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일 해외 증시

23.05.17 (수) 전일 해외 증시

by 밤부스투자 2023. 5. 17.
반응형

미국 증시 동향

- 미 증시는 실물 경제지표가 발표된 이후 소비자와 기업의 심리가 위축되고 있음을 확인하며 장 초반 하락.

- 더불어 홈디포: -2.15% 가 부진한 실적과 가이던스 발표로 하락한 점도 경기 침체 우려 자극.

- 그러나 나스닥은 알파벳: +2.57% 이 13F 보고서를 통해 일부 헷지펀드의 매입이 확대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강세를 보인 데 힘입어 한때 상승 전환.

- 다만, 경기 둔화와 부채한도 협상 등을 주목하며 대부분의 종목이 하락.

- 장 마감 직전에는 결국 2차 부채한도 협상이 합의없이 종료됐다는 소식에 낙폭 확대되며 마감

 

- 다우: -1.01%, 나스닥: -0.18%, S&P500: -0.64%, 러셀2000: -1.44%

 

특징 종목

- 홈디포: -2.15% 

 부진한 실적과 가이던스 하향 조정 여파로 한 때 4% 가까이 하락했으나 낙폭 일부 축소 마감.

- 더불어 소매판매가 예상을 하회하자 로스컴퍼니: -1.16%, 월마트: -1.38%, 타겟: -1.62% 도 동반 하락.

- 여기에 나이키: -2.80%, 울타뷰티: -3.29%, VF코퍼: -4.89%, 랄프로렌: -3.33% 등 소비 관련 종목군 대부분 하락.

- 중국과 미국 지표 발표 후 경기에 대한 우려로 엑슨모빌: -2.43%, 셰브론: -2.35% 등 에너지 업종은 물론,

- 프리포트- 맥모란: -2.44% 등 광산업종도 하락.

- 캐터필러: -1.94% 등 기계업종

- 3M : -2.47% 등 산업재도 하락.

 

- 알파벳: +2.57%

 13F 공시를 통해 빌 아크만의 헷지펀드가 11억 달러에 달하는 신규 매입을 발표하는 등 일부 헷지펀드의 지분 매입 소식에 강세.

- 아마존: +1.98% 

 소매판매에서 온라인 판매 증가 소식과 일부 헷지펀드의 매입 소식에 강세

- 경기 둔화 우려로 인한 애플(보합), MS: +0.74% 등 대형주로의 쏠림 현상에 관련주 강세.

- AMD: +4.19% 는 5월 23일 열리는 JP 모건 글로벌 기술,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컨퍼런스에 참석한다는 발표 후 신제품 발표 가능성에 상승.

 

- 캐피털 원: +2.05%

 버크셔 해서웨이의 지분 매입 소식에 강세를 보인 반면,

- RH: -8.77% 지분 매도 소식에 부진.

- 웨스턴 얼라이언스: +2.70%

 BOA가 매수로 커버리지를 복원한 후 상승.

- 그러나 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이 규제 강화 가능성을 시사하자 상승폭이 축소.

- 팩웨스트 뱅코프: -14.58%는 하락하는 등 지역은행들은 혼재된 모습

 

주요 경제 지표

미국 4월 소매판매

- 지난달 발표된 전월 대비 0.7% 감소에서 0.4% 증가로 개선됐으나 예상했던 0.7% 증가에는 미치지 못함.

- 차량을 제외한 수치는 전월 대비 0.5% 감소에서 0.4% 증가로 발표된 가운데 차량과 가솔린을 제외한 수치0.5% 감소에서 0.6% 증가로 발표예상했던 0.2% 증가를 상회.

 

미국 4월 산업생산

- 지난달 발표된 보합보다 개선된 0.5% 증가로 전환해 예상했던 0.1% 감소를 상회.

- 다만, 지난달 수치는 0.4% 증가에서 보합으로 하향 조정.

- 공장 가동률은 79.4%에서 79.7% 로 개선됐으나 예상했던 79.8%에는 미치지 못함.

 

미국 3월 기업재고

- 지난달 발표된 전월 대비 보합에서 0.1% 감소로 전환.

 

미국 5월 주택시장 지수

- 지난달 발표된 45보다 개선된 50으로 발표.

 

국제 유가

- 우크라이나 전쟁이 확전되는 경향을 보인데 이어 세계 에너지 기구가 수요 증가 전망을 상향 조정했으나, 중국 경제 지표 부진 여파로 하락.

- 더불어 독일의 경제 지표 부진미국 소매판매에서 가솔린 서비스 부문 위축 등도 하락 요인 중 하나.

- 경기 둔화 우려 속 미국과 유럽 천연가스도 하락하는 등 대부분 상품 시장이 약세를 보임.

 

- 국채 금리 상승 여파로 2주만에 2천달러 미만으로 하락.

- 구리 및 비철금속은 중국 산업 생산이 예상보다 부진하자 수요 둔화 우려로 하락.

 

한국 증시 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 1.05% 하락

- MSCI 신흥 지수 ETF: 0.71% 하락

- NDF달러/원 환율 1개월물: 1,341.00원으로 반영시 달러/원 환율 1원 상승 출발 예상

- Eurex KOSPI200 선물: 0.05% 하락. KOSPI: 0.3% 내외 하락 출발 예상

글로벌 지수
주요 ETF, 섹터지수
주요 원자재

밤부스 생각

- 반도체 정도 사보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