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일 해외 증시

23.01.02 (월) 전일 해외 증시

by 밤부스투자 2023. 1. 2.
반응형

미국 증시 동향

- 올해 마지막 거래일을 보낸 미 증시는 장중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다가 장 막판 저가 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되며 낙폭을 상당히 줄여 마감.

- 22년 연간 전체로 놓고 보면 지난 08년 이후 가장 저조한 성과를 기록.

- 다우지수는 22년에 -8.8% 를 기록하며 S&P500: -19.4%, 나스닥: -33.1% 대비 아웃퍼폼.

- 올 한 해 동안 미 연준을 비롯한 글로벌 대부분의 중앙은행은 급등하는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 등 고강도 긴축 정책을 단행하며 증시에 부담을 줬음.

- 특히 코로나 펜데믹 이후 급등했던 인터넷/ 플랫폼과 같은 성장주, 기술주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 글로벌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은 빅테크 5의 경우, 올해 3조달러 (약 3,800조원) 이상의 시가총액이 증발하며 증시하락을 주도

 

- 다우: -0.22%, 나스닥: -0.11%, S&P500: -0.25% , 러셀2000: -0.28% 

 

섹터별 22년

- S&P500 섹터별로는 

- 에너지가 59%나 상승하며 11개 섹터 중 유일하게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한 반면 

- 통신서비스: -40.4%, 경기소비재: -37.6% 등은 크게 하락

- 올해 주가 상승폭이 큰 상위 10개 기업 중 9개 기업이 모두 에너지 업종으로

- 옥시덴탈 페트롤리움 (OXY): +117%

- 헤스: HES: +91%

- 엑슨모빌: XOM: +80% 등이 상위를 차지

- 에너지 업종이 아닌 유일한 종목은 미국내 대표적인 태양광 업체인 퍼스트솔라: FSLR 로 연초 이후 72% 상승

 

- 글로벌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은 빅테크5의 경우

- 올해 3조 달러 (약 3,800조원) 이상의 시가총액이 증발하며 증시 하락을 주도 

- 특히 개인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은 테슬라: TSLA 는 21년 11월 역사상 6번째로 시가총액 1조달러 클럽에 등극했으나 현재는 고점대비 70%나 하락한 3,860억 달러 기록.

 

- 최근 CNBC에서 400여명의 투자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 응답자의 37%는 아마존, 알파벳(구글) 에 대한 투자비중을 확대하겠다고 밝힘.

- 이외 테슬라: 17%, 넷플릭스: 6%, 메타: 3% 기록

- 또한 FactSet 에 따르면 애널리스트 4분의3 이상이 각각 아마존과 알파벳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할 것이라고 밝힘.

 

한국 증시 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 1.14% 하락

- MSCI 신흥 지수 ETF: 1.38% 하락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 1,261.21원으로 반영시 달러/원 환율 4원 하락 출발 예상

- 지난 12월 29일 기준 Eurex KOSPI200 선물: 0.87% 상승. KOSPI: 0.3% 내외 상승 출발 예상

S&P500, 글로벌 지수
주요 ETF, 섹터지수
주요 원자재

 

 

밤부스 생각

- 23년 시장은 개인들에게 좋을 것.

- 지금 많이 빠졌을 때 매수하자. 마지막 바닥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