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일즈포스16 22.07.21 (목)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구글이 일시적 고용 중단을 발표하자 하락하기도 했지만, 넷플릭스: +7.36% 효과로 기술주 중심 강세가 이어지자 나스닥이 2% 가까이 상승하기도 했음. - 물론, 이탈리아 정치 불안으로 달러화가 강세 폭을 확대하자 매물이 출회되는 등 변화를 보임. - 그러나 ECB 회의를 앞두고 달러화 강세폭이 재차 축소되자 반도체, 소프트웨어,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폭 확대하며 마감. - 다우: +0.15%, 나스닥: +1.58%, S&P500: +0.59%, 러셀2000: +1.59% 특이종목 - 넷플릭스: +7.36% 양호한 실적 발표한 가운데 예상보다 적은 가입자 손실을 기록하자 상승. - 스트리밍 영업을 하고 있는 디즈니: +3.75%, 아마존: +3.86%, 애플: +1.35% 등도 .. 2022. 7. 21. 22.07.13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전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와 매력적인 밸류에이션에 대한 기대 심리가 유입돼 상승하기도 했지만, 유럽 경기 침체 이슈와 MS: -4.10% 의 하락에 따른 소프트웨어 업종을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전환. - 특히 장 후반 강달러에 따른 실적 부진 우려가 부각된 기술주의 낙폭이 확대되는 등 실적에 주목하며 하락 마감 - 다우: -0.62%, 나스닥: -0.95%, S&P500: -0.92%, 러셀2000: -0.22% 특이종목 - 애플: +0.68% 아마존: -2.26% 프라임데이에서 아이폰을 비롯한 자사 제품 매출이 할인 정채에 힘입어 급증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상승. - 이러한 소식에 애플 부품주인 - 스카이웍: +1.14%, 쿼보: +1.24%, 퀄컴: +0.55% 도 .. 2022. 7. 13. 22.06.02 (목)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동향 - 견고한 경제지표 발표로 1% 내외 상승 했으나, JP모건 CEO의 경고 이후 '경기침체' 이슈가 부각되며 하락. - 특히 연준의 양적 긴축이 시작된다는 점을 감안 유동성 축소에 민감한 반응 - 다만, 불러드 총재 등이 경기에 대한 자신감을 표명하자 낙폭이 축소됐고, 연준이 베이지북을 통해 완만한 성장을 언급한 점도 긍정적. - 장 마감 앞두고는 메타플랫폼의 하락 여파로 대형 기술주들이 상승을 반납하자 재차 낙폭 확대 - 다우: -0.54%, 나스닥: -0.72%, S&P500 -0.75%, 러셀2000 -0.49% 특이종목 - 아마존: +1.23% 주식분할을 앞두고 5일 연속 상승, 특히 클라우드 산업의 성장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전망 속 투자회사들의 긍정적인 전망도 영향 - 여기에 경.. 2022. 6. 2. 22.04.25 (월) 전일 해외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전일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의 75bp 금리인상 언급과 - 파월을 비롯한 연준 위원들의 인플레이션 피크가 아니라는 주장의 영향이 지속되며 하락 - 더해 부진한 실적 발표한 일부 기업들 특히 갭 (-17.89%) 의 가이던스 하향 조정이 높은 물가로 인한 소비 부진을 부각 시키자 경기 둔화로 확대 해석한 점도 영향 - 결국 미국 증시는 경기 둔화 및 연준의 공격적인 긴축 정책을 이유로 하락 - 다우: -2.82%, 나스닥: -2.55%, S&P500 -2.778%, 러셀2000 -2.55% 특이종목 - 킴벌리-클락 : +8.13% 예상을 상회한 실적 발표하고 연간 ㅍ판매 가이던스 상향 조정하자 급등. - 슐륨버거 : +2.46% 예상을 상회한 실적과 배당금 40% 인상에 상승. .. 2022. 4. 25.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