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일 해외 증시

23.02.10 (금) 전일 해외 증시

by 밤부스투자 2023. 2. 10.
반응형

미국 증시 동향

- 전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와 기업실적 호전에 힘입어 상승 출발했으나 

- 장중 차익실현 압력이 커지며 하락 전환낙폭을 더욱 확대

- 최근 구글이 내놓은 인공지능 (AI) 바드의 정확성 논란이 지속되며 약세 흐름을 이어간 가운데,

- 테슬라는 다양한 호재성 재료 영향으로 연초 저점대비 100% 이상 상승하며

- S&P500 기업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

- 이에 개인투자자들의 투자심리 개선이 전주대비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남.

- 다만 최근 상승에 따른 증시 밸류에 대한 부담 증가와 연준위원들의 강도높은 발언 및 강력한 고용시장 영향으로 미 국채수익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며 차익실현 욕구 키움.

- 또한 부채한도 관련 미 의회예산국의 경고도 투자심리에 부정적 영향

 

- 다우: -0.73%, 나스닥: -1.02%, S&P500: -0.88%, 러셀2000: -1.40%

 

특이 종목

-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 -4.4%

 최근 내놓은 인공지능 (AI)바드의 정확성 논란이 지속되며 약세 흐름 이어감.

- 그러나 월가 IT 전문 애널리스트들은 마이크로소프트: -1.2% 가 ChatGPT 를 앞에숴 AI 부문에서 선점효과를 누리고 있지만 구글을 소유한 알파벳의 저력을 무시할 수 없다고 주장.

 

- 또한 이날 실적을 발표한 MGM: +6.4% 과 윈리조트: +4.8% 는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발표하며 소비자들이 경험에 더 많은 지출을 하고 있다는 소식에 강세.

- 이에 제프리스는 라스베가스가 지글지글 끓기 시작했따며 고객경험기반 분야의 강력한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전일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디즈니: -1.3% 역시 시장 예상을 상회한 실적을 견인한 건 테마파크 분야로 지난 분기 매출이 21%나 증가했기 때문

 

- 테슬라: +3.0%

 연초 52주 저점대비 100% 넘는 상승세를 기록했는데, 미 교통안전국 NTSB 이 2년 전 발생한 테슬라 차량 충돌사고에서 오토파일럿(Autopilot)이 원인이 아니라는 결정과 오는 3월 1일 투자자의 날 행상, 1월 중국 차량 판매 증가 등 호재성 재료에 상승.

 

- 애브비: +0.1%와 아스트라제네카: +4.8% 

올해 긍정적 전망을 내놓으며 강세.

- 애브비는 블록버스터 의약품 휴미라의 매출이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오는 2026년까지 매해 40억 달러를 훨씬 상회할 것이라고 밝힘.

- 아스트라제네카는 올해 30개 이상의 신약후보물질이 임상 3상에 들어갈 예정이고 이 중 10개는 1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 반면 크레딧스위스: -15.6%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대 연간 손실을 기록한 영향으로 급락.

 

 주요 경제 지표

독일 1월 소비자물가지수 잠정치

- 전년 동기대비 8.7%를 기록하며 전월(8.6%) 대비 증가했지만 시장 예상 8.9%는 하회.

- 다만 전월대비로는 예상 0.8%를 상회한 1.0%를 기록한 점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냄.

- 특히 독일의 소비자물가 지수가 중요한 이유는 유로존 인플레이션을 계산하는데 사용된 모든 가격 데이터의 4분의 1을 차지하기 때문.

 

천연가스

- 미 에너지 정보청EIA는 주간 천연가스 재고가 전주 (-151bcf) 대비 크게 감소 (-217bcf) 했다는 소식에 2.7% 상승.

- 최근 6거래일째 보합권 등락을 보이며 지난 12월 중순이후 지속된 가격 하락세가 일단 진정된 모습.

- 미국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29개월래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음.

 

- 반면 유럽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하락을 했는데, 독일 정부기관 (Federal Network Agency)에 따르면 현재 겨울의 나머지 기간 동안 가스 부족이 발생할 가능성이 없다고 밝혔기 때문.

- 현재 천연가스 저장고에 저장된 용량은 75% 수준으로 과거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지난 주 기준 소비자들의 평균가스소비량은 2018~2021년 대비 14.3% 낮음.

- 또한 지난 해 12월 21일부터 본격 가동된 액화천연가스 (LNG) 터미널 2곳과 오는 2월말 새롭게 운영될 세번째 LNG터미널까지 포함하면 천연가스 공급난에 대한 우려가 크게 감소하기 때문

 

한국 증시 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 0.24% 하락

- MSCI 신흥 지수 ETF: 0.47% 상승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 1,263.20원으로 반영시 달러/원 환율 2원 상승 출발 예상.

- Eurex KOSPI200 선물: 0.13% 하락. KOSPI: 0.2% 내외 하락 출발 예상.

글로벌 지수

 

주요ETF, 섹터 지수
주요 원자재

출처: 미래에셋증권

 

밤부스 생각

- 조정이 오더라도 약한 조정오고 시장 계속 갈 듯.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