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터필라11 23.01.13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연속적인 소비자물가지수의 둔화에 힘입어 상승 출발 했으나, 이를 소화하고 고용지표가 견조하자 매물 출회되며 하락 전환하기도 하는 등 장 초반 변동성이 확대. - 그러나 제임스 불라드 총재와 패트릭 하커 총재 등이 경제에 대한 자신감과 물가 하락에 대해 고무적이라고 발언하자 달러 약세, 국채 금리 하락이 진행돼 주요 지수는 상승 전환하는 모습을 보임. - 이후 상승을 확대하던 지수는 장 후반 매물이 출회되곧 했으나, 재차 강세를 보이는 등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며 상승 마감 - 다우: +0.64%, 나스닥: +0.64%, S&P500: +0.34%, 러셀2000: +1.74% 특징종목 - 디즈니: +3.61% 새로운 회장인 마크 파커에 대한 지명 후 행동주의 투자자인 넬슨 펠츠의 이사회 .. 2023. 1. 13. 22.10.28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3분기 GDP 성장률이 2.6%로 발표되는 등 경기에 대한 자신감이 유입되며 상승 출발했으나, -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되며 나스닥이 하락 전환하는 등 여전히 변동성이 확대 - 물론 ECB 통화정책 회의를 통해 금리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이 부각되고 미국 물가 하방 압력이 뚜렷한 모습 속 국채 금리가 하락하는 등 안정을 보인 점도 긍정적이나, - 여전히 개별 종목별 변화에 따른 지수 움직임이 이어지며 혼조 마감 - 다우: +0.61%, 나스닥: -1.63%, S&P500: -0.61%, 러셀2000: +0.11% 특이 종목 - 메타 플랫폼스: -24.56% 부진한 광고 수익과 다음 분기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으로 투자의견 등이 하향 조정이 확대되자 큰 폭으로 하락 - MS: -.. 2022. 10. 28. 22.09.21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유럽의 경기 침체 우려가 여전한 가운데 포드: -12.32% 의 공급망 불안에 따른 실적 부진 이슈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며 하락 출발 - 더불어 FOMC를 앞두고 국채 금리가 금리인상 기조를 반영하며 10년물 기준 3.5%를 상회한 점도 부담. - 결국 시장은 경기 위축 이슈가 여전한 가운데 FOMC에 대한 불안 심리로 부진. - 다만, 애플: +1.57% 등은 개별적인 이슈로 강세를 보이며 낙폭 일부 축소되는 등 종목 장세도 특징. - 다우: -1.01%, 나스닥: -0.95%, S&P500: -1.13%, 러셀2000: -1.40% 특이 종목 - 포드: -12.32% 공급망 차질로 미완성차 재고가 늘면서 차량 인도대수 감소를 경고하자 실적 둔화 이슈를 자극하며 급락. -GM: -.. 2022. 9. 21. 22.08.31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최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에 힘입어 상승 출발했으나, 경제지표 호전에 힘입어 국채 금리가 상승하자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 출회되며 하락 전환. - 더불어 연준위원들이 여전히 금리인상 기조 유지 등 공격적인 통화정책 관련 발언을 한 점도 부담. - 여기에 상승하던 유럽 증시가 매파적인 ECB 위원들의 발언과 경기 침체 우려로 하락 전환한점, 대만- 중국 갈등 확산도 투자 심리 위축을 자극하며 하락 - 다우: -0.96%, 나스닥: -1.12%, S&P500: -1.10%, 러셀2000: -1.45% 특이종목 - 엑슨모빌: -3.81%, 코노코필립스: -2.57% 등 에너지 업종은 국제유가 급락 여파로 부진 - CF: -6.48%, 모자이크: -4.97% 등 비료 업종과 - 디어: -3.. 2022. 8. 31.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