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이크로소프트8

23.01.02 (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올해 마지막 거래일을 보낸 미 증시는 장중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다가 장 막판 저가 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되며 낙폭을 상당히 줄여 마감. - 22년 연간 전체로 놓고 보면 지난 08년 이후 가장 저조한 성과를 기록. - 다우지수는 22년에 -8.8% 를 기록하며 S&P500: -19.4%, 나스닥: -33.1% 대비 아웃퍼폼. - 올 한 해 동안 미 연준을 비롯한 글로벌 대부분의 중앙은행은 급등하는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 등 고강도 긴축 정책을 단행하며 증시에 부담을 줬음. - 특히 코로나 펜데믹 이후 급등했던 인터넷/ 플랫폼과 같은 성장주, 기술주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 글로벌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은 빅테크 5의 경우, 올해 3조달러 (약 3,800조원) 이.. 2023. 1. 2.
22.09.14 (수) 전일 해외 증시 (휴가 복귀) 미국 증시 동향 - 광범위하고 끈질긴 물가 상승 압력을 확인한 소비자 물가지수 여파로 하락 출발. - 이를 토대로 9월 FOMC에서 100bp 금리인상 가능성이 부각되자 달러 강세 - 국채 금리 급등하며 기술주가 하락을 주도. - 더불어 임대료와 의료 서비스 부문 상승으로 소비자들의 고정지출 확대에 따른 소비 둔화 가능성이 부각되는 등 경기 침체 이슈도 유입되며 반등 없이 하락 지속되었으며 미-중 갈등 확대도 낙폭 확대 요인 - 다우: -3.94%, 나스닥: -5.16% ,S&P500: -4.32%, 러셀2000: -3.91% 특이종목 - 엔비디아: -9.47%, AMD: -8.99%, 마이크론: -7.46%, AMAT: -6.14% 반도체 업종은 물가 지표 발표에 따른 국채 금리 급등 여파로 매물이 출.. 2022. 9. 14.
22.09.07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월가에는 'Don't Fight the Fed' 라는 말이 있는데 오늘 시장의 흐름이 이를 반영하는 모습. - 노동절 연휴를 마치고 개장한 미 증시는 양호한 모습을 보였던 야간선물과 달리 장 초반 유럽 에너지 위기 심화에 따른 차익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출발하였지만 이는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폭을 확대하기도 함. - 그러나 8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와 컨퍼런스보드 고용동향지수 (ETI)가 발표되자 달러 강세 기조 강화와 미 국채금리 상승 폭이 확대되며 대형기술주 중심으로 하락 전환. - 나스닥과 러셀2000 지수는 7일 연속 하락하며 각각 2016년 11월, 2018년 12월 이후 가장 긴 하락세 기록 - 다우: -0.55%, 나스닥: -0.74%, S&P500: -0.. 2022. 9. 7.
22.04.12 (화) 전일 해외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국채 금리 급등으로 기술주 중심 하락. - 연준 위원들의 높은 인플레 장기화 우려 언급 - 뉴욕 연은이 발표한 1년 기대 인플레이션 급등 - 백악관이 물가지표 관련 '비정상적 상승' 언급 -> 국채 금리 급등. - 더해서 상해 봉쇄에 따른 공급망 불안 영향도 부담 - 장 마감 직전 러시아군이 마리우폴 시에서 유독성 화학 물질을 사용했다는 소식 전해지자 대 러시아 제재 강화 우려로 낙폭 확대 - 다우: -1.19%, 나스닥: -2.18%, S&P500 -1.69%, 러셀2000 -0.71% 특이 종목 - 엔비디아: -5.20%: Baird가 유럽과 중국에서 GPU 가격 하락하고 있는데 이는 게임과 암호화폐 매출 둔화, 신규 PC 구매 둔화 등에 의한 것으로 성장세가 위축될 수 있다며 투.. 2022. 4.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