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트솔라15 23.01.02 (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올해 마지막 거래일을 보낸 미 증시는 장중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다가 장 막판 저가 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되며 낙폭을 상당히 줄여 마감. - 22년 연간 전체로 놓고 보면 지난 08년 이후 가장 저조한 성과를 기록. - 다우지수는 22년에 -8.8% 를 기록하며 S&P500: -19.4%, 나스닥: -33.1% 대비 아웃퍼폼. - 올 한 해 동안 미 연준을 비롯한 글로벌 대부분의 중앙은행은 급등하는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 등 고강도 긴축 정책을 단행하며 증시에 부담을 줬음. - 특히 코로나 펜데믹 이후 급등했던 인터넷/ 플랫폼과 같은 성장주, 기술주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 글로벌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은 빅테크 5의 경우, 올해 3조달러 (약 3,800조원) 이.. 2023. 1. 2. 22.11.29 (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중국의 코로나 확산과 시위 여파로 하락 출발한 가운데 이번 사태가 중국 정부의 코로나 제로 정책 변화 기대를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자 낙폭을 축소하기도 했음. - 그렇지만 애플: -2.63% 등의 생산 문제로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되자 낙폭이 확대 - 장 후반 불러드 총재의 매파적인 발언으로 변동성을 키우며 마감 - 특히 신용평가사 S&P가 미국의 내년 성장률을 -0.1%로 전망하자 중국 코로나 이슈와 함께 경기 침체 이슈를 자극한 점이 하락 요인으로 추정 - 다우: -1.45%, 나스닥: -1.58%, S&P500: -1.54%, 러셀2000: -2.05% 특이 종목 - 테슬라: +0.03% '하이랜드' 라는 명칭으로 제조 비용을 낮추고 전기차 매력을 높이기 위해 모델3 개편.. 2022. 11. 29. 22.11.04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BOE가 통화정책 회의를 통해 영국의 경기 침체를 언급하자 파운드화가 급격하게 약세를 보인 여파로 달러화의 강세가 확대되며 기술주 중심으로 하락. - 더불어 부정적인 이슈가 유입된 애플: -4.24%를 비롯해 대형 기술주와 소프트웨어 종목군 중심으로 낙폭이 확대된 점도 부담. - 다만, 산업재, 에너지 등이 견고함을 보여 다우지수는 상대적으로 하락이 제한되는 차별화 진행. - 다우: -0.46%, 나스닥: -1.73%, S&P500: -1.06%, 러셀2000: -0.53% 특이 종목 - 언더아머: +11.97% 달러 강세와 스포츠웨어 수요 감소 등으로 연간 전망을 하향 조정 했으나 견고한 실적을 발표한데다 연말 쇼핑 시즌에 대한 기대로 급등. - 펠로톤: +8.23% 장 초반 예상을.. 2022. 11. 4. 22.10.06 (목)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견고한 경제지표와 OPEC의 200만 배럴 감산 발표로 국제유가가 상승하자 국채금리와 달러화의 되돌림이 유입되며 강세를 보였고 이에 나스닥이 장중 2.4% 하락. - 그렇지만, 경제 지표 세부항목을 통해 높은 인플레 완화 기대가 유입된 가운데 정부가 전략 비축유 방출 등의 조치를 발표하자 달러와 금리 상승폭이 축소되며 주식시장은 장중 한 때 상승 전환 성공 - 특히 에너지, 반도체, 헬스케어 업종이 이를 주도 - 다우: -0.14%, 나스닥: -0.25%, S&P500: -0.20%, 러셀2000: -0.74% 특이종목 - 테슬라: -3.46%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1.35% 인수 발표 여파로 전일 상승분 반납에 이어 오늘도 하락폭이 확대 - 트위터는 인수가격 가까이 상승 후 일부.. 2022. 10. 6.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