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113 22.10.20 (목)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부진한 주택지표로 경기 침체 이슈가 불거진 가운데 - 넷플릭스: +13.09%의 견고한 실적에도 불구 - 애보트: -6.54% 의 부진한 실적으로 헬스케어 업종이 큰 폭으로 약세를 보이자 하락 출발. - 물론 반도체 업종이 견고함을 보여 한 때 상승하기도 했으나, 영국 이슈에 따른 달러 강세, 연준의 통화정책 및 카시카리 발언으로 국채 금리 급등이 이어지자 재차 매물 확대 - 그러나 베이지북에서 경기에 대한 자신감과 물가 완화 언급 등이 부각되자 달러 강세폭 축소로 지수 하락폭이 일부 축소되며 마감 - - 다우: -0.33% ,나스닥: -0.85%, S&P500: -0.66%, 러셀2000: -1.72% 특이종목 - 반도체 장비업체인 ASML: +6.27% 예상을 상회한 매출과 다음 .. 2022. 10. 20. 22.10.19 (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트러스 영국 총리의 감세안에 대한 사과로 영국발 우려가 완화된데 이어 견고한 산업생산 발표로 경기 침체 이슈가 완화되자 상승 출발. - 특히 기업들의 실적 발표에 힘입어 나스닥이 한 때 2.8% 상승. - 그렇지만 BOE가 양적 긴축을 연기하지 않는다고 발표하자 국채 금리 상승폭이 확대되며 나스닥이 한때 하락 전환하는 등 변동성은 여전. - 장 후반에는 국채 금리 상승폭이 축소되자 증시가 재차 상승하기도 했으나 - 애플: +0.94%의 아이폰 14플러스 생산 축소 소식에 상승폭 줄이는 등 변동성 확대 - 다우: +1.12%, 나스닥: +0.90%, S&P500: +1.16%, 러셀2000: +1.16% 특이 종목 - 골드만삭스: +2.33% 주요 사업부 통합과 견고한 실적을 발표하자 .. 2022. 10. 19. 22.10.14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세를 이어가는 등 높은 물가 지표 발표로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고, 국채 금리가 급등하자 나스닥이 3.2% 급락하는 등 장 초반 변동성 확대. - 그러나 높은 물가로 미국 소비가 본격적으로 둔화될 수 있어 향후 물가 하락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자 낙폭 축소. - 여기에 영국 정부의 감세안 추가 변경 기대로 파운드화가 급등하자 (달러화 약세)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며 급격한 상승 전환에 성공. - 저점 대비 5% 넘게 상승. - 다우: +2.83%, 나스닥: +2.23%, S&P500: +2.60%, 러셀2000: +2.41% 특이 종목 - TSMC: +3.92% 분기 이익 급증 발표 등으로 상승. - AMAT: +4.. 2022. 10. 14. 22.09.30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높은 독일 물가와 부정적인 실적을 발표한 카맥스: -24.60%, 투자의견 하향된 애플: -4.91% 등을 통해 경기 침체 이슈가 부각되며 하락. - 더불어 영국 정부 정책에 대해 트러스 총리가 강한 어조로 정당성을 옹호하며 시장 불안 심리를 자극했으며 이외 푸틴의 서방 국가에 대한 경고, 연준과 ECB 위원들의 공격적인 금리 전망 관련 발언 등으로 투자심리 위축되며 매수세가 실종된 가운데 낙폭 확대. - 다만, 달러 약세, 금리의 제한적인 되돌림, 상품 시장의 견고함을 감안 패닉이 확대되지는 않음. - 다우: -1.54%, 나스닥: -2.84%, S&P500: -2.11%, 러셀2000: +2.35% 특이 종목 - 애플: -4.91% BOA가 약화된 수요가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2022. 9. 30.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