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일 국내 시황 정리

23.05.16 (화) 금일 국내 시황 정리

by 밤부스투자 2023. 5. 16.
반응형

- KOSPI: 2,480.24 (DD: +0.04%)

- KOSDAQ: 816.75 (DD: +0.27%)

 

시장 분위기

-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와 함께 미국 부채 한도 협상을 앞두고 시장은 강보합 마감.

- 산업별로는

- 반도체 대형주, 폴더블, 디스플레이, 게임, 엔터, 임플란트, 드라마제작사, 시멘트, 음식료, 곡물, 원전 산업이 강세

-  자동차, 조선, 조선기자재 (피팅 등), 해운, 건설, 건자재, 철강, 풍력, 수소, 인터넷, 바이오, 유통, 의류, 화장품,  방산, 로봇 산업 약세

- 2차전지는 양극재, 도전재, 첨가제 강세// 셀,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 동박, 알박은 약세 

 

산업 정리

1. 반도체: 웨스턴디지털+키옥시아 합병 이슈로 대형주 상승, 둘 합병시 공급자 감소로 인한 낸드 업황 회복 기대 및 SK하이닉스의 CB를 통한 키옥시아 지분이 15%로 추정, 보통주 전환시 보통주 40% 보유 가능. -> 하이닉스가 결정권 쥐고 있음.

* 참고: 낸드시장 점유율: 삼성전자: 31.6%, 키옥시아: 21.1%, SK하이닉스: 19.0%, 웨스턴디지털: 12.4%, 마이크론: 11.8%

- SK하이닉스: +4.63%, 삼성전자: +1.40% 등 대형주 상승. 이외 소부장 및 오사트 관련주들은 일부 종목 빼고 하락.

> 반도체 업황이 너무 안좋으니 결국 저 둘 합병 스토리까지 나오고 있고, 하반기 수요가 안좋을 것은 사실이지만 이미 다 아는 사실. 여기서 더 빠질까? 그렇진 않을것 같다. 오히려 내년 상반기 업황 개선 기대도 있고, 지금 이상황에서 작은 호재로도 크게 반등 가능하기 때문에 반도체는 비중 채워놓자 의견 유지.

> 소부장 종목이 먼저 가기보단 결국, 반도체 대형주들이 상승을 하고 난 후, 소부장 따라갈 것으로 추정됨. (이미 바닥찍고 반등 논리로 소부장 한탕 상승했었기 때문, 이제는 진짜로 펀더멘털리 가야할 시기라 대형주가 먼저 갈 듯. 전자 닉스로 대응하고 더 하고 싶다면 장비주로 하자.)

 

2. 폴더블: 장 중 KH바텍의 물방울 힌지 Blended ASP 가 $17 -> $27 까지 상승 가능할 것이란 소문과 IR 이 있으면서 강세 

- KH바텍: +16.08%, 파인엠텍: +9.40%, 세경하이테크: +5.30%

> 폴더블 KH바텍의 경우에는 밸류에이션 목에 찼다. 오늘 상승분 반영하면 컨센 대비 12.7배. 하지만 폴더블 출시 일정 앞당겨 지고 있고 시기가 다가오고 있으므로 투기 수요 붙어서 좀 더 갈 것 같다. 좀 더 들고가보자. 이게 부담스럽다면, 밸류 부담 덜되는 파인엠텍 들고가는 방법도 있음. 세경하이테크는 좀 애매.. 그냥 바스켓으로 들고갈때만 들고가는 종목.

 

3. 디스플레이: 로이터에서 LGD가 빠르면 이번 분기부터 삼성전자에 하이엔드 TV 패널 공급을 시작할 것이라고 보도하면서 관련 주들 상승하며 이외 oled 관련주들에도 훈풍을 불어넣음.

- 야스: +5.06%, 피엔에에이치테크: +9.64%, 이녹스첨단소재: +5.98%, 선익시스템: +1.93%, LG디스플레이: +1.47%.//이 외 OLED 관련주 덕산네오룩스: +3.80%, 덕산테코피아: +0.39%  

> 피엔에이치테크 같은건 25,950원 뚫고 갈 수도 있겠다. 좀더 공부해보고 먹을룸 줄어들었어도 사보자. 비중 많이는 못사겠지만.. 전자가 LGD 패널 쓴다는 얘기는 이전부터 있었지만 OLED니까. (LGD향은 애플 내 점유율 상승 기대도 있으니까, 산업의 변화에 맞으니까, 밸류는 덕산네오 초기 70~80배 받았는데 30배 정도는 받아도 될듯. 내년까지 3천억 중반은 갈 수 있겠다. 올해까진 2,500억정도가 적정 밸류같긴 함.) 

