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일 국내 시황 정리

23.05.22 (월) 금일 국내 시황 정리

by 밤부스투자 2023. 5. 22.
반응형

- KOSPI: 2,557.08 (DD: +0.76%)

- KOSDAQ: 852.04 (DD: +1.23%)

 

시장 분위기

- 바이든과 메카시가 22일 밤 다시 부채한도 논의 재개에 합의했다는 소식과 6월 FOMC는 금리 동결로 굳어지는 분위기에 시장은 상승.

- 산업별로는 2차전지, 조선, 제약/바이오, 건설, 건자재, 시멘트, 풍력, 원전전력기기, 곡물사료 산업 강세

- 드라마제작사, 광고기획사, 애플 관련주 약세

- 반도체는 상승, 하락 나뉘었음.

 

산업 내용

1. 반도체: 전일 급등을 소화하며 가는 느낌. 반도체, 기판 등 상승, 하락 산업 내에서도 나뉨.

- 동진쎄미켐: +4.83%, SK하이닉스: +0.92%, 원익QnC: +0.56%, 삼성전자: +0.15%, 이오테크닉스: +0.91%, 피에스케이: 보합, 펨트론: -0.30%, 하나머티리얼즈: -2.09%

> 금요일 너무 급등했으니 쉬어가는게 맞는 것 같고, 센티 및 상황이 최악의 상황을 지나가고 있으므로 계속 들고 가자. 개인적으로는 결국 소부장 및 오사트는 진짜 뭐가 가장 빨리 좋아지냐 하다가.. 대형주가 결국 먼저 좋네 하고 대형주로 매수 몰릴 것 같다. (삼성전자, 하이닉스)

 

2. 2차전지: 그동안의 낙폭에 대한 반대 매수세 유입되는 것으로 추정. 산업 하락을 돌릴만한 모멘텀 자체는 없었음.

- 에코프로비엠: +4.42%, 엘앤에프: +5.91%, 포스코퓨쳐엠: +4.02%, 대주전자재료: +2.33%, 더블유씨피: +6.08% 

> 최근 급락에 따른 매물대도 있고, 뚜렷한 모멘텀은 없었으므로 아직은 재매수하긴 좀 이른것 같다. 여기서 다시 조정 주고 바닥 확인되고 오르려고 하면, 그때 기술적으로 재매입 구간인것 같고, 그 외에는 다른 뚜렷한 모멘텀 있을때 따라 붙자. 

 

3. 조선: 조선이 요즘 오르는건 선가 상승, 수주 빵빵, 매출인식시기 도래 등으로 파악이 되는데, (대우조선해양은 한화그룹에서의 새 출발 기대 논리도 있음) 이 논리로 오르려고 했으면올 초부터 빠지지 않고 올랐어야 했음. 과거 슈퍼사이클 대비 수주가 모자란 것은 사실이고, 요즘 오르는건 워낙 글로벌 경기가 아주 좋아지는 상황은 아닌 상황에 투자는 해야하겠고, 그나마 논리를 찾다보니 수주는 비교적 빵빵하고 매출시기도 도래하니 논리상 맞아서 어디 큰 펀드에서 바스켓으로 사서 분위기 주도하는 것 같은데 연말까지 강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음. 2차 카타르 LNG 프로젝트 등의 기대감이 아주 강해져서 오른다면 모를까. 지금은 조선 할 때가 아니라 더 반등 가능성 높은 반도체 및 2차전지가 맞는것 같다. 아주 조선 관련주를 하고싶다면 덜 오르고 더 빨리 매출이 찍히는 기자재로 하는게 논리상 맞는 것으로 생각함. (한국카본, 성광벤드 등)

- 대우조선해양: +11.75%. HD현대중공업: +5.49%, 현대미포조선: +9.70%, 한국카본: +4.22%, 성광벤드: +3.91%

 

4. 건설, 건자재, 시멘트, 건설기계, 전력기기: 우크라이나 재건과 관련해 정부가 참여방안 관련 논의에 들어가며 강세, 전력기계는 신한 레포트 Top Pick 으로 나오며 상승한 것으로 추정. 

- 현대건설: +2.26%, LX하우시스: +5.65%, 한일시멘트: +2.21%, HD현대건설기계: +2.30%, 두산밥캣: +1.71%, 진성티이씨: +7.21%, LS Electric: +2.78%, 현대일렉트릭: +6.14% 

> 건설은 지금 국내도 바닥에서 돌아서는데 까지는 금리 인하 시작하고 1년은 지나고부터인것 같아 주가 측면에서도 상승은 아직 이른 것 같고, 해외 상황도 현재 기대한 수주들 실주한 상황이라 센티는 별로. 건드리긴 애매하고, 전력기기나 건설기계 등은 좋아지는건 알겠지만 섹시한 포인트가 부재함.. 거기다 반도체나 2차전지 좋아지면 수급 쭉 빨릴 산업이고.. 이 산업은 그냥 난 보내줄게. 안녕.

 

5. 제약/ 바이오: ASCO 기대감 살아있으며 상승.

- 오스코텍:  +4.75%, 유한양행: +1.91%, 레고켐바이오: +0.59%, 알테오젠: +2.44%, 한미약품: +1.86% 

> 6월 초 ASCO 기대감 계속 들고가보자!. 특히 레이저티닙 유한양행, 오스코텍은 기대감으로 오르면 한번 팔고 연말 글로벌3상 데이타 나오면 다시오를 수 있으니 다시 매수할 수 있고 넘 좋은 기회같다. 알테오젠은 NPV 밸류에이션으로 시간 가면 오를 주식이니 나쁘지 않은것 같고. 바이오는 들고가자! 요즘 시장은 부담 없는 섹터에 모멘텀 생기면 가는 시장. ASCO 모멘텀 있고, 부담 없다. 거기다 주가 변동성도 세다!

 

6. 엔터, 광고, 드라마 제작사: 수급 순환매로 하락 추정. 

- 하이브: -4.27%, JYP: -1.38%, 에스엠: -0.65%, 스튜디오드래곤: -0.45%, 콘텐트리중앙: -1.70%, 이노션: -0.25%, 지투알: -0.96%

>엔터는 특히 개별 이슈 없다. 수익실현 및 기술적 분석상 약간 깨져서 그런듯. 하반기로 갈수록 더 강한 모멘텀과 기대감 생기니 계속 들고가자. 드라마제작사는 업황 밸류체인 좋지않으니 패스하고 광고기획사도 마찬가지. 

 

개별주

- 흥국에프엔비

> 6월 푸룬주스 중국 진출하는 모멘텀

- 코데즈컴바인, 슈프리마아이디: 엠엔에이, 무증같은 노이즈로 올리는듯.. (건드리진말자)

- 토비스. 이제 진짠가? 

 

종목 뉴스

신대양제지, 급락 뒤 첫 반등…최대주주 대량 매수(

퍼스텍, '우크라이나 장비 지원'에 상승 마감

클리노믹스, 450억원 유상증자 결정에 18%대 급락

제이아이테크,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에 상한가  

대정화금, 우크라 원전 폭발 가능성…방사선 피폭 필수 요오드 제..  

디케이락, 정부 1200조 우크라이나 재건에 ‘K-개발’…수혜주..  

중앙디앤엠, 1200조원 규모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기대감↑

삼성전자, 52주 신고가…‘7만 전자’ 코앞  

퍼스텍, 우크라이나 지원 소식에 5%대 강세  

디어, 깜짝실적에도 약세…‘성장 둔화론’ 부각

 

 

수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