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일 국내 시황 정리

23.05.24 (수) 금일 국내 시황 정리

by 밤부스투자 2023. 5. 24.
반응형

- KOSPI: 2,567.45 (DD: -0.00%)

- KOSDAQ: 855.46 (DD: -0.43%)

 

시장 분위기

- 부채한도 합의 불확실성, 글로벌 경기 침체 등으로 시장은 공격적으로 살 수는 없는 상황이지만,

   산업들이 애매하게 올라와 있으니 덜올랐던 조선, 건설 같은 산업이 오르는 그런 장세. 일부 호재가 있는 개별주들도 상승.

- 중국 코로나19 재확산 조짐과 중국의 네이버 접속 차단에 따른 한한련 재발 우려가 생김.

- 산업별로는 2차전지 중 일부, 자동차, 조선, 건설, 음식료, AI의료 (은행, 보험, 지주사) 등이 상승

- 나머지 다 하락.

 

산업별 상황

 

1. 2차전지: 그간의 과대 낙폭에 따라 반발 매수세가 연일 이어진 종목도 있었으나 역시 뚜렷한 산업의 상승 이유가 부재했기 떄문에 연일 상승에 힘을 잃고 하락한 종목이 속출.

-  LG에너지솔루션: +1.92%, SK이노베이션: -0.11%

- 에코프로비엠: +1.03%, 엘앤에프: -0.95%, 

- 한솔케미칼: +1.76%, 대주전자재료: -1.20%

- 후성: +0.08%, 동화기업: -0.41%

- SKIET: +0.11%, 더블유씨피: +0.40%

- 나노신소재: -0.30%, 제이오: -0.47%

- 천보: -0.11%, 덕산테코피아: -0.48%

- 솔루스첨단소재: +1.65%, 롯데에너지머티리얼: -0.18%

- 삼아알미늄: +2.03%, DI동일: +0.97%

> 2차전지 산업 자체가 현재는 방향성 부재이지만, 시장 변동에 큰 비중을 차지하기 떄문에 대표주들로만 채워가자. 비중을 많이 가져갈 생각은 없고 대표주들로는 엘앤에프, 피엔티 정도 생각. 탑머티리얼 같은 종목은 현재 차트 돌리고 성장성도 있으니 좀 지켜보자. 

 

2. 자동차: 하반기 좋아서 주가 계속 갈거다 vs 상반기때 이미 올해 실적 좋은 것에 대한 주가 반영은 다됐다.로 의견은 나뉘는 상황. 금일 상승은 살거 없으니 올해 분위기 나쁘지 않은 자동차 산 것 같음. 에스엘은 호실적 온기 이어짐.

- 기아: +0.45%, 에스엘: +2.06%, HL만도: +1.58%, 화신: +2.51%, 대원강업: +3.13%

>현대차 기준 20만원~21만원 사이에서 박스권 형성하는 기간 유지 될 것으로 생각하고, 올해 올라갈 다른 산업이 없었다면 자동차 대형주 및 중소형주 모두 하반기까지 사이클 상승으로 계속 갈것으로 생각했겠지만, 상대적 모멘텀이 다른 산업대비 낮은것 같음. (산업에 큰 모멘텀이 있다든가, 큰 변화가 있다든가 해야하는데 실적만 이야기하는 상황이 계속 벌어지는 중) 바닥에선 많이 올랐고. 자동차 비중은 적게 들고가되 공격적으로 해보고 싶다면 그나마 베타가 더 강한 소형 부품사로 해보자. 대원강업 등. 싸고 덜오름. 

 

3. 조선: 업사이클이라고 올라가는 중인데 (수주잔고 빵빵, 국제해사기구(IMO)규제 강화, LNG선 전망 등) 

 이 상황은 작년부터 이어졌었음. 현재 오히려 신조선가 올라가는것 떄문에 같이 상승하는 것이지 절대 슈퍼사이클이기 떄문에 상승하는 것은 아님. 그와 함꼐 시장 상황 자체가 다른 산업을 공격적으로 살거는 없으니 아직까진 밸류 부담 덜한 조선쪽으로 수급이 오는 것으로 추정 되는데 상승폭과 하락폭 그리고 그 가능성을 계산하면 기대수익률이 그렇게 높지가 않음. 이걸 슈퍼사이클이라고 쫓아가야할까? 주가가 오르니 슈퍼사이클이라고 얘기하는 사람들 하나, 둘 나오는데 나는 잘 모르겠다. (대우조선해양은 개별이슈 떄문에 오르는것)조선은 하지말자. 하고싶으면 그나마 덜 오르고 더 빨리 숫자 찍힐 기자재 여전히 그걸 더 좋게봄. 한국카본, 동성화인텍, 성광벤드, 하이록코리아, 디케이락 등.

- 대우조선해양: +7.47%, 한국조선해양: +2.28%, 삼성중공업: +2.81%, HSD엔진: +8.17%, 한국카본: +2.03% 등

 

4. 건설: 오늘은 건설 소형사들이 올랐는데 우크라 재건 테마 떄문인 것으로 추정. 동부건설은 엘살바도르 토목 공사 수주 소식.

- 동부건설: +10.60%, 태영건설: +6.09%, 대우건설: +1.26%

> 건설사: 시간가치 고려안하면 국내 주택 관련주 (GS건설, DL이앤씨 등) 들고가고 기다리기 싫으면 나중에 좀 올라서 사도 모멘텀 (착공 데이타 증가) 충분할 떄 사자. 해외 수주 건설사는 현재 기대 수주 실주 하는 상황으로 주가는 기대감으로 올랐다가 약간 빠진 상황으로 애매함. (현대건설, 삼성엔지니어링)

 

5. 금일 중국 코로나 재확산 조짐 및 중국의 네이버 접속 차단에 따라 엔터/게임/ 인터넷 관련 산업이 하락한 것으로 추정. 코로나 관련주인 멕아이씨에스는 상한가. 

> 중국 이슈가 물론 무시할만한 이슈는 절대 아니지만, 여기서 더 제재 등이 나오면 그떄 다시 생각해보자.

> 엔터는 이제 중국보다 더 큰 글로벌 있기 때문에 빠지면 조금씩 더 모아가보자.

> 인터넷은 서치 GPT 떄문에 발 담구고 가려 했는데 중국이 제대로 찬물. 발만 담궈놓자. 이번에 주가흐름 보니까 투자자들이 인터넷 생각하는게 예전보다 나아진건 확실한 것 같고, 전체 시장 분위기상 못올라간 인터넷에도 관심 줄 가능성 없지는 않음. 지금 조선도 과거랑 비슷한 상황에 신조선가 오르는걸 슈퍼사이클이라고 얘기하면서 올리는데. 하지만, Chat GPT 나오고 네이버 검색 점유율 떨어진다는 뉴스도 있기 때문에 그냥 오를 떄 따라사지 빠진다고 사진 말자.

> 게임은 지금 상당히 애매해졌으나 아직 판호 받은 넥슨게임즈, 데브시스터즈는 모멘텀 완전 죽지는 않았다고 보므로 차트 돌리면 다시 사모아가자.

 

6. 바이오. 그동안의 상승에 따른 쉬어가기로 하락. 6월 ASCO 기대감 살아있고, 연말 모멘텀도 살아있다. 계속 들고가자.

- 유한양행: -0.50%, 오스코텍: -2.95%, 알테오젠: -5.49%, 레고켐바이오: -2.11%

 

개별주

- 라온텍: MR용 1인치 저전력 마이크로 OLED 공개. 

- 우양: 컨테이너 박스당 6천만원, 연 400박스, 6월부터 납품. 북미 코스트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