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일 해외 증시

23.03.16 (목) 전일 해외 증시

by 밤부스투자 2023. 3. 16.
반응형

미국 증시 동향

- 크레디트 스위스: -13.94% 가 파산 우려가 부각되며 급락하자 금융주 중심으로 하락

- 더불어 이 영향으로 글로벌 경기에 대한 우려 속 국제유가의 급락세가 이어지자 에너지 업종도 동반 하락

- 그러나 장 후반 스위스 정부가 크레디트 스위스 안정을 위한 옵션을 논의하고 있다는 소식낙폭을 축소.

- 특히 유로화 약세로 강세를 보이던 달러화가 그 폭을 축소하자 재무제표가 견고한 대형 기술주의 강세가 뚜렷하게 진행되며 나스닥은 상승 전환하는 등 하락폭을 축소하며 마감

 

- 다우: -0.87%, 나스닥: +0.05%, S&P500: -0.70%, 러셀2000: -1.74%

 

특이 종목

- 크레디트 스위스: -13.94% 파산 우려가 부각되며 급락하자 부실 우려가 부각되었던

- 퍼스트리퍼블릭: -21.37%, US뱅코프: -5.52% 등도 부진

- 한편, CS의 이슈가 부각되자 JP모건: -4.72%, BOA: -0.94%, 웰스파고: -3.29% 는 물론 

- 골드만삭스: -3.09%, 모간스탠리: -5.09% 등도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 반면, 전일 수급적인 요인으로 급등에서 장중 한 때 하락했던 웨스턴 얼라이언스 뱅코프: +8.30% 는 과매도 기대 속 상승.

- 찰스 슈왑: +5.09% 도 과매도 기대 속 실리콘밸리 붕괴 후 큰 승자가 될 수 있다는 평가가 유입되며 강세

 

- 엑슨모빌: -4.97%, 셰브론: -4.33%에너지 업종은 물론

- 프리포트 맥모란: -6.65%, 뉴코: -7.32%광산업종 

- US스틸: -9.65% 철강 업종

-그리고 캐터필러: -3.73% 등 기계업종은 물론

- 허니웰: -2.51% 등 산업재와 함께

- 보잉: -4.38%, 델타 항공: -6.32% 등 항공주, 부킹홀딩스: -2.42% 등의 여행주는 금융주 변동성 확대에 따른 경기 위축 우려로 하락.

 

- 반면, 알파벳: +2.28%, MS: +1.78%, 아마존: +1.39%, 애플: +0.26%, 메타 플랫폼스: +1.92% 등 대형 기술주는 상대적으로 견고한 재무제표를 기반으로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대응 속 상승.

- 월마트: +1.12%, 코스트코: +0.78% 등의 필수 소비재,

- 듀크에너지: +1.83% 등의 유틸리티, 

- 아메리칸 타워: +1.25% 등의 리츠 금융 업종 등 경기 방어주들은 견고한 모습

 

주요 경제 지표

미국 2월 소매판매

- 지난달 발표된 전월 대비 3.2% 증가나 예상치인 0.3% 감소보다 부진한 0.4% 감소로 발표

- 운송과 가솔린을 제외한 수치전월 대비 2.8% 증가를 뒤로하고 보합을 보여 예상치인 0.9% 감소보다는 양호

 

미국 2월 생산자물가지수

- 지난달 발표된 전월 대비 0.3% 상승을 뒤로하고 전월 대비 0.1% 하락.

- 전년 대비로는 5.7% 에서 4.6% 로 하락

- 식품과 에너지, 무역 서비스를 제외한 수치는 전월 대비 0.5% 상승에서 0.2%로 둔화된 가운데 전년 대비로는 4.4% 를 유지.

 

3월 뉴욕주 제조업지수

- 지난달 발표된 -5.8이나 예상치인 -7.7을 크게 하회한 -24.6으로 발표

- 신규주문이 -7.8에서 -21.7로 크게 위축된 가운데 고용지수 등 대부분이 둔화.

 

1월 기업 재고

- 지난달 발표된 전월 대비 0.3% 증가에서 0.1%감소로 위축.

 

미국 3월 주택 시장 지수

- 지난달 발표된 42나 예상치인 41를 상회한 44로 발표.

- 비록 기준선인 50을 하회하고 있으나, 3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향후 주택 지표 개선을 기대

 

국제 유가

- 크레디트 스위스 사태로 인해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부각되자 하락.

- 특히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약화된 가운데 달러화의 강세도 국제유가 하락 요인 중 하나

- 이 여파로 WTI 가 배럴당 70달러 미만으로 하락해 2021년 12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임.

- 미국 천연가스는 미국의 기온이 역사적인 평균을 상회하는 등 온화한 날씨로 수요 둔화 이슈부각되자 하락

 

- 달러 강세 불구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부각되며 상승

- 구리 및 비철금속은 CS사태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부각되자 하락.

 

한국 증시 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 1.61% 하락

- MSCI 신흥 지수 ETF: 1.71% 하락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 1,312.25원으로 반영시 달러/원 환율 8원 상승 출발 예상

- Eurex KOSPI200 선물: 0.92% 하락. KOSPI: 0.7% 내외 하락 출발 예상

글로벌 지수
주요 ETF, 섹터지수
주요 원자재

밤부스 생각

- 지난 금융위기때의 경험으로 이번 사태들이 시스템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 많이 적음

- 정부들의 개입으로 조만간 다시 완화되고

- 경제지표는 연준 의도대로 가고있으므로

- 시장은 다시 안정세를 찾고 갈 것.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