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SPI: 2,567.55 (DD: +0.41%)
- KOSDAQ: 859.16 (DD: +0.84%)
시장 분위기
- 매카시와 바이든이 협상에 있어 합의는 하지 못했지만 둘 다 긍정적인 발언을 했고 논의를 계속하겠다고 발언하며 국내 시장은 상승 마감
- 산업별로는 2차전지, 제약/바이오, 엔터, 화장품, 시멘트, 로봇 , AI의료, 관련산업이 강세를 보였으며
- 반도체, 자동차, 조선,해운, 방산, 항공, 여행, 게임, 광고기획사, 교육 약세
- 건설 및 건자재는 상승, 하락 나뉘었고, 화학, 인터넷, 원전 관련주 등도 방향성 없었음
산업별 내용
1. 2차전지:
> 뚜렷한 이유 없음. 시장에 도는 이야기는
1) 리튬가격 추세적인 반등이다.
2) 기존 예상에 없던 테슬라향 라인을 엔솔에서 검토중이다 (추가적으로 전극 50몇개 라인중 30 몇개 검토, 6개는 확정., 라인당 몇기가인지는 알 수 없음.. 대략 40기가 ~50기가 정도 추가로 엔솔에 붙을 수 있다 이런내용)
3) 배터리 아저씨 은퇴해서 이제 제대로 시장이 작동한다.
4) 과대 낙폭후 반등.
이런 내용들이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4번인것 같고 2번은 계속 체크해봐야할 것 같음.
- LG에너지솔루션: +2.50%, SK이노베이션: +1.83%, 삼성SDI: +1.43%, 에코프로비엠: +2.96%, 엘앤에프: +5.18%, 포스코퓨쳐엠: +3.09%, 대주전자재료: +3.75%, SKIET: +1.04%, 제이오: +6.91%, 나노신소재: +2.04%, 천보: +1.87%
> 2차전지 조정 후 다시 반등 줄 때나 뚜렷한 이유가 있을 때 다시 사려고 했지만, 상황이 다시 그냥 무지성으로 돌아가려는 것 같아 일단 좀 쫓아 사봤는데 고민중. 지속적으로 매일매일 순간순간 의사결정 해야할 듯. 방향성이 확실하진 않다. 일단은 무릎정도 담궈놓고 가자..
2. 반도체:
> 수요 쎄게 돌아서지 않는 상황에서, 최근 강하게 올랐고, 전일 미국 시장 반도체 분위기 안좋았고, 굳이 공격적으로 받아 주거나 위로 올려 살 일은 없기 때문에 오늘 반도체 전반적으로 약세 보인 것으로 추정 됨. 기판도 마찬가지.
- 삼성전자: -0.15%, SK하이닉스: -0.31%, 이오테크닉스: -0.79%, 피에스케이: -0.69%, 하나머티리얼즈: -0.11%, 펨트론: -1.43%, 하나마이크론: -3.56%
> 오늘 현물가도 다시 좀 하락세로 빠지는 모습 보여줬고, AI 관련 모멘텀은 센티는 반전 시켰지만 당장 정확한 가이던스 등은 나오기 어려운 상황. 올려사진 말고 전자 기준 67,000~69,000원 사이에서 모아두는게 좋을 것 같다. 적어도 절대 팔자 의견은 안나옴. 견조하게 박스권 유지해주다가 우상향할지, 아니면 조금 빨리 우상향 해줄지가 고려사항.
3. 제약/ 바이오:
> 6월 아스코 기대감 및 하반기 레이저티닙 글로벌 3상 기대, 블록버스터급 약품 특허 만료 도래 등 단기 및 중장기 모멘텀 보유+ 주가 부담없는 상황에 상승. 한올바이오파마의 경우 전일 안구건조증 임상실패로 매도 물량이 오히려 악성물량 해소로 작용돼 금일 상승한 것으로 추정 됨.
- 한미약품: +1.83%, 셀트리온헬스케어: +0.79%, 유한양행: +2.04%, 오스코텍: +0.20%, 지아이이노베이션: + 6.28% 등.
