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증시86

22.06.15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동향 - 반발 매수세에 더해 생산자물가지수가 지난달보다 둔화되자 상승 출발 - 특히 낙폭이 컸던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는 경향 - 그렇지만, 상승이 제한된 가운데 FOMC 를 앞두고 연준의 75bp 금리인상 가능성이 지속 부각되며 미 10년물 국채 금리가 급등세를 보이자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전환 - 더불어 론 와든 상원의원의 에너지 업종에 대한 추가적인 세금 부과 언급도 장 후반 변동성 확대 요인 - 다우: -0.50%, 나스닥: +0.18%, S&P500: -0.38%, 러셀2000: -0.39% 특이종목 - 오라클: +10.41% 강력란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부문의 성장에 힘입은 견고한 실적에 힘입어 급등. - 이에 시놉시스: +1.69% 등이 동반 상승. - 페덱스: +14.41.. 2022. 6. 15.
22.06.14 (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소비자물가지수에 이어 이날 발표된 뉴욕 연은의 소비자 기대 조사에서 1년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6.6%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자 하락 출발. - 중국의 경제 봉쇄와 OECD 선행지수 둔화로 경기 침체 이슈가 부각되며 변동성 확대 - 특히 S&P500이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해 약세장 구간에 진입한 점도 심리 위축 요인 - 암호화폐 시장의 급락으로 관련주 낙폭이 컸으며, 기술주, 금융등 대부분 업종이 하락 - 다우: -2.79%, 나스닥: -4.68%, S&P500: -3.88%, 러셀2000: -4.76% 특이종목 - 테슬라: -7.10% 3:1 주식 분할 발표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이 2만 4천 달러를 하회하는 등 급락하자 하락 - 코인베이스: -11.41%, 마이크로스트래지티: .. 2022. 6. 14.
22.06.10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코로나 관련 규제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ECB가 통화정책을 통해 7월 금리인상을 시사하자 국채 금리 상승으로 기술주가 약세를 보이며 하락 - 이후 금요일 발표되는 소비자 물가지수에 주목하며 낙폭을 좀 더 확대한 가운데 최근 상승하던 중국 기술주가 알리바바: -8.12% 여파로 급락했으나, 코스트코: +0.87% 에 힘입어 소매 유통 업종이 견고함을 보이는 등 업종 차별화 진행되며 마감 - 다우: -1.94%, 나스닥: -2.75%, S&P500: -2.38%, 러셀2000: -2.12% 특이종목 - 테슬라: -0.89% 견고한 5월 판매 발표에 더불어 UBS가 올해 하락으로 매력적인 매입 시점에 도달했다며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하자 상승하기도 했으나 장 후반 매물 출회.. 2022. 6. 10.
22.06.08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타깃이 2분기 실적 부진을 경고하며 급락했고 '높은 인플레' 우려와 함께 세계은행 (WB)이 올해 글로벌 성장률을 큰 폭으로 하향 조정하자 경기 침체 이슈까지 더해 하락 출발 - 그러나 관련 소식은 이미 선반영 되었다는 평가가 높아지자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었으며, 옐런 재무장관의 의회 증언 이후 상승 전환 성공. 특히 소매 유통업종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종목군이 상승해 투자심리에 긍정적 - 다우: +0.80%, 나스닥: +0.94%, S&P500 + 0.95%, 러셀2000 + 1.57% 특이 종목 - 애플: +1.76% 개발자 회의에서 발표된 제품들에 대해 호평이 이어지며 모건스탠리를 비롯해 많은 투자은행들이 긍정적인 의견을 유지하자 상승. - 스카이웍: +1.68%, 쿼보: +.. 2022.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