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72 23.01.19 (목)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예상을 하회한 생산자물가지수 결과가 발표되자 상승 출발했으나, 실물 경제지표의 부진으로 경기 침체 우려가 부각되자 매물 출회되며 하락 전환. - 특히 불러드 총재가 2월 회의에서 50bp 인상을 주장하자 지수는 본격적인 하락을 보임. - 이 여파로 물가 안정 속 1% 넘게 상승하던 나스닥이 1% 넘게 하락하는 등 변화를 보임. - 한편, 연준의 베이지북을 통해 경기가 거의 성장하지 못했다고 발표했으나 영향이 제한된 가운데 매물 소화 과정을 지속하며 낙폭 확대. - 다우: -1.81%, 나스닥: -1.24%, S&P500: -1.56%, 러셀2000: -1.59% 특징 종목 - 테슬라: -2.06% 베어드가 수요 둔화 등의 영향은 주가에 대체로 반영되었고, 독일과 미국의 기가팩토리 생산.. 2023. 1. 19. 23.01.16 (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금융주가 추가적인 충당금을 발표하자 향후 실적에 대한 우려 속 큰 폭으로 하락하자 최근 상승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출발. - 특히 이러한 충당금 증가는 경기에 대한 우려를 자극해 대부분의 종목군이 부진. - 그렇지만, 소비 심리 지표가 개선되고 인플레도 하향 안정을 보이자 낙폭을 축소하다 결국 상승 전환 성공. - 더불어 상반기 실적 부진 우려 불구 하반기에는 실적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부각된 점도 투자 심리 개선 요인 - 다우: +0.33%, 나스닥: +0.71%, S&P500: +0.40%, 러셀2000: +0.58% 특징 종목 - JP모건: +2.52% 높은 이자 수입과 대출 성장으로 예상을 상회한 실적을 발표하자 상승 - 씨티그룹: +1.69% 더 많은.. 2023. 1. 16. 23.01.12 (목)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6개월 연속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 부각되자 상승. - 이는 국채 금리 하락으로 이어져 호재성 재료가 유입된 일부 대형 기술주의 강세를 견인 - 이에 나스닥이 2% 가까이 상승. - 여기에 장 후반 콜린스 총재가 25bp 인상을 기대한다고 언급 후 국채 금리 하락폭이 확대된 점도 영향 - 다만, 물가 하락은 많은 부분 선반영되었다는 점에서 여전히 경계감은 이어져. - 일부 종목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는 등 종목 이슈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종목장세도 특징. - 다우: +0.80%, 나스닥: +1.76%, S&P500: +1.28%, 러셀2000: +1.17% 특징 종목 - 아마존: +5.81% 코웬이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했으나, 매수 의견은 유지했다.. 2023. 1. 12. 23.01.11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세계 은행이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를 경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부분이 반영되어 왔다는 점을 감안해 영향이 제한된 가운데 상승 출발. - 더불어 파월 의장이 통화정책 관련 발언을 하지 않아 불확실성 해소된 점도 긍정적인 요인 - 물론, 일부 연준 위원들의 발언 등으로 국채 금리가 크게 상승하자 하락 전환하기도 했으나, 반발 매수 심리가 강해 재차 상승 전환하는 등 강한 모습을 보임. - 특히 실적 시즌과 물가 지표 발표를 앞두고 전체 지수의 변화 요인보다 개별 종목 변화 요인의 영향이 큰 모습이 특징. - 다우: +0.56%, 나스닥: +1.01%, S&P500: +0.70%, 러셀2000: +1.49% 특징 종목 - 아마존: +2.87% 1월 말까지 프라임 쇼핑 프로그램 확대를 통.. 2023. 1. 11. 이전 1 2 3 4 5 6 7 8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