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일 국내 시황 정리

23.05.18 (목) 금일 국내 시황 정리

by 밤부스투자 2023. 5. 18.
반응형

- KOSPI: 2,515.40 (DD: +0.83%)

- KOSDAQ: 835.89 (DD: +0.20%)

 

시장 분위기

- 전일 미국 시장이 부채한도 협상 관련 타결 얘기가 있으며 상승했고, 금일 국내 시장도 함께 상승.

- 산업별로는 대부분의 산업이 상승했으며 특히 반도체, 디스플레이, PCB, 건설기계, 건설, 건자재, 자동차, 로봇, 방산, 상사, 임플란트,  산업이 상승을 주도, 

- 인터넷, 게임, 엔터, 드라마제작사, 항공, 여행, 화장품, 의류, 음식료, 바이오, 시멘트 산업이 하락. 

 

산업별 상황

1. 먼저 화장품 산업에 대해 최근 해본 생각을 얘기하고 싶음.

일단 현재 화장품 분류는

1) 아모레퍼시픽, 코스맥스

2) 에이블씨엔씨, 토니모리

3) 클리오

4) 잉글우드랩, 코스메카코리아

5) 아이패밀리에스씨, 씨앤씨인터내셔널

6) 펌텍코리아 ,연우

이렇게 6가지 상황으로 나눠 봐야할 것 같음.

토니모리를 다녀온 결과 현재 관광객수가 4월만큼 5월은 핫하지 않다고함. 나와있는 관광객수 유입 데이타는 4월까지는 매우 급증했고 주가도 반응이 있었기 때문에 이제 화장품 산업 달리봐야하나? 생각은 했는데 결론부터 보면 '아니다'. 이유는 아직은 개인관광객들만 오는거고 단체관광객은 유입이 없고, 현재 화장품 주가들이 오른건 4월까지 개인 관광객 유입이 너무 좋았기 때문. 이 센티가 이어지려면.. 단체관광객이 들어오기 시작해야 해야하는데 아직은 그렇지 못하고 있고, 그 전까지는 위 6가지 분류의 기업들이 실제로 실적이 좋아질 모멘텀이 생길때 주가가 오르는 것으로 추정 됨. 언뜻 보면 이제 리오프닝되고 관광객수 늘면서 화장품 다 좋아지려나 보네?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뜯어보면 그렇게 오른건 에이블씨엔씨, 토니모리 등 뿐임 (에이블씨엔씨는 다른 이슈도 있었긴함).

 실제로 현재 잉글우드랩, 코스메카코리아// 아이패밀리에스씨, 씨앤씨인터내셔널 등은 실적이 좋아지고 대형고객사들 향 매출 늘어나서 올라가는거지 화장품 상승때문에 오르는것은 아닌것 같음.. 

 화장품 대세상승이다 상황이면 연우, 펌텍코리아도 같이 올라야하는데.. 연우는 여전히 헤매고있고, 펌텍코리아는 최근에 블록딜 등 개별 이슈로 상승한것으로 추정 되고.

> 결론: 화장품 산업이 대세 상승할 떄는 아니다. 잠깐 4월까지 관광객 유입수 데이타 좋아서 오른것 뿐. 여러 화장품 업체들이 올라서 다좋아지나보다 싶은데 다 개별적으로 영업잘하고 해외 개척 잘해서 오른것 뿐. 모든 산업에 훈풍이 불 시기는 아닌듯. 그렇다고 현재 실적들이 잘나온 코스메카코리아, 잉글우드랩, 씨앤씨인터내셔널, 아이패밀리에스씨를 지금밸류에서 사는건 너무 부담있는 듯. 그나마 덜오른 토니모리도 모멘텀 너무 적고. 5월 관광객 유입수 데이타 꺾이면 오히려 센티 안좋아 질 것 같다.

 

2. 게임, 엔터는 오늘 빠졌는데 의견은 계속동일하다.

> 상승중 건전한 조정으로 생각되고, 게임은 데브시스터즈, 넥슨게임즈, 엔터는 하반기까지 들고가자 (JYP, 하이브 선호)

 

3. 금일 시장에 DDR5 관련 아비코전자의 삼성전자향 퀄테스트가 통과했다는 이야기가 돌며 상승했는데 이에 따라 기판 업체들도 상승 한것으로 추정됨.

