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이자12

22.08.12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7월 소비자물가지수에 이어 생산자물가지수까지 시장 예상 대비 크게 개선되는 모습으로 발표되며 경기에 대한 자신감이 확산되는 모습. - 미국의 경기를 반영하는 10년물 국채금리가 전일대비 +10bp 상승하며 +1bp 상승에 그친 2년물과의 스프레드를 축소하며 주초 50bp 수준까지 확대되었던 장단기금리차 (10년~2년) 가 35bp 까지 축소. - 물론 10년물 국채금리 상승에 부담을 느낀 투자자들이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을 출회하며 시장 전체적으로 혼조세로 마감 - 다우: +0.08%, 나스닥: -0.58%, S&P500: -0.07%, 러셀2000: +0.31% 특이업종 및 종목 - 국제에너지기구 (IEA)가 글로벌 원유 수요 전망을 상향 조정함에 따라 국제유가가 2%넘.. 2022. 8. 12.
22.07.21 (목)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구글이 일시적 고용 중단을 발표하자 하락하기도 했지만, 넷플릭스: +7.36% 효과로 기술주 중심 강세가 이어지자 나스닥이 2% 가까이 상승하기도 했음. - 물론, 이탈리아 정치 불안으로 달러화가 강세 폭을 확대하자 매물이 출회되는 등 변화를 보임. - 그러나 ECB 회의를 앞두고 달러화 강세폭이 재차 축소되자 반도체, 소프트웨어,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폭 확대하며 마감. - 다우: +0.15%, 나스닥: +1.58%, S&P500: +0.59%, 러셀2000: +1.59% 특이종목 - 넷플릭스: +7.36% 양호한 실적 발표한 가운데 예상보다 적은 가입자 손실을 기록하자 상승. - 스트리밍 영업을 하고 있는 디즈니: +3.75%, 아마존: +3.86%, 애플: +1.35% 등도 .. 2022. 7. 21.
22.05.04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FOMC 앞두고 보합권 혼조세로 출발 - 특히 발표된 기업 실적으로 여행주가 부진한 반면, 에너지 업종이 강한 모습을 보임. - 금융주는 투자의견 상향 소식이 전해지며 강세를 보이는 등 업종 차별화 진행된 점도 특징 - 한편 FOMC를 앞두고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인상,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인한 성장 둔화 이슈가 재 부각되며 상승분을 반납하는 등 매물 소화 과정을 보인 점도 특징 - 다우: +0.20%, 나스닥: +0.22%, S&P500 +0.48%, 러셀2000 +0.85% 특이 종목 - 데본에너지 : +10.16% - 마라톤 페트롤리엄: +3.96% - 다이아몬드백: +6.75% - 윌리엄스 컴퍼니: +2.65% - BP: +8.04% 에너지 업종이 강세 였음. 예상보다 양호.. 2022. 5. 4.
2022.04.20 (수) 전일 해외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미국 증시는 IMF 가 글로벌 성장률을 기존보다 0.8% 하향된 3.6%로 전망하자 보합권 혼조 출발 - 미 10년물 국채 금리가 2.93% 기록하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하락 - 하지만 미국 연방 법원이 대중 교통에서의 마스크 의무화를 폐기함에 따라 리오프닝 관련주가 급등. - 본격적인 실적 시즌을 맞아 실적 호전 기대되는 기술주가 강세를 보이자 나스닥 2% 넘게 급등. - 이후 종목 장세 속 상승폭이 확대되며 마감 - 다우:+1.45%, 나스닥: +2.15%, S&P500 +1.61%, 러셀2000 +2.04% 특이종목: - 연방 법원이 대중 교통에서의 마스크 의무화는 CDC의 권한을 넘었다고 판결하자 - 보잉: 3.41%, 델타항공: +2.16% 등 항공 - 카니발 : +4.5.. 2022.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