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즈니14

23.01.13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연속적인 소비자물가지수의 둔화에 힘입어 상승 출발 했으나, 이를 소화하고 고용지표가 견조하자 매물 출회되며 하락 전환하기도 하는 등 장 초반 변동성이 확대. - 그러나 제임스 불라드 총재와 패트릭 하커 총재 등이 경제에 대한 자신감과 물가 하락에 대해 고무적이라고 발언하자 달러 약세, 국채 금리 하락이 진행돼 주요 지수는 상승 전환하는 모습을 보임. - 이후 상승을 확대하던 지수는 장 후반 매물이 출회되곧 했으나, 재차 강세를 보이는 등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며 상승 마감 - 다우: +0.64%, 나스닥: +0.64%, S&P500: +0.34%, 러셀2000: +1.74% 특징종목 - 디즈니: +3.61% 새로운 회장인 마크 파커에 대한 지명 후 행동주의 투자자인 넬슨 펠츠의 이사회 .. 2023. 1. 13.
2212.20 (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 의지 표명에도 불구하고 12월 중국 기업 신뢰지수 급락 등으로 경기 침체 이슈가 여전히 발목을 잡으며 부진 - 더불어, 지난 주 금요일 연준 위원들의 최고 금리 상향 조정 가능성 언급도 관련 이슈를 자극. - 여기에 메타: -4.14%에 대한 EU의 독점 금지 위반 고지로 '독점 금지법' 부각으로 대형 기술주가 부진했꼬 - 아마존:-3.35%과 디즈니: -4.77% 등 개별 종목에 대한 악재도 부담. - 결국 미 증시는 경기 침체 이슈와 개별 종목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으로 하락 - 다우: -0.49%, 나스닥: -1.49%, S&P500: -0.90%, 러셀2000: -1.41% 특징 종목 - 메타 플랫폼스: -4.14% EU가 메타 플랫폼스에 대해 반독점 금지.. 2022. 12. 20.
22.11.22 (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중국 코로나 확산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가 부각되며 하락. - 특히 폭스콘 고용 중단 소식으로 애플: -2.17%과 부품주, 반도체 업종의 하락이 뚜렷. - 더불어 리콜과 국제유가 급락으로 테슬라: -6.84%가 큰 폭으로 하락한 가운데 전기차 관련 종목군의 부진도 나스닥 하락을 부추김. - 그렇지만, 경기 방어주 중심으로 반등이 뚜렷했고, 델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가 과도한 긴축 정책을 경계해야 한다고 언급하자 다우 지수가 한 때 상승전환 하는 등 낙폭 일부 축소 마감. - 다우: -0.13%, 나스닥: -1.09%, S&P500: -0.39%, 러셀2000: -0.57% 특이 종목 - 애플: -2.17% 폭스콘 공장의 고용이 코로나 봉쇄로 일시 중단되었다는 소식과 이로 인한 이번.. 2022. 11. 22.
22.08.23 (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극심한 유럽 가뭄과 러시아의 천연가스 공급 중단 우려가 높아지자 유럽 경기 침체 이슈로 하락 출발. - 특히 이 여파로 달러화 강세가 확대되자 기술주 실적 둔화 우려가 제기되며 낙폭이 확대. - 더불어 잭슨홀 컨퍼런스를 앞둔 가운데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인상 기조에 대한 우려가 커져 국채 금리가 상승한 점도 기술주 하락 요인 - 다우: -1.91%, 나스닥: -2.55%, S&P500: -2.14%, 러셀2000: -2.13% 특이종목 - 인텔: -4.35% Hot Chips 2022 컨퍼런스에서 곧 출시될 신규 프로세서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할 예정임에도 불구하고 연준의 법인세 인상과 달러 강세에 따른 실적 둔화 우려가 부각되자 하락. - 엔비디아: -4.57%, AMD: -3.24.. 2022. 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