러셀2000: +1.36% 특이종목 - 아마존: +5.24% JP모건이 아마존 프라임 가입자 증가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며 overweight 전망을 유지한다고 발표하자 최근 하락을 뒤로하고 상승. - 애플: +2.01% 모건스탠리가 수요 둔화에.. 2022. 6. 16.
22.06.14 (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소비자물가지수에 이어 이날 발표된 뉴욕 연은의 소비자 기대 조사에서 1년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6.6%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자 하락 출발. - 중국의 경제 봉쇄와 OECD 선행지수 둔화로 경기 침체 이슈가 부각되며 변동성 확대 - 특히 S&P500이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해 약세장 구간에 진입한 점도 심리 위축 요인 - 암호화폐 시장의 급락으로 관련주 낙폭이 컸으며, 기술주, 금융등 대부분 업종이 하락 - 다우: -2.79%, 나스닥: -4.68%, S&P500: -3.88%, 러셀2000: -4.76% 특이종목 - 테슬라: -7.10% 3:1 주식 분할 발표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이 2만 4천 달러를 하회하는 등 급락하자 하락 - 코인베이스: -11.41%, 마이크로스트래지티: .. 2022.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