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9

23.05.09 (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미 증시는 지난 금요일 상승에 따른 일부 매물이 출회된 가운데 뉴욕 연은이 발표한 소비자 기대조사에서 가계지출 전망이 둔화되었다는 점이 부각되며 경기 둔화 우려 속 장 초반 하락하기도 했음. - 그렇지만, 이보다 소비자 물가지수 등 주요 지표 발표를 앞두고 제한적인 등락 속 종목 장세를 보이며 보합권 등락. - 오후 들어 연준의 대출 관행 보고서에서 대출 조건이 광범위하게 강화되었다는 소식에 잠시 약세폭을 확대하기도 했으나 재차 매수세가 유입되며 결국 시장은 혼조 마감 - 다우: -0.17%, 나스닥: +0.18%, S&P500: +0.05%, 러셀2000: -0.31% 특징 종목 - 버크셔 해서웨이: +0.70%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2.6% 증가하는 등 견고한 실적 발표에.. 2023. 5. 9.
23.05.08 (월) 금일 국내 시황 정리 - KOSPI: 2,513.21 (DD: +0.49%) - KOSDAQ: 842.28 (DD: -0.33%) 시장 분위기 - 국내 증시는 전일 강한 고용과 애플의 실적 호조, 지역 은행주들의 반등에 상승한 뉴욕 증시의 투심을 이어받아 상승 출발했지만, 미국 부채한도 협상, CPI 경계감에 상승폭을 반납, 코스닥은 하락 전환. - 산업별로는 반도체, 자동차, 조선 및 기자재(피팅벨브 등), 건설, 시멘트, 은행, 보험 등 주로 레거시 산업이 상승. 엔터, 바이오, 임플란트, 드라마 제작사, 2차전지 등 그동안 상승을 이끌어오던 성장주들은 하락 마무리. 1. 반도체 바닥론과 더불어 애플 실적 강세가 반도체 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 됨 - 삼성전자: +1.23%, 피에스케이: +2.66%, 이오테.. 2023. 5. 8.
23.05.08 현대제철 생각 및 기초 내용 현대제철 의견: 파트 60선, 120선 근처면 사모아가자. 쎄게 살 수 있고 올해 연말까지 우상향 가능 기대 됨. upside는 최소 50%~ 많게보면 100%. 6월에 중국 정부 철강 감산 가이던스 발표가 모멘텀이 될 수도. 확실한 모멘텀은 중국 부동산 경기 지표. (글로벌 철강 수요 중국이 50%, 글로벌 부동산 수요: 약 40%) - 전체 캐파 2,400만톤, 연간 판매 2천만톤 - 자동차 강판 연간 500만톤 판매 - 즉, 자동차향 매출 비중: 25% - 후판(조선) 캬퍼 350만톤 중 절반이 조선용 170만톤. - 즉, 조선향 매출 비중 8%, (나머지 170만톤 일반용 후판은 건설향) - 건설 (주로 철근, H형강): 철근: 350만톤, H형강 180만톤= 총 530만톤 - 이게 다 건설쪽 대.. 2023. 5. 8.
23.05.08 (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미 증시는 애플: +4.69% 이 실적 발표 후 급등한 가운데 미국 비농업 고용자수 발표로 경기 침체 우려가 완화된 점 등이 부각되며 상승 출발. - 여기에 주요 투자 은행들이 최근 급락한 지역은행들을 중심으로 과매도 상태라며 투자의견을 상향 조정한 데 힘입어 금융주가 급등한 점도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요인. - 더불어 오후에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가 6월 금리 동결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데이터에 의존할 것임을 언급하는 등 과거의 강력한 매파적인 발언에서 한발 물러선 모습도 우호적인 영향. - 다우: +1.65%, 나스닥: +2.25%, S&P500: +1.85%, 러셀2000: +2.39% 특징 종목 - 애플: +4.69% 실적 발표를 통해 아이폰 판매와 중국에서의 매출이 예.. 2023.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