> ASCO 관련주 트레이딩도 할 수 있고 팔고 다시 사기 전략 가능. 중장기적으로 바이오 좋을 것 같음 올 하반기. 사자.
4. 자동차: 최근 급등과 2차전지, 바이오로의 수급 뺏김으로 약세.
- 기아: -0.11%, 에스엘: -0.82%, 현대모비스: -0.22%, 서연이화: -4.05%, 대원강업: -2.04%
> 자동차 산업 주가 상황보면 이제 다른 산업 상승할 시 빠질 것으로 보임. 상승 힘을 잃었고, 실적 모멘텀 또한 대부분이 공개된 상황이므로 여기서 더 신규 매수하진 말자. 다만, 소형 부품사들의 경우 화장품처럼 (잉글우드랩, 아이패밀리에스씨 등) 개별주처럼 갈 가능성 없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덜 오른 소형 부품사 정도는 들고가보자. (대원강업, 한국무브넥스등)
4. 엔터: 전일 급락에 따른 반대 매수세로 상승.
- 하이브: +1.49%, 에스엠: +1.12%, JYP : +1.40%, 와이지엔터 +2.20%
> 엔터 하반기 모멘텀 끝이 없다. 그냥 빠지면 사자. 하반기 현지인 아이돌 모멘텀 뚜껑 열때까지 들고가보자.
5. 인터넷: 여전히 같은 내용. 1분기 실적 바닥 찍었다, 더 나빠질건 없다. 하지만 글로벌 경기 안좋아서 광고산업 센티도, 숫자도 쉽진 않다. 다만 네이버의 경우 7월 서치 GPT 모멘텀있고, 주가도 이제 바닥은 다진것 같으니까 발담그고 가다가 올라가면 따라사자.
- NAVER: -1.40%, 카카오: +0.17%
6. 화장품: 지금 화장품 상승은 화장품 전반적인 상승이 아님 개별주들이 영업잘하고 실적 좋아서 올라가는 것. 그에 따라 산업 분위기가 약간 들 뜬것으로 보임.
- 코스맥스: +2.88%, 잉글우드랩: +11.51%, 코스메카코리아: +5.43%, 아이패밀리에스씨: +9.72%, 씨앤씨인터내셔널: +3.27%, 클리오: +3.26%
> 화장품 이번 상승때는 그냥 건드리지 말자. 오를건 올랐고, 안오를껀 오를 이유가 없음.
7. 시멘트: 쇼티지 이어지니깐 상반기까진 계속 들고가보자. 오늘 상승했고 별다른 이유 없음. (현업에서 판가를 올렸나? 체크해보자)
- 쌍용C&E: +1.20%, 아세아시멘트: +4.68%
8. 건설, 건자재: 상승 하락 나뉜것 같이 딱 애매한 상황 맞음. 국내 건설 어제 언급했듯 착공을 들어가야하는데 착공들어가기까지 금리 인하 하고도 1년정도는 기다려야하니 한참 남았고 선반영하는 주식시장이라해도 너무 멈. 건자재 운송비 절감 효과 약발 다 떨어져 가는것 같고, 해외도 기대한 수주들 못하고 있는중. 다만 여기서 더 안좋아질건 없다. 그냥 바닥에 끌어모으고 싶으면 국내건설주들 사두고, 시간가치 아까우면 건설 패스.
- 현대건설: -1.11%, 삼성엔지니어링: -0.66%, DL이앤씨: +1.95%, SGC이테크: +3.85%
9. 조선: 어제 급등했고, 딱히 계속 올라가야할 만한 큰 이유는 찾이 어려움. (원래부터 다 알던 내용으로 갑자기 주가만 오름) 수주는 빵빵하지만 그렇다고 과거 슈퍼사이클 만큼은 아니고, 그래도 수주 나쁘지 않고 매출 찍히는 시기 도래했고 해서 이것도 애매하니까 상승 하락 나뉘는 듯. 방향성이 무조건 우상향 해야할 상황은 아님. 다만 기자재들은 덜올랐으니 할거면 기자재로하자. (한국카본, 성광벤드 등)
- 현대미포조선: -1.04%, HD한국조선해양: +0.10%, 대우조선해양: -0.69%, 한국카본: -0.26%, 성광벤드: -0.26%
10. 방산: 전쟁 얘기 조용해지니 주가도 조용해짐 ㅋㅋ..