- 티엘비: +8.40%, 해성디에스: +3.98%, 이수페타시스: +3.69%, 심텍: +2.98%

- DDR5 관련주 아비코전자: +21.94%

 

4. 디스플레이 LGD 삼성전자 OLED 공급 이슈 지속되며 상승. 밤에는 디스플레이에 5년간 65조 투자한다는 기사도 나옴

 (전일 삼성SDC가 이마진 인수한다는 뉴스도 작용)

- 야스: +9.82%, 선익시스템: +4.66%, 덕산네오룩스: +2.55%, 피엔에이치테크: +0.55%

> 금일 상승은 삼성SDC 의 이마진 인수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고 에스엔유는 이제 투기수요 몰리는 가격대로 온 것 같고 전체적으로 밸류가 목에 찼음. 매매할꺼면 피엔에이치테크 정도로만 하자. 

 

5. 반도체: 글로벌 매크로 불확실성 해소되는 모습 조금만 보이니까 대형주, 중소형주 다오름. 반도체 재고 피크 찍었고 이제 갈 것 같은데 그냥 사자. 

- 삼성전자: +1.85%, SK하이닉스: +1.85%, 피에스케이: +2.73%, 라온테크: +10.89%, 이오테크닉스: +1.51%

> 그냥 사자. 물려도 들고가면 됨. 

 

6. 임플란트 상승 :금일 오스템임플란트 상장폐지 되면서 덴티움 부각, VBP 로 수혜 온기 이어짐. 

- 덴티움: +2.64%, 레이: +3.07%, 덴티스: -2.25%

> 덴티움은 꺾일때까지 들고가보자.

 

7. 미국 인프라 투자 수혜 기대감과 1분기 실적호조에 대한 온기 이어지며 건설기계들 상승

- 두산밥캣: +4.16%, 진성티이씨: +1.60%, HD 현대건설기계: +2.71%, HD현대인프라코어: +3.79%

> 건설기계쪽은 판단이 좀 어렵다ㅠ 밸류는 아직도 부담은 없지만, 많이 올라서 공부 좀 더 해보자.

 

8. 첨단로봇 산업전략 발표 앞두고 로봇 관련주 강세

- 라온테크 +10.89%, 에스피지: +8.19%, 레인보우로보틱스: +3.25%, 로보티즈: +2.54%

- 러셀: +2.89%, 티라유텍: +2.56%

> 로봇 관련주들은 현재는 테마성으로 생각. AMR 관련주만 매매. 

> 다른 로봇을 매매하고 싶다면 손절라인 정해놓고하자. 정책 이슈 있었고 과거 상승이 강했기에 투기수요 기회만 되면 붙는 듯.

 

9. 자동차: 전일 하락은 그동안 연일 상승에 대한 쉬어가기로 하락으로 추정 오늘은 상승.

- 현대차: +0.98%, 기아: +2.04%, 현대모비스: +2.69%, 대원강업: +3.83% 

 

10. 2차전지: 시장과 함께 상승.

 > 아직 애매한것 같다. 좀 더 기다려보자.

 

11. 화학은 아직, 수요 개선까지 좀 시간 더 필요하므로 애매. (나중에 사자), 철강은 전방 상황 다 나쁘지 않지만 주가 상승 속도가 느릴 것으로 생각되므로 빠질떄 이평 지지 받을때 사자. (느린거 싫으면 안사도 될듯)

 

12. 산업중 하락한거는 드라마제작사, 광고 관련 산업등만 하락이 이해가 되고.. 산업별로보면 여전히 더 나빠질 구간은 없음.. 바이오하락 (특히 오스코텍, 유한양행 등) 은 오히려 매수기회인듯 (ASCO 모멘텀+부담없는 자리)

 

종목 뉴스

HLB, 호재 발표 뒤 하락 전환…장중 8% ↓  

“피프티피프티 유통사 아닌데요”… 오해로 급등했던 지니뮤직, 13% 급락

엑스게이트, SKT와 양자암호통신 VPN 개발에 강세  

철강업체 주가 강세…하이스틸 20%대 급등
  
서울반도체, 유럽 특허소송 승소 보도에 신고가  

"티타늄 채굴 경제성, 현재 판단 불가"…경동인베스트 9%대 급락  

한화시스템, 투자 성과 가시화 전망에 2%대↑  

한국항공우주,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감에 상승세  

SK에코플랜트, 그린수소 사업 기대로 장외서 오름세  

옴니시스템, 230억원 규모 유상증자 소식에 하락  

이엠코리아, 106억 투자 창원공장 증축에12%대↑  

반도체 AI 기대감…삼성전자, 1%대 올라 6.6만원  

옴니시스템, 230억 규모 주주배정 유증에 20%대 약세

 

수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