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72 22.10.17 (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부진한 소매판매 및 영국 재무장관 교체, 금융주 실적 호전 등으로 상승 출발했으나, 영국 총리의 기자회견 이후 약세를 보이던 달러화가 강세로 전환하자 상승 축소. - 여기에 미국 기대 인플레이션이 상승하자 하락폭 확대. - 특히 10년물 국채 금리가 4.0%를 상회한 가운데 미국 소비의 본격적인 부진에 따른 경기 침체 이슈가 높아지자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 - 더불어 테슬라: -7.55% 등 일부 종목의 부정적 요인도 투자 심리 위축 요인으로 작용하며 하락 - 다우: -1.34%, 나스닥: -3.08%, S&P500: -2.37%, 러셀2000: -2.66% 특이 종목 - 테슬라: -7.55% 베를린 공장에서 배터리 셀 생산 계획을 보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큰 폭으로 하락. .. 2022. 10. 17. 22.10.14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세를 이어가는 등 높은 물가 지표 발표로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고, 국채 금리가 급등하자 나스닥이 3.2% 급락하는 등 장 초반 변동성 확대. - 그러나 높은 물가로 미국 소비가 본격적으로 둔화될 수 있어 향후 물가 하락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자 낙폭 축소. - 여기에 영국 정부의 감세안 추가 변경 기대로 파운드화가 급등하자 (달러화 약세)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며 급격한 상승 전환에 성공. - 저점 대비 5% 넘게 상승. - 다우: +2.83%, 나스닥: +2.23%, S&P500: +2.60%, 러셀2000: +2.41% 특이 종목 - TSMC: +3.92% 분기 이익 급증 발표 등으로 상승. - AMAT: +4.. 2022. 10. 14. 22.09.26 (월) 전일 해외 증심 미국 증시 동향 - 영국의 대규모 부양정책으로 인플레이션 고조에 대한 우려를 부추겼으며 이는 금리인상을 확대해 결국 글로벌 경기 침체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며 한 때 3% 가까이 하락. - 더불어 금리 급등이 결국 기업들의 실적 영향을 줘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도 영향. - 그러나 장 마감 앞두고 바이든이 최근 미 증시 하락에 대해 주시하고 있다고 발표하고, 경기 침체가 상대적으로 낙폭이 제한될 수 있는 대형 기술주와 경기 방어주 중심으로 낙폭 축소되며 마감 - 다우: -1.62%, 나스닥: -1.80%, s&p500: -1.72%, 러셀2000: -2.48% 특이종목 - 코스트코: -4.26% 견고할 실적을 발표한 이후 회원가를 인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하자 하락 - 퀄컴:.. 2022. 9. 26. 22.09.15 (목)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전일 급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하기도 했으나, 물가 상승 압력이 여전히 높다는 점에 하락하는 등 변동성이 확대 - 장중에는 달러 약세 및 국채 금리 안정을 기반으로 상승폭을 확대하기도 했으나, 대형 기술주에 대한 규제 이슈가 부각되며 관련 기업들이 상승분을 반납하거나 하락 전환하자 주요 지수도 상승 반납. - 그러나 장 마감을 앞두고 재차 반발 매수세 유입되며 결국 상승 마감 - 다우: +0.10%, 나스닥: +0.74%, S&P500: +0.34%, 러셀2000: +0.38% 특이종목 - 인플레이션 감소 법안에 대한 바이든 대통령의 긍정적인 발언에 힘입어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시행 기대가 높아진데 이어 이날 바이든이 디트로인트 오토쇼에서 전기차 제조에 대한 긍정적인 발.. 2022. 9. 15.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