- 한국항공우주: -0.56%,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09%, LIG넥스원: -0.99% 등
> 방산 굳이 해야할까? 펀더멘털리 산업이 퀀텀 점프한건 맞지만 지금 주가 상황애매하고, 센티 따라 너무 움직이고. 그냥 반도체, IT , 엔터, 바이오 등에서 승부보자.
11. 우주: 오늘 하락했는데 뚜렷한 이유는 찾기 힘듦.(누리호 5/24 오후 18시 24분 발사 예정)
- AP위성: -3.11%,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3.67%, 쎄트렉아이: -2.19%, 인텔리안테크: +2.22%
> 우주는 켄코아정도로 올해까진 들고가보자. 우주 관련주중에 제일 싸다. 안들고가긴 아까운 산업.
12. 로봇: 금일 로봇은 의미가 있는 정도의 상승은 아니었음. AMR 관련주 및 기존 로봇주들 골고루 상승
- 에스비비테크: +7.11%, 에스피지: +2.63%, 레인보우로보틱스: +1.65%, 티로보틱스: +2.08%, 티라유텍: +0.07%
> 로봇은 난 AMR 중 러셀 정도로 대응할것. 이제 성장하는 산업. 다른 로봇은 그림으로 너무 올랐고 다시 오르려면 실적 바탕돼야하는데 아직 안됨.. 그냥 정책적 이슈 나올때마다 아직 차트 추세 안죽었으니 기술적 반등 나오는 것으로 생각됨. 레인보우로보틱스, 에스피지 같은 로봇테마보단 AMR 선호
13. AI 의료 관련주 상승: 어제 미국 시장 AI 관련 호재성 발언들 나오며 지속 센티도 좋았고 실제로 고객사도 늘고있고.
- 제이엘케이: +7.90%, 루닛: +4.37%
> 난 이번엔 놓친것 같다.. 지금 사긴 개인적으로는 너무 부담되고.. 다음번에는 편견 갖지 말고 우선 공부해보고 판단하자. 미용기기도 마찬가지.
종목 뉴스
에스와이,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수혜 기대감 '급등'
파멥신, '황반변성 항체 치료제' 식약처 임상1상 계획 승인에 강세
CJ 바이오사이언스, 650억원 유상증자에 10% 급락
이노메트리, 배터리 검사 3D CT 장비로 진화…LG·삼성·SK 공급 부각↑
포스코퓨처엠, 5%대 강세…證 "목표가 41만원"
팸텍, 스팩 합병상장 첫날 17%대 약세
디와이디, 계열사 삼부토건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에 강세
삼부토건, '우크라이나 재건株' 묶이며 2일 연속 '上'
軍신검에 마약 검사 추가된다…랩지노믹스 주가 '훨훨'
씨유박스, 코스닥 입성 3거래일 만에 상한가
비씨엔씨, 반도체 부품 양산 소식에 상한가
이스트소프트, MS와 AI사업 손 잡나…주가 20%↑
팸텍, 스팩 상장 첫날 약세...17%↓
크리스탈지노믹스, 대규모 자금 조달…SKT·서울대병원 등과 협업 기대
수급
'금일 국내 시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5.25 (목) 금일 국내 시황 정리 (1) | 2023.05.25 |
---|---|
23.05.24 (수) 금일 국내 시황 정리 (0) | 2023.05.24 |
23.05.22 (월) 금일 국내 시황 정리 (1) | 2023.05.22 |
23.05.19 (금) 금일 국내 시황 정리 (1) | 2023.05.19 |
23.05.18 (목) 금일 국내 시황 정리 (0) | 2023.05.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