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8 23.02.10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전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와 기업실적 호전에 힘입어 상승 출발했으나 - 장중 차익실현 압력이 커지며 하락 전환 후 낙폭을 더욱 확대 - 최근 구글이 내놓은 인공지능 (AI) 바드의 정확성 논란이 지속되며 약세 흐름을 이어간 가운데, - 테슬라는 다양한 호재성 재료 영향으로 연초 저점대비 100% 이상 상승하며 - S&P500 기업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 - 이에 개인투자자들의 투자심리 개선이 전주대비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남. - 다만 최근 상승에 따른 증시 밸류에 대한 부담 증가와 연준위원들의 강도높은 발언 및 강력한 고용시장 영향으로 미 국채수익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며 차익실현 욕구 키움. - 또한 부채한도 관련 미 의회예산국의 경고도 투자심리에 부정적 영향 - 다우: .. 2023. 2. 10. 23.02.09 (목)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알파벳의 자회사 구글이 며칠 전 내놓은 자체 언어 모델기반의 AI '바드 (BARD)'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내용이 팩트체크 결과 나오면서 구글이 7.7% 급락하며 나스닥 및 S&P500 지수 하락을 주도. - 또한 이날 존 윌리엄스 뉴욕연방준비은행 총재,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등 4명의 FOMC 위원들이 발언에 나섰으나 시장에 중대한 변곡점을 주지는 못함. - 그러나 파월의장과는 다른 결의 내용을 내놓은 만큼 향후 시장 방향성에 지속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 - 다우: -0.61%, 나스닥: -1.68%, S&P500: +1.11%, 러셀2000: -1.52% 특이 종목 -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 -7.7% 이번주 초 공개한 AI 바드 (BARD)의 성능이 떨어진다는 소식과 -.. 2023. 2. 9. 23.02.08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미 증시는 파월 연준 의장 발언을 기다리며 혼조세로 출발한 가운데 개별종목 실적 발표에 따라 등락을 보임. - 그런 가운데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의 Chat GPT 기반의 Bing 검색엔진과 Edge 브라우저 업데이트 계획을 공개. - 이에 전일 대형화AI '바드(BARD)'를 공개한 구글, 기반 기술의 핵심인 엔비디아 등 인공지능 (AI) 테마 관련주들의 주가가 강세를 보이며 나스닥을 비롯한 주요 지수 상승 전환. - 여기에 파월 의장이 대담에서 2023년에는 인플레이션이 크게 감소하는 해가 될 것이라고 언급하자 나스닥이 한 때 1.8% 넘게 상승. - 하지만 강력한 경제지표가 지속될 경우 금리는 더 이상 될 것이라고 말하자 하락 전환하는 등 변동성이 확대되기도 했으나 혁신적 AI.. 2023. 2. 8. 23.02.03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최근 인플레이션 둔화가 가파르게 진행되면서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가 종료될 수 있다는 점, 지난 4분기 유럽을 중심으로 고조되었던 에너지 위기가 없었다는 점 등은 투자심리 개선과 호재성 재료로 작용하며 증시 강세를 견인. - 여기에 올해 첫 FOMC에서 파월 연준의장이 공식적으로 '디스인플레이션'을 언급하며 기대 이상의 발언을 내놓은 것도 긍정적으로 작용. - 이 영향으로 대형 기술주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순매수세 유입되며 나스닥은 3% 넘게 상승 마감. - 미 연준에 이어 영국 (BOE)와 유로존 (ECB) 중앙은행의 통화정책회의 개최. - BOE와 ECB 모두 50bp씩 기준금리를 인상하기로 결정하며 - 영국은 3.5% -> 4.0% , 유로존은 2.0% -> 2.5% 로 상향조정 했.. 2023. 2. 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