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이크론61

22.10.24 (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옵션 만기를 맞아 스냅: -28.08% 여파로 일부 대형 기술주의 중심 하락 출발했으나, WSJ 티미라오스 기자가 11월 75bp 인상 후 12월 더 적은 금리인상을 논의할 것이라는 기사를 작성한 이후 상승 전환 - 여기에 일본의 엔화가 정부 개입으로 추정된 움직임에 달러화가 약세로 전환한 점도 상승 요인. - 더불어 델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가 금리인상 속도 조절 관련된 발언을 하자 상승폭을 더욱 확대하며 마감 - 다우: +2.47%, 나스닥: +2.31%, S&P500: +2.37%, 러셀2000: +2.22% 특이종목 - JP모건: +5.25%, BOA: +3.71%, 씨티그룹: +3.12%, 골드만삭스: +4.60% 등 금융주는 단기물 금리가 급격하게 하락해 장단기 금리의 역.. 2022. 10. 24.
22.10.21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경제지표를 통해 경기 침체 이슈가 부각되었음에도 견고한 고용지표로 인한 국채 금리 상승 여파로 하락 출발. - 다만 실적에 대한 기대가 부각된 기술주의 강세가 뚜렷하자 나스닥이 한 때 1.5% 상승하기도 했음. - 그러나 연준 위원들의 공격적인 통화정책 관련 발언으로 장 후반 국채 금리의 상승폭이 확대되고 달러화가 강세로 전환하자 - 유틸리티, 산업재 등을 중심으로 하락한 가운데 기술주 중심 매물 출회되며 하락. - 다우: -0.30%, 나스닥: -0.61% , S&P500: -0.80%, 러셀2000: -1.24% 특이 종목 - 테슬라: -6.65% 예상을 하회한 실적과 물류 문제로 차량 인도에 대한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여파로 하락. - 리비안,: -2.44%도 동반 하락했으나, .. 2022. 10. 21.
22.10.20 (목)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부진한 주택지표로 경기 침체 이슈가 불거진 가운데 - 넷플릭스: +13.09%의 견고한 실적에도 불구 - 애보트: -6.54% 의 부진한 실적으로 헬스케어 업종이 큰 폭으로 약세를 보이자 하락 출발. - 물론 반도체 업종이 견고함을 보여 한 때 상승하기도 했으나, 영국 이슈에 따른 달러 강세, 연준의 통화정책 및 카시카리 발언으로 국채 금리 급등이 이어지자 재차 매물 확대 - 그러나 베이지북에서 경기에 대한 자신감과 물가 완화 언급 등이 부각되자 달러 강세폭 축소로 지수 하락폭이 일부 축소되며 마감 - - 다우: -0.33% ,나스닥: -0.85%, S&P500: -0.66%, 러셀2000: -1.72% 특이종목 - 반도체 장비업체인 ASML: +6.27% 예상을 상회한 매출과 다음 .. 2022. 10. 20.
22.10.14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세를 이어가는 등 높은 물가 지표 발표로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고, 국채 금리가 급등하자 나스닥이 3.2% 급락하는 등 장 초반 변동성 확대. - 그러나 높은 물가로 미국 소비가 본격적으로 둔화될 수 있어 향후 물가 하락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자 낙폭 축소. - 여기에 영국 정부의 감세안 추가 변경 기대로 파운드화가 급등하자 (달러화 약세)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며 급격한 상승 전환에 성공. - 저점 대비 5% 넘게 상승. - 다우: +2.83%, 나스닥: +2.23%, S&P500: +2.60%, 러셀2000: +2.41% 특이 종목 - TSMC: +3.92% 분기 이익 급증 발표 등으로 상승. - AMAT: +4.. 2022. 10.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