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일 해외 증시

23.01.12 (목) 전일 해외 증시

by 밤부스투자 2023. 1. 12.
반응형

미국 증시 동향

-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6개월 연속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 부각되자 상승.

- 이는 국채 금리 하락으로 이어져 호재성 재료가 유입된 일부 대형 기술주의 강세를 견인

- 이에 나스닥이 2% 가까이 상승.

- 여기에 장 후반 콜린스 총재가 25bp 인상을 기대한다고 언급 후 국채 금리 하락폭이 확대된 점도 영향

- 다만, 물가 하락은 많은 부분 선반영되었다는 점에서 여전히 경계감은 이어져.

- 일부 종목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는 등 종목 이슈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종목장세도 특징.

 

- 다우: +0.80%, 나스닥: +1.76%, S&P500: +1.28%, 러셀2000: +1.17%

 

특징 종목

- 아마존: +5.81%

 코웬이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했으나, 매수 의견은 유지했다는 점이 부각되자 상승.

- 특히 달러 약세, 구조조정, 유가 하락 등으로 향후 이익 성장이 긍정적이라고 주장.

- 더불어 프라임 회원 정책 변화, 소비자 물가 앞두고 나온 추가적인 낙관론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 알파벳: +3.51% 은 TTEC :+2.77% 와 구글의 AI 기반 기능을 활성화 해 고객 경험 CX 기술 능력을 확대할 것이라는 전망에 상승.

- TTEC는 이에 힘입어 한 때 6% 넘게 급등.

 

- 애플: +2.11%, MS: +3.02%, 서비스나우: +3.40% 등 기술주는 물론,

- 아메리칸 타워: +2.78%, 프롤로지스: +4.22%, 퍼블릭 스토리지: +4.44% 등 리츠 금융 회사들은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국채 금리가 약세를 보이자 상승.

- 엔비디아: +0.58% 등 반도체 업종은 PC 판매 급감 소식에 하락폭을 확대하기도 했으나, 금리 하락에 힘입어 매수세가 유입되며 제한적인 등락을 보임.

 

- 물가 안정 기대로 투자 심리가 위축된 J&J : -0.16% 등 제약업종은 약세를 보인 가운데

- 애브비: -1.55% 는 관절염 치료제 독점권 상실이 실적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언급하자 하락.

 

- 테슬라: +3.68% 

 인도네시아에 100만대 규모 생산 시설 건설 계약이 임박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상승.

- 여기에 텍사스 오스틴에 있는 공장을 확장하기 위해 자금 투여를 발표한 점, 골드만삭스가 올해 최고의 주식으로 선정한 점도 긍정적인 요인.

- 테슬라가 상승하자 전기차 산업 관련 종목군에 대한 투자심리가 개선되며

- 리비안: +3.83%, 루시드: +10.29%, 퀀텀스케이프: +8.26%, 알버말: +5.65%, 블링크차징: +3.24% 등도 동반 상승.

 

주요 경제 지표

미국 모기지 신청 건수

- 지난 주 발표된 전 주 대비 10.3%  감소에서 1.2% 증가로, 재 신청건수는 4.4% 감소에서 5.1% 증가로 발표돼 양호한 모습을 보임.

- 1월 애틀랜타 연은이 발표하는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전년 대비 3.1%에서 3.0% 로 하향 조정.

- 이 지표는 기업의 관점에서 향후 인플레이션 기대치를 측정하고 있어 마진 등에 주요 전망으로 작용.

 

국제유가

- EIA가 발표한 원유 재고200만 배럴 감소 전망과 달리 1,896만 배럴 증가하고 가솔린 재고도 75만 배럴 증가 예상과 달리 411만 배럴 증가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으나 상승.

- 이는 중국의 위드 코로나 정책에 따른 경제 개선 및 수요 증가 기대가 부각된 데 힘입은 것으로 추정.

- 여기에 추가적인 대 러시아 제재 소식이 전해지자 러시아 생산량 감축 가능성이 부각된 점도 상승 요인.

- 유럽 천연가스 가격은 예상보다 따뜻한 날씨가 지속되자 큰 폭 하락.

 

달러화

-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물가 하락을 감안 연준의 정책 변화 가능성이 부각되자 여타 활율에 대해 약세를 보임.

- 그러나 지난해 4분기 많은 부분 약세를 보였다는 점을 감안 약세폭은 제한된 가운데 강세로 전환하기도 하는 등 보합권 등락을 보임.

- 유로화 등이 천연가스 가격 급락에 따른 에너지 위기 약화 가능성이 부각되자 달러 대비 상승한 점도 특징.

 

한국 증시 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 0.26% 상승

- MSCI 신흥 지수 ETF: 0.42% 상승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 1,242.08 원으로 반영시 달러/원 환율 5원 하락 출발 예상

- Eurex KOSPI200 선물: 0.61% 상승, KOSPI: 0.7% 내외 상승 출발 예상.

글로벌 지수
주요 ETF, 섹터지수
주요 원자재

 

밤부스 생각

- 시장 당분간 계속 간다. 가보자.

- 사자. 들고가자.

- 아래에서 좀 올랐어도 사자 유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