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A20

22.09.21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유럽의 경기 침체 우려가 여전한 가운데 포드: -12.32% 의 공급망 불안에 따른 실적 부진 이슈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며 하락 출발 - 더불어 FOMC를 앞두고 국채 금리가 금리인상 기조를 반영하며 10년물 기준 3.5%를 상회한 점도 부담. - 결국 시장은 경기 위축 이슈가 여전한 가운데 FOMC에 대한 불안 심리로 부진. - 다만, 애플: +1.57% 등은 개별적인 이슈로 강세를 보이며 낙폭 일부 축소되는 등 종목 장세도 특징. - 다우: -1.01%, 나스닥: -0.95%, S&P500: -1.13%, 러셀2000: -1.40% 특이 종목 - 포드: -12.32% 공급망 차질로 미완성차 재고가 늘면서 차량 인도대수 감소를 경고하자 실적 둔화 이슈를 자극하며 급락. -GM: -.. 2022. 9. 21.
22.07.15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금융주가 대손충당금 증액 여파로 부진한 실적을 발표하자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2분기 실적 시즌에 대한 우려로 2% 대 하락하기도 했음. - 더불어 전일 부각된 7월 FOMC 에서 100bp 인상 가능성도 영향 - 그러나 연준 위원들의 발언으로 관련 우려가 완화된 가운데 실적 시즌에 대한 기대가 부각된 반도체 업종 등의 영향으로 낙폭 축소되었으며, 나스닥은 상승 전환에 성공하는 등 변화폭은 확대 - 다우: -0.46%, 나스닥: +0.03%, S&P500: -0.30%, 러셀2000: -1.07% 특이종목 - JP모건: -3.49% 경기에 대한 우려 속 대손 충당금 증액으로 예상을 하회한 실적을 발표하자 하락. 특히 자사주 매입을 일시적으로 중단한다고 발표한 여파로 낙폭이 확대 - 모건스.. 2022. 7. 15.
22.05.24 (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JP모건 (+6.19%)의 순이자 마진 상향 조정과 견고한 경제지표를 통해 최근 하락 요인 중 하나인 '경기 침체' 이슈가 완화되자 상승. '- 여기에 바이든 대통령이 대 중국 관세 인하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한 점도 긍정적. '- 다만, 장 초반 나스닥의 하락을 부추긴 일부 개별 종목 이슈가 지속되는 등 업종별 차별화 장세가 진행된 가운데 금융과 에너지, 대형 기술주가 상승 주도하며 마감 - 다우: +1.98%, 나스닥: +1.59%, S&P500 +1.86%, 러셀2000 +1.10% 특이종목 - JP모건: +6.19% 투자자의 날을 맞아 순이자 마진 전망을 상향 조정하자 급등. 특히 다이먼 CEO는 강력한 소비와 기업의 이익으로 부실 대출에 따른 충당금이 올해는 .. 2022. 5. 24.
2022.04.19 (화) 해외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미국 증시는 실적 시즌 진행됨에 따라 종목 장세 보이며 혼조세로 출발 후 세계은행 (WB)의 글로벌 성장률 하향 조정 여파로 경기에 대한 우려 속 하라폭이 확대 - 다만, 호 실적을 발표한 금융주가 주도한 가운데 반도체 업종이 강세를 보이며 상승 전환에 성공하기도 했음. - 장 마감 앞두고는 방향성 없이 종목 장세 속 경기 둔화에 주목하며 재차 매물 출회되며 하락하기도 했음. - 국채 금리 영향으로 소폭 하락 - 다우: -0.11%, 나스닥: -0.14%, S&P500 -0.02%, 러셀2000: -0.74% 특이종목: - BOA : +3.41% 소비자 대출 부문 강세에 힘입어 실적 호전을 발표하자 상승. 더불어 국채 금리 상승도 강세 요인 - JP 모건: +1.86%, 씨티그룹: +.. 2022. 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