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일 해외 증시

22.09.26 (월) 전일 해외 증심

by 밤부스투자 2022. 9. 26.
반응형

미국 증시 동향

- 영국의 대규모 부양정책으로 인플레이션 고조에 대한 우려를 부추겼으며 이는 금리인상을 확대해 결국 글로벌 경기 침체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며 한 때 3% 가까이 하락.

- 더불어 금리 급등이 결국 기업들의 실적 영향을 줘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도 영향.

- 그러나 장 마감 앞두고 바이든이 최근 미 증시 하락에 대해 주시하고 있다고 발표하고, 경기 침체가 상대적으로 낙폭이 제한될 수 있는 대형 기술주와 경기 방어주 중심으로 낙폭 축소되며 마감

 

- 다우: -1.62%, 나스닥: -1.80%, s&p500: -1.72%, 러셀2000: -2.48%

 

특이종목

- 코스트코: -4.26%

 견고할 실적을 발표한 이후 회원가를 인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하자 하락

 

- 퀄컴: -2.01%

 jp모건이 자동차향 매출 증가 기대를 이유로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했음에도 지수 하락 여파로 부진

- amd: -2.22%

 모건스탠리가 overweight 의견을 유지한 가운데 계속해서 광범위한 재고 조정이 영향을 주고 있다고 발표 속 하락.

- 마이크론: +0.89%

 실적 발표를 앞두고 공급 이슈가 해소되는지, 업황 개선 시점은 언제가될지 여부에 관심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 가운데 상승.

- 엔비디아: -0.36%

  최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 속 제한적인 하락.

 

- 카니발: -7.16% 등 크루즈 업종

 부채가 많아 경기 침체 및 금리 상승에 취약하다는 점이 부각되자 하락.

 

- 아마존: -3.01%, 온라인 중고차 판매 업체인 카나바: -2.85%

 온라인 판매 업종은 구매력 악화 우려로 하락.

 

- 엑손모빌: -5.32% 등 에너지, 캐터필라: -3.70% 등은 경기 침체 우려로 하락.

 

- 도미노피자: +3.08%

 패스트푸드 체인의 반등을 이유로 BMO가 투자의견을 상향 조정하자 강세

- 맥도날드: -0.80%, 윰 브랜드: -0.13% 등도 지수 부진에도 불구하고 소폭 하락 마감

- 애플: -1.51%

 모건스탠리가 아이폰에 대한 강력한 수요가 진행되고 있다며 투자의견을  overweight으로 유지했으나, 경기 침체 우려 속 한 때 2.7% 넘게 급락하기도 했음.

- 그러나 장 마감 앞두고 결국은 대형 기술주가 경기 침체 속에서도 견고할 것이라는 분석 속 반발 매수 유입되며 낙폭 축소.

- 이는 MS: -1.27%, 알파벳: -1.39% 등에도 영향을 주며 관련 종목의 낙폭이 축소.

 

한국 증시 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 3.49% 하락

- MSCI 신흥 지수 ETF :2.47% 하락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 1,419.98원으로 이를 반영시 달러/ 원 환율은 10원 상승 출발 예상.

- Eurex KOSPI200 선물: 1.90% 하락했으며 KOSPI는 1.3% 내외 하락 출발 예상

글로벌 지수
주요 ETF, 섹터지수
주요 원자재

 

출처: 미래에셋증권

 

밤부스 생각

- 연준이 바보도 아니고 왜이렇게 금리인상 빠르게 할까. 침체 생각 안하나 생각해봤는데

- 이게 연준의 의도인듯 하다. 

- 지금 러시아가 공급 조이면서 물가 쥐락 펴락하고있는데 여기서 지면

- 미국의 글로벌 정치 패권에 힘이 줄어들기 때문에

- 글로벌 경기 망가뜨려서라도 이 러시아 의도 꺾겠따. 그래서 미국의 우위를 보여주겠다. 마인드 같음.

- 그래서 결론은 금리인상 여기서 정말 더할까 생각을 하는데

- 더 할꺼고 경기 쎄게 부러뜨리고 물가 폭락하면 

- 물가도 잡고, 모든 글로벌 눈초리는 러시아로 가고. 미국의 의도대로됨.

- 다만 그런 폭락이오고 물가가 잡히면 다시 금리 인하를 그만큼 빨리 할 듯.

- 이번 금리인상을 다시 돌이키는데 금리인하는 과거 10년 걸렸다. 이런 과거 데이타 가지고 주로 얘기하는데

- 이번에는 케이스가 다르므로 쎄게 부러뜨리고 빨리 회복시킬 듯.

- 그때 사자.

- 현금 비중 늘리는 전략 유지. 종목 플레이만 고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