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동향
- 미 증시는 CS에 대한 스위스 중앙은행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미국 지역 은행들의 급락이 이어지며 하락 출발
- 한편, 50bp 금리인상을 단행한ECB가 은행을 지원을 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발표했고,
- 35% 가 급락하던 퍼스트 리퍼블릭 (:+9.98%) 에 대한 미국 대형 은행들의 지원 발표 후 금융주의 강세로 상승 전환.
- 더불어 금융시장 혼란으로 안전한 대형 기술주와 연준 통화정책 변화 기대로 반도체 등 기술주의 힘으로 상승폭 확대 마감
- 다우: +1.17%, 나스닥: +2.48%, S&P500: +1.76%, 러셀2000: +1.45%
특이 종목
- 퍼스트 리퍼블릭: +9.98%
유동성 위기 우려 속 장 초반 35% 급락했으나, 대형 은행들의 최대 300억 달러 지원 발표에 급등세로 전환
- 피치가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 관찰 대상에 올리자 급락했던 웨스턴 얼라이언스: +14.10% 도 관련 소식에 안정을 찾으며 급등.
- 더불어 이스트 웨스트: +2.94%, 키코프: +4.51% 등 지역은행은 물론
- JP모간: +1.94%, BOA: +1.68%, 씨티그룹: +1.78% 등 대형 은행주들도 강세
- 스냅: +7.25%
미 정부가 중국 창업자들이 보유한 지분 매각을 압박하고 이에 따르지 않을 시 미국에서의 틱톡 사용을 금지할 것이라는 소식에 상승.
- 자동화 소프트웨어 업종인 유아이패스: +17.62% 는 예상을 크게 상회한 실적 발표 후 급등
- 어도비: +5.90%
전일 견조한 실적 발표로 상승한 가운데
- 세일즈포스: +2.40%, 서비스 나우: +4.77% 등 소프트웨어 업종도 동반 상승
- MS: +4.05%, 알파벳: +4.38%, 아마존: +3.99%, 애플: +1.87% 등 대형 기술주는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수혜주로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 알파벳은 유튜브 TV 가격 인상 발표도 영향.
- 그런 가운데 엔비디아: +5.42%, AMD: +7.72%, 마이크론: +4.51% 등 반도체 업종과 더불어 연준의 통화정책 변화 기대로 매수세 유입되며 상승.
- 달러 제너럴: -2.96%
예상을 하회한 실적을 발표하자 하락
- EC가 중요한 원자재법을 발표해 역내 원자재 이용을 늘려야 한다고 발표하자 중국 이용이 많은 솔라에지: -6.81%, 징코솔라: -4.75%, 선런: -3.36% 등 태양광 업종은 부진
주요 경제 지표
미국 2월 주택 착공 건수
- 지난달 발표된 132.1만 건이나 예상치인 131.5만 건을 상회한 145만 건을 기록
- 착공허가 건수는 133.9만 건을 크게 상회한 152.4만 건을 기록
미국 신규 실업 수당 청구건수
- 지난주 발표된 21.2만건이나 예상치인 20.5만 건을 하회한 19.2만 건을 기록
- 4주 평균은 19만 7,250건 보다 감소한 19만 6,500건으로 발표
3월 필라델피아 연은지수
- 지난달 발표된 -24.3보다 개선된 -23.2로 발표됐으나, 예상치인 -15.87을 하회
미국 수입 물가
- 전월 대비 0.4% 하락이나 예상치인 0.2% 하락보다 높은 0.1% 하락에 그침.
- 전년 대비로는 0.9% 상승에서 1.1% 하락으로 전환해 향후 물가 하방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
국제 유가
- 은행주 우려가 완화되며 위험 자산 선호심리가 높아지자 달러화가 약세를 보였고 이에 힘입어 상승
- 더불어 사우디 에너지 장관과 러시아 부총리가 사우디에서 시장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논의했다는 소식도 상승 요인.
- 미국 천연가스와 유럽 천연가스는 최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 그런 가운데 목재 가격이 26%나 폭등했는데 지난해 가격 급락으로 생산량을 줄였고, 여기에 주택 지표가 개선되자 향후 수요 증가 기대가 높아진 점이 영향.
금
- 안전자산 선호심리 감소로 하락
- 구리 및 비철금속은 달러 약세 및 중국의 경기 부양 기대 등으로 상승
한국 증시 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 : 3.05% 상승
- MSCI 신흥 지수 ETF: 1.53% 상승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 1,299.18원으로 이를 반영시 달러/원 환율 15원 하락 출발 예상
- Eurex KOSPI200 선물: 1.18% 상승. KOSPI: 1%대 상승 출발 예상
출처: 미래에셋증권
밤부스 생각
- 시장 안정화 과정.
- 사두자.
- 올해 23년 이 은행 파동 거의 끝나가고 시장은 개인투자자들에게 좋을 것.
- 기관 투자자들도 들고가는 전략 보단 매매 전략이 유리할 것.
'전일 해외 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3.21 (화) 전일 해외 증시 (0) | 2023.03.21 |
---|---|
23.03.20 (월) 전일 해외 증시 (0) | 2023.03.20 |
23.03.16 (목) 전일 해외 증시 (0) | 2023.03.16 |
23.03.15 (수) 전일 해외 증시 (0) | 2023.03.15 |
23.03.14 (화) 전일 해외 증시 (0) | 2023.03.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