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동향
- 영국 영란은행의 예상보다 큰 50bp 금리인상으로 부진한 경제지표와 더불어 경기 침체 우려를 반영하며 하락 출발
- 그렇지만, 아마존: +4.26% 이 클라우드 관련 수익 개선을 이유로 상승하자 관련해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전환에 성공
- 더불어 테슬라: +1.98%도 장 초반 4%넘게 하락하기도 했으나,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하는 등 대형주 중심 쏠림 현상이 지속돼 나스닥의 강세가 컸음.
- 다만, 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종목은 부진한 모습을 보이는 등 차별화가 진행
- 다우: -0.01%, 나스닥: +0.95%, S&P500: +0.37%, 러셀2000: -0.80%
특징 종목
- 아마존: +4.26%
루프 캐피탈이 ai산업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부문의 실적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기존의 140달러에서 180달러로 상향 조정한 데 힘입어 강세
- 이는 제프리스를 비롯해 많은 투자회사들의 공통된 의견이라는 점에서 투자심리에 긍정적.
- 이 영향으로 알파벳: +2.16%, MS:+1.84% 와 세일즈포스: +1.77%, 스노우플레이크: +3.00%, 트와일로: +1.63% 등 클라우드 관련된 종목군이 강세.
- 글로벌X 클라우드 컴퓨팅 ETF: (CLOU)도 0.62% 상승.
- 다만, 그동안 상승이 컸던 엔비디아: -0.05%, AMD: -1.26% 등은 매물 소화하며 하락해 클라우드 관련 종목군 중에서도 연초대비 상승폭이 컸던 종목군에 대한 차익 실현 매물 또한 여전.
- 다만, 최근 일주일간 하락이 컸던 마이크론: +0.68%, 램리서치 +2.32% 등 일부 반도체 업종은 강세를 보이는 등 차별화.
- 아마존이 최근 인수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던 아이로봇: -8.32% 은 EU 집행 위원회가 관련 인수에 대해 독점 금지 조사를 할 것이라는 소식에 하락.
- 테슬라: +1.98%
전일 바클레이즈에 이어 오늘은 모건스탠리가 최근 상승을 정당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며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하자 4% 넘게 하락을 보이기도 했음.
- 그렇지만, 여전히 반드시 소유해야 하는 전기차 주식이라며 목표주가는 기존의 200달러에서 250달러로 상향 조정한 데 힘입어 장중 매수세가 유입되며 결국 상승 전환에 성공.
- 보잉: -3.05%
파업으로 생산 중단 소식이 전해진 부품업체인 스피리트 에어로시스템스: -9.43% 여파로 하락.
주요 경제 지표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지난주 발표된 26.4만 건과 같았으나 예상했던 26.1만 건을 상회. 4주 평균은 24만 7,250건에서 25만 5,750건으로 증가.
미국 5월 경기선행지수
- 지난달 발표된 전월 대비 -0.6% 보다 둔화된 -0.7%로 발표돼 최근 6개월간 4.3% 하락.
- 컨퍼런스 보드는 이를 통해 3분기에서 내년 1분기까지 마이너스 성장을 전망.
미국 5월 기존주택 판매건수
- 지난달 발표된 429만 건이나 예상했던 425만 건을 상회한 430만 건으로 증가.
- 판매 가격은 38만 5,900달러에서 39만 6,100달러로 상승.
5월 시카고 연은 국가 활동 지수
- 지난달 발표된 0.14나 예상했던 0.08을 하회한 -0.15로 발표.
- 3개월 평균은 -0.20에서 -0.14로 발표.
- 경기 확산지수는 -0.14에서 -0.09로 소폭 개선
6월 캔자스시티 연은 제조업지수
- 지난달 발표된 -1에서 -2로 크게 위축
- 생산지수가 -10, 신규 주문이 -14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이 크게 위축.
국제 유가
- 부진한 경제지표로 수요 둔화 가능성이 부각되며 큰 폭으로 하락.
- 더 나아가 영국 영란은행이 예상보다 큰 50bp 금리인상으로 영국 경기 침체 가능성을 높인 점도 부담.
- 이는 달러화의 강세를 촉발한 점도 영향.
- 이런 가운데 EIA는 미국 원유 재고가 380만 배럴 감소했다고 밝혔으나, 경기 침체 이슈가 영향을 주며 낙폭이 확대.
- 미국 천연가스 가격은 보합권 등락을 보였으나, 유럽 천연가스 저장이 74%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이 부각되자 6% 넘게 하락.
금
- 달러 강세와 국채 금리 상승 여파로 하락.
- 구리 및 비철금속은 달러 강세 및 경기 둔화 우려속 소폭 하락.
한국 증시 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 0.03% 상승
- MSCI 신흥 지수 ETF: 0.35% 하락.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 1,296.65원으로 반영시 달러/원 환율 1원 상승 출발 예상
- Eurex KOSPI200 선물: 0.26% 상승. KOSPI: 소폭 상승 출발 예상
'전일 해외 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7.04 (화) 전일 해외 증시 (0) | 2023.07.04 |
---|---|
23.06.01 (목) 전일 해외 증시 (0) | 2023.06.01 |
23.05.31 (수) 전일 해외 증시 (0) | 2023.05.31 |
23.05.26 (금) 전일 해외 증시 (0) | 2023.05.26 |
23.05.25 (목) 전일 해외 증시 (0) | 2023.05.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