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의견: 파트 60선, 120선 근처면 사모아가자. 쎄게 살 수 있고 올해 연말까지 우상향 가능 기대 됨.
upside는 최소 50%~ 많게보면 100%. 6월에 중국 정부 철강 감산 가이던스 발표가 모멘텀이 될 수도.
확실한 모멘텀은 중국 부동산 경기 지표. (글로벌 철강 수요 중국이 50%, 글로벌 부동산 수요: 약 40%)
- 전체 캐파 2,400만톤, 연간 판매 2천만톤
- 자동차 강판 연간 500만톤 판매
- 즉, 자동차향 매출 비중: 25%
- 후판(조선) 캬퍼 350만톤 중 절반이 조선용 170만톤.
- 즉, 조선향 매출 비중 8%, (나머지 170만톤 일반용 후판은 건설향)
- 건설 (주로 철근, H형강): 철근: 350만톤, H형강 180만톤= 총 530만톤
- 이게 다 건설쪽 대략 25%
- 전방 자동차, 조선 다좋다. 건설은 바닥 찍었다. 하반기 중국 부동산 경기 느려도 좋아질일만 남았고
- 자동차, 조선향은 asp 올릴 일만 남음..
- 현대제철 현재 pbr 밸류 0.2, roe 는 5%
- pbr 밸류 통상 0.3~0.4배가 평균. roe 5% 니까 0.5배까지 줘도 무방..
- 0.3배까지 준다해도 upside: 50%
참고
철강산업 밸류체인
1) 고로 2) 전기로 로 나뉨
1) 고로-> 열연강판 (후판 등) -> 냉연강판, 강관 -> 아연도금강판, 컬러강판, 석도강판
2) 전기로 -> 철근, 형강
- 원재료 가격과 완성 제품 사이의 스프레드 : 롤마진
밸류체인별 생산 기업
1. 고로: 포스코, 현대제철
2. 열연강판: 포스코, 현대제철
3. 후판: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4. STS 냉연강판: 포스코, 현대제철, 현대 BNG스틸
5. 강관: 현대제철, 세아제강, 휴스틸
6. 아연도금강판: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동부제철
7. 컬러강판: 현대제철, 동국제강, 포스코강판, 동부제철
8. 전기로: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한국철강, 대한제강,
9. 형강: 현대제철, 동국제강
10. 철근: 현대제철, 동국제강, 한국철강, 대한제강, 한국특수강(추가)
글로벌 철강 수요
1. 부동산: 20%
2. 인프라: 18%
3. 기계: 12%
4. 자동차: 10%
5. 오일 가스: 2%
6. 가전: 2%
7. 조선용 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