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동향
- 크게 개선된 고용지표로 인한 달러 및 금리 급등 여파와 대형 기술주가 실적 부진으로 약세를 보이자 하락 출발했으나 ISM 서비스업지수가 크게 개선되자 경기에 대한 자신감이 유입되며 상승 전환에 성공.
- 특히 부진한 실적 발표한 애플: +2.44% 이 상승 전환하는 등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대체로 안정. 그렇지만, 오후 들어 달러 강세 및 금리 상승이 꾸준한 모습을 보이자 대형주 기술주 중심으로 그동안 상승에 따른 차익 실현 욕구가 높아지며 재차 낙폭 확대하며 마감
- 다우: -0.38%, 나스닥: -1.59%, S&P500: -1.04%, 러셀2000: -0.78%
특징 종목
- 아마존: -8.43%, 알파벳: -3.29%
부진한 실적과 클라우드 서비스 성장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자 하락.
- 다만, 장중 경기에 대한 자신감 속 낙폭을 축소하기도 했으나, 장 후반 연초 대비 상승폭이 컸던 점을 감안 매물 출회되며 재차 낙폭을 확대하며 마감하는 차익 실현 욕구가 강화.
- MS: -2.36%, 스노우플레이크: -8.29%, 패스틀리: -4.87%, 트와일로: -4.51%, 엔비디아: -2.81% 등과 글로벌 X 클라우등 컴퓨팅 ETF: -2.59% 등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종목군 중심으로 하락.
- 애플: +2.44%
예상을 크게 하회한 부진한 실적 발표 등으로 하락 출발했으나, 핵심 서비스 부문 매출 증가와 1분기 아이폰 판매가 가속화 될 것이라는 전망 등이 유입되자 상승.
- 특히 팀 쿡 CEO가 현재 생산은 정상화 되었다고 주장한 점이 긍정적인 영향.
- 스카이웍: -0.79%, 쿼보: -0.08% 등 부품주들이 소폭 하락에 그친 요인.
- 퀄컴: -0.61%
엇갈린 실적 발표와 부진한 가이던스에 실망하며 하락했으나, 애플과 스마트폰에서 벗어나 사업 다각화에 힘을 주고 있다는 소식으로 낙폭 축소.
- 스타벅스: -4.44%
중국 판매 부진으로 악화된 실적 발표되자 하락.
- 테슬라: +0.91%
트윗과 관련된 재판에서 긍정적인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독일에서 테슬라 1월 판매 증가 소식에 힘입어 상승.
- 여기에 인플레이션 감소 법안 규정 변경으로 소형 SUV에 세급 공제를 적용할 수 있게 된 점, 모델 Y 가격을 인상 소식에 시간 외 상승.
- 포드: -7.61%
예상을 하회한 실적 발표로 하락.
- 특히 도이체방크가 매도로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한 점도 부담.
주요 경제 지표
미국 1월 비농업고용자수
- 지난달 발표된 26만 건과 예상치인 18만 5천 건을 크게 상회한 51.7만건을 기록.
- 실업률은 3.5%에서 3.6%로 개선.
- 시간당 임금은 지난달 발표된 전월 대비 0.4% 를 하회한 0.3%로 , 전년 대비로 4.9%에서 4.4%로 하향돼 예상에 부합.
미국 1월 ISM 서비스업지수
- 지난달 발표된 49.2나 예상치인 50.4를 크게 상회한 55.2로 발표
- 세부 항목을 보면 신규 주문이 45.2에서 60.4로 크게 개선된 가운데
- 신규 수출 주문도 47.7에서 59.0으로 개선된 점이 특징.
국제 유가
- 지속적인 원유 재고 증가 소식으로 투자 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달러화 강세가 부담을 주며 하락
- 더 나아가 금리가 급등하자 연준의 매파적인 행보 가능성이 부각된 점도 하락 요인.
- 미국 가솔린 가격도 재고 증가 소식에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 천연가스 또한 따뜻한 날씨가 전망됨에 따라 하락.
- 유럽 천연가스는 노르웨이 정전 및 유지 보수 등으로 공급 감소 가능성이 부각되자 상승
달러화
- 예상을 크게 상회한 비농업 고용자수가 발표되자 여타 환율에 큰 폭으로 강세를 보이며 출발.
- 이후 일부 되돌림이 유입되기는 했으나, ISM 서비스업지수도 급격하게 개선되자 경기에 대한 자신감이 유입되며 강세폭 확대.
- 역외 위안화는 달러 대비 1% 대 약세를 보인 가운데 호주 달러와 브라질 헤알 등은 2% 내외 약세를 보임.
금
- 달러 강세 여파로 큰 폭으로 하락.
- 더 나아가 경제지표 개선에 따른 경기에 대한 자신감도 하락 요인.
- 비철금속은 달러 강세 여파로 하락.
한국 증시 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 2.61% 하락
- MSCI 신흥 지수 ETF: 1.78% 하락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 1,247.20원으로 반영시 달러/원 환율 17원 상승 출발 예상
- Eurex KOSPI200 선물: 0.60% 하락. KOSPI: 0.7% 내외 하락 출발 예상.
밤부스 생각
- 23년 종목주 뿐 아니라 시장이 우상향 될 가능성도 낮지 않아보임.
- 지금이라도 따라 사자.
- 23년은 돈 벌 해다. 계속해서 언급하지만.
'전일 해외 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2.08 (수) 전일 해외 증시 (0) | 2023.02.08 |
---|---|
23.02.07 (화) 전일 해외 증시 (0) | 2023.02.07 |
23.02.03 (금) 전일 해외 증시 (0) | 2023.02.03 |
23.02.02 (목) 전일 해외 증시 (0) | 2023.02.02 |
23.02.01 (수) 전일 해외 증시 (0) | 2023.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