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동향
- 과도한 하락을 감안한 반발 매수 심리가 높아진 가운데 러시아 천연가스 공급 재개 기대가 부각되자 본격적인 상승.
- 특히 관련 이슈로 달러 대비 강세를 보인 가운데 '경기 침체' 우려가 완화된 점이 긍정적인 영향.
- 여기에 개인 소비 등을 감안 경기 침체 이슈는 과도 했다는 소식도 영향.
- 이에 힘입어 그동안 하락을 주도했던 반도체와 소프트웨어를 비롯한 기술주는 물론 여행, 레저, 항공, 금융, 산업재 등 대부분 업종이 상승.
- 다우: +2.43%, 나스닥: +3.11%, s&P500: +2.76%, 러셀 2000: +3.50%
특이 종목
- 러시아 가스 공급 재개 소식은 유럽 경기에 대한 우려를 완화.
-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협약 소식도 영향을 주자
- 부킹닷컴: +5.52% 등 여행주와
- CDC의 규제 종료 소식에 카니발: +7.36% 등 크루즈
- 델타항공: +4.69% 등 항공주
- 디즈니: +4.09% 등 레저 업종
이 강세를 보였으며,
광고 수익에 대한 기대로 확산되자
- 알파벳: +4.38%, 메타 플랫폼: +5.11% 등은 물론 엔비디아: +5.53%, AMD: +5.46%, 인텔 +3.90% 등 반도체 업종이 상승을 주도.
- 물론 경기에 대한 자신감과 과도한 하락에 대한 기대 심리가 부각된 점도 기술주 강세 요인.
- 트위터: +2.81%
일론 머스크와의 M&A 관련 긴급재판 관련 승소 판결 소식에 상승.
- 테슬라: +2.07%
한 때 하락하기도 했으나, 가상 자산 시장의 급등이 지속되자 상승 전환.
- 반도체 칩의 외국 의존도가 높아 칩 부족에 따른 우려가 여타 국가에 비해 더 심화 될 수 있다는 소식이 부각되자
- 니오: -3.07%, 샤오펑: -3.76%, 리오토: -4.72% 등 중국 전기차 업종은 부진.
- IBM: -5.25%
견고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달러 강세로 인해 약 35억 달러의 피해를 입을 것으로 경고하자 하락
- J&J: -1.46%
견고한 실적 발표에도 달러 강세로 연간 전망을 하향 조정하자 하락.
- 장난감 제조업체: 하스브로: +0.71%
양호한 실적 발표에도 불구하고 하락하기도 했으나 결국 상승 전환.
- 넷플릭스: +5.61%
장 마감 후 견고한 실적 발표와 예상보다 양호한 가입자수 감소 발표로 시외 7%대 급등.
한국 증시 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 2.46% 상승.
- MSCI 신흥 지수 ETF: 1.65% 상승.
- NDF 달러/ 원 환율 1개월물: 1,306.43원으로 반영시 달러/원 환율 8원 하락 출발 예상.
- Eurex KOSPI200 선물: 1.35% 상승. 반영시 KOSPI :1% 대 상승 출발 예상.
출처: 미래에셋증권
밤부스 생각
- 어제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4.61% 급등.
- 국내 시장 대형 반도체 위주로 시장 성장 이끌고, 반도체 전, 후공정 함께 밀 듯.
- 중소형 주들은 오히려 수급상 약할 가능성 높음.
- 시장은 올라갈거니 기다리자. 2,500때부터 다시 어찌할지 대응책 생각하기.
'전일 해외 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7.22 (금) 전일 해외 증시 (0) | 2022.07.22 |
---|---|
22.07.21 (목) 전일 해외 증시 (2) | 2022.07.21 |
22.07.19 (화) 전일 해외 증시 (0) | 2022.07.19 |
22.07.18 (월) 전일 해외 증시 (0) | 2022.07.18 |
22.07.15 (금) 전일 해외 증시 (0) | 2022.07.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