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홈디포6

23.05.17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미 증시는 실물 경제지표가 발표된 이후 소비자와 기업의 심리가 위축되고 있음을 확인하며 장 초반 하락. - 더불어 홈디포: -2.15% 가 부진한 실적과 가이던스 발표로 하락한 점도 경기 침체 우려 자극. - 그러나 나스닥은 알파벳: +2.57% 이 13F 보고서를 통해 일부 헷지펀드의 매입이 확대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강세를 보인 데 힘입어 한때 상승 전환. - 다만, 경기 둔화와 부채한도 협상 등을 주목하며 대부분의 종목이 하락. - 장 마감 직전에는 결국 2차 부채한도 협상이 합의없이 종료됐다는 소식에 낙폭 확대되며 마감 - 다우: -1.01%, 나스닥: -0.18%, S&P500: -0.64%, 러셀2000: -1.44% 특징 종목 - 홈디포: -2.15% 부진한 실적과 가이던.. 2023. 5. 17.
23.02.22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글로벌 지정학적 긴장 고조와 2월 들어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들이 예상보다 강한 경제 여건을 반영하자 연준의 추가 긴축 우려 확대. - 이를 반영한 미 국채수익률이 지난 해 4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점도 투자심리 위축. - 여기에 장 시작 전 실적을 발표한 월마트와 홈디포가 올해 전망에 대한 낮은 가이던스를 제공하자 변동성 확대. - 3대 지수 모두 약세를 기록하고 있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등 대형 기술주 약세 영향으로 나스닥이 2% 넘게 하락하였고 S&P500을 구성하는 11개 업종 모두 약세를 보임. - 특히 S&P500 지수는 심리적 지지선인 4,000선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이다가 장 막판 밀리며 소폭 하회 마감. - 공포지수로 불리는 변동성 VI.. 2023. 2. 22.
22.10.25 (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영국의 정치 불확실성이 완화된 데 힘입어 상승 출발했으나, 중국발 정치 이슈로 중국 관련 종목들이 큰 폭으로 하락하자 약세로 전환하는 등 정치 이슈가 시장에 영향을 주며 변동성 확대. - 다만, 실적 시즌에 대한 기대 심리가 여전히 영향을 주며 헬스케어, 소매 유통업종 등 개별 종목군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는 업종 차별화가 진행된 가운데 상승 마감. - 특히 중국 기업들이 포진한 나스닥보다 다우지수의 상승폭이 큼. - 다우: +1.34%, 나스닥: +0.86%, S&P500: +1.19%, 러셀2000: +0.35% 특이 종목 - MS: +2.12%, 애플: +1.48% 등은 실적 발표를 앞두고 강세를 보인 반면, - 아마존: +0.42% 은 3분기 실적은 견고하지만 4분기는 불확실성이.. 2022. 10. 25.
22.09.20 (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독일 중앙은행인 분데스방크가 독일 경기 침체 우려를 경고하자 장 초반 1% 가까이 하락하기도 했음. - 여기에 fomc를 앞두고 10년물 국채 금리가 2011년 이후 처음으로 3.5%를 상회하는 등 금리 급등과 달러 강세로 기술주가 하락 주도. - 그렇지만, 최근 하락을 뒤로 하고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전환하는 등 변동성 확대. - 특히 실적 호전 기대가 높아진 애플과 테슬라 등 일부 종목 중심으로 견고한 모습이 특징 - 다우: +0.64%, 나스닥: +0.76%, S&P500: +0.69%, 러셀2000: +0.81% 특이 종목 - 애플: +2.51% 아이폰 평균 판매 단가 상향 기대가 부각되자 상승. - 퀄컴: +1.36%, 쿼보: +1.47% 등 관련 부품 업종 동반 상승.. 2022.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