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론61 22.12.05 (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견고한 고용보고서 결과 여파로 달러 강세, - 금리 상승에 따른 반도체 등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출발 - 그러나, 견조한 고용은 일부 업종에 국한된 현상이고 대부분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자 되돌림이 유입되며 한 때 상승 전환 - 여기에 시진핑 주석이 제로 코로나 정책 완화를 시사하는 발언을 했다는 소식도 긍정적 - 이에 힘입어 중국 기업들이 급등한 가운데 큰 폭으로 하락하던 반도체 업종등의 낙폭이 축소돼 미 증시는 한 때 상승 전환하기도 하는 등 힘을 보이다 혼조 마감 - 다우: +0.10%, 나스닥: -0.18%, S&P500: -0.12%, 러셀2000: +0.59% 특이 종목 - 알리바바: +4.79%, 진둥닷컴: +5.00%, 바이두: +4.72% 는 물론 - 니.. 2022. 12. 5. 22.12.02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전일 급등에 따른 매물 소화 과정을 보이며 부진 - 특히 물가 안정 기대를 높이는 경제지표 발표로 달러 약세 및 금리 하락이 지속되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견고 했으나, 경기 둔화 우려를 자극하는 경제지표 결과 및 다우 구성 일부 종목의 개별적인 요인으로 다우지수는 하락하는 등 차별화 진행 - 다만, 시간이 지나며 경기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물가 안정 속 낙폭 축소 및 상승 전환하며 혼조 마감 - 다우: -0.56%, 나스닥: +0.13%, S&P500: -0.09%, 러셀 2000: -0.26% 특이 종목 - 코스트코: -6.56% 11월 매출 성장 둔화 여파로 하락. 블랙 프라이데이가 포함된 최근 4주간의 매출이 전년 대비 5.7% 증가에 그친 점이 부담. - 달러 제너럴: -.. 2022. 12. 2. 22.11.29 (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중국의 코로나 확산과 시위 여파로 하락 출발한 가운데 이번 사태가 중국 정부의 코로나 제로 정책 변화 기대를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자 낙폭을 축소하기도 했음. - 그렇지만 애플: -2.63% 등의 생산 문제로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되자 낙폭이 확대 - 장 후반 불러드 총재의 매파적인 발언으로 변동성을 키우며 마감 - 특히 신용평가사 S&P가 미국의 내년 성장률을 -0.1%로 전망하자 중국 코로나 이슈와 함께 경기 침체 이슈를 자극한 점이 하락 요인으로 추정 - 다우: -1.45%, 나스닥: -1.58%, S&P500: -1.54%, 러셀2000: -2.05% 특이 종목 - 테슬라: +0.03% '하이랜드' 라는 명칭으로 제조 비용을 낮추고 전기차 매력을 높이기 위해 모델3 개편.. 2022. 11. 29. 22.10.31 (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부진한 아마존: -6.80% 실적 발표로 대형 기술주가 약세를 보이며 보합권 혼조 출발. - 그렇지만, 아마존은 물론 애플: +7.55%의 CEO 등이 달러 강세가 실적에 막대한 영향을 줬을 뿐 이를 제외한다면 크게 개선되었다고 발표한 데 힘입어 상승 확대. - 특히 시장 참여자들은 연준의 금리인상이 마무리되고 있어 달러 강세가 지속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점이 관련 발언과 함께 투자 심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 - 다우: +2.59%, 나스닥: +2.78%, S&P500: +2.46%, 러셀2000: +2.25% 특이 종목 - 애플: +7.55% 실적 발표 후 환율 이슈가 없었다면 두 자릿수 성장을 했을 것이라는 팀 쿡 CEO의 발언에 힘입어 상승. - 더불어 일부 주요 품목의 매출 .. 2022. 10. 31. 이전 1 ··· 5 6 7 8 9 10 11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