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SPI: 2,513.21 (DD: +0.49%)
- KOSDAQ: 842.28 (DD: -0.33%)
시장 분위기
- 국내 증시는 전일 강한 고용과 애플의 실적 호조, 지역 은행주들의 반등에 상승한 뉴욕 증시의 투심을 이어받아 상승 출발했지만, 미국 부채한도 협상, CPI 경계감에 상승폭을 반납, 코스닥은 하락 전환.
- 산업별로는 반도체, 자동차, 조선 및 기자재(피팅벨브 등), 건설, 시멘트, 은행, 보험 등 주로 레거시 산업이 상승. 엔터, 바이오, 임플란트, 드라마 제작사, 2차전지 등 그동안 상승을 이끌어오던 성장주들은 하락 마무리.
1. 반도체 바닥론과 더불어 애플 실적 강세가 반도체 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 됨
- 삼성전자: +1.23%, 피에스케이: +2.66%, 이오테크닉스: +2.41%, 하나머티리얼즈: +1.78%, 원익QnC: +2.70%
> 반도체 하반기 갈수록 나아질 것이란 의견 바뀌지 않았으므로 계속 들고가보자.
2. 자동차 산업은 23년 실적 호조 기대감 지속되며 대형주, 부품주 모두 상승
- 현대차: +1.66%, 현대모비스: +1.61%, 한온시스템: +1.71%
> 자동차 속도는 느리겠지만 방향은 우상향 갈듯하다. 속도를 본다면 다른 섹터 보는게 맞지만 포트로 들고간다면 들고갈만 하다.
3. 조선 및 기자재: 신조선가 상황 우호적, 25년까지 수주 튼튼. 금일은 지수 좋아서 이런 상황이 상승으로 이어지게 된것으로 추정되고, 기자재는 성광벤드 1분기 영업이익이 147억원으로 컨센 (87억원) 대비 잘나와서 좋아진 것으로 추정됨.
- HD현대중공업: +0.74%, 현대미포조선: +1.57%, 성광벤드: +11.43%
> 조선을 굳이 한다면 밸류에이션 하단에서 기자재 사자. 슈퍼 사이클 외인 지금 굳이 건드릴 필요가 있나?
4. 건설주는 그동안 크게 빠졌던 국내 위주 건설사들이 건설주 내에서도 더 크게 상승. 시멘트는 쇼티지 지속으로 상승.
- GS건설: +4.60%, 태영건설: +3.90%, 대우건설: +6.09%, 쌍용C&E: +2.20%
> 글로벌 금리 인상의 종료 기대와 전일 미장의 분위기가 침체가 끝난듯한 분위기라 낙폭 부분 회복으로 예상됨. 하지만 매크로 불안한 상황에서 낙폭 과대 먹기보다는 해외 2분기 모멘텀 풍부한 현대건설, 삼성엔지니어링등이 더 선호된다.
5. 엔터, 바이오, 임플란트 ,드라마 제작사, 2차전지 등은 전부 다 악재가 있다기 보다는 숨고르기로 추정 됨.
> 매크로가 무너지지 않는 한 해당 산업들 들고가보자. 특히 엔터, 바이오, 임플란트 (덴티움 ) 등.
6. 네이버 1분기 사업 실적이 5서치플랫폼, 커머스, 핀테크, 콘텐츠, 클라우드 등 모조리 성장하며 상승
- NAVER: + 5.56%
> 인터넷 섹터 매크로 흉흉한데 광고주들이 돈 많이 쓸까? 투자 측면으로 봤을때도 선호될만한 모멘텀이 있는가? 하면 없는것 같다. 인터넷은 관망.
7. 바이오니아 : 하한가
- 강하나 위원 코멘트 그대로. 자사몰 데이타 안좋다, 대응 늦다, 가격 높다.
종목 뉴스
생략
수급
밤부스 생각
- 기존것만 들고가자.
- 금리 추가 인상 노이즈로 시장 한번 빠질 수 있음. 서비스지수 안빠지는 중. 서비스 지수 때문에 인플레 생각보다 안잡힌다라며 금리 추가 인상할 수 있다 이런 얘기 나올 가능성이 없지 않음. 실제로 하지 않더라도.
'금일 국내 시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5.11 (금일 국내 시황 정리) (0) | 2023.05.11 |
---|---|
23.05.09 (화) 금일 국내 시황 정리 (0) | 2023.05.09 |
23.05.04 (목) 금일 국내 시황 정리 (0) | 2023.05.04 |
23.05.03 (수) 금일 국내 시황 정리 (0) | 2023.05.03 |
23.05.02 (화) 금일 국내 시황 정리 (0) | 2023.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