 

4. 게임: 위메이드그룹 낙폭과대 및 나이트크로우 흥행 장기화 되며 상승. 네오위즈는 P의 거짓 출시 8월로 가까워지며 기대감으로 상승, 데브시스터즈는 어제 중국 쇼케이스 진행 후 웨이보 관심도 증가하는 데이타 나오며 상승.

- 위메이드: +5.96%, 위메이드맥스: +4.06%, 위메이드플레이: +2.52%

- 데브시스터즈: +2.72%, 넥슨게임즈: +0.72%

- 네오위즈: +4.37%

> 위메이드는 버리자.. 여전히 데브시스터즈, 넥슨게임즈 중국 모멘텀으로 좋게보고있고, 특히 데브는 오른게 없고 과거에 쿠키런 킹덤이 잘되면 주가 엄청 쎄게 갔으므로 이번에도 기회 줄 것으로 기대 됨.. 넥슨게임즈가 시기는 더 빠르니 이거로 하고싶은 사람은 이걸로 하면 될 것 같고, 네오위즈 많이 올라와있지만 고점대비는 또 조정 받은 상황에, P의 거짓 시장 컨센이 공격적이진 않으므로 기대감으로 고점 돌파 다시 노려볼순 있겠다 (난 안할 것). 

 

5. 엔터: 어제 JYP 실발후 시외상가면서 엔터산업 전체 훈풍.

- JYP: +20.84%, 와이지엔터: +9.40%, 에스엠: +6.54%, 하이브: +1.97%, 판타지오: +14.48%

> 실적 서프로 산업 전체 관심도 극도로 올라갔다 여기가 끝? -> 하반기 현지인 모멘텀 (가보지 않은 길). 즉, 더 큰 것 남아 있음. 계속 들고 가보자. 여기가 끝은 아니다. 개인적으로는 하이브 더 선호. (글로벌 흥행 레퍼런스 있으니까, 방시혁 사업 잘한다) . JYP 는 실적도 잘나오고 똑같은 모멘텀도 있고 오늘 이렇게 오를만 했다. 판타지오는 올해 드라마 3편제작, 보이그룹 데뷔 앞뒀다는뉴스 나오고 상승. <- 지금은 이런 찌질이 종목 볼 땐 아닌듯.

 

6. 임플란트: 2분기부터 VBP 수혜 본격적으로 시작될 기대에 지속 상승. 

(*참고: VBP 는 중국 내 정부 주도로 임플란트를 대량집중매입 하는건데 이에 따른 실적 타격은 프리미엄 제품 공급 업체인 스트라우만 등의 업체가 입고, 오히려 국내 업체 같은 중고가 전략 사용하는 애들은 임플란트가 대중화 되면서 수혜 논리)

- 덴티움: +3.39%, 덴티스: +4.47%, 오스템임플란트: +0.05%, 레이: +0.98%

 

7. 드라마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 NEW 등은 빠졌고 래몽래인, 초록뱀미디어 등 상승. 뚜렷하게 오른 이유가 없음.

- 래몽래인: +7.47%, 초록뱀미디어: +4.97%  

> 드라마제작사 지금 업황 밸류체인상 안좋으니 당장은 안봐도 될 것 같다. (글로벌리 광고주 가 집행할 돈 적어지니 제작사도 안좋은 상황인 그런 구조)

 

8. 시멘트 쇼티지 스토리는 계속 되는중. 

- 아세아시멘트: +2.29%, 한일시멘트: +3.43 등

> 시멘트 주가가 너무 재미는 없음. 하지만 쇼티지 상황은 계속되고 있으니 올 상반기까진 계속 들고 가보자.

 

9. 음식료: 농심 1분기 실적 서프의 온기 및 글로벌 경기 침체로 방어주들 수급 몰리며 상승 지속 되는 중. 

 - 농심: +7.98%, 오리온: +1.71%, SPC삼립: +2.02% 

> 이제 음식료는 건드릴 수 없는 상황이라고 봄. 트레이딩도 지양하자. 여기서 더 좋아질 부분이 찾기 힘듦 (농심 보면)

 

10. 윤대통령의 탈원전 정책 폐기 발언에 원전주 상승

- 두산에너빌리티: +2.86%, 비에이치아이: +4.49%, 한전KPS: +1.10%, 한전기술: +0.45%

> 원전 아직 끝나지 않은듯. 다만 발언에 따라 움직이는게 크니까 트레이딩 정도로 빠졌을때만 사보자. 많이 들고가긴 애매. 

 

11. 곡물 관련주 : 흑해곡물협정 만료 앞두고 곡물 공급 우려 부각. 

- 미래생명자원: 상한가, 한일사료: +15.23%, 씨티씨바이오: +6.92%

> 완전 테마주. 

 

12. 자동차 및 부품주: 그동안 지속 상승한것 소화하며 하락. 수급이 엔터, 반도체 대형주로 움직이며 빠진 것으로 추정됨.

 실적 서프 나온 에스엘은 급등.

- 현대차: -2.64%, 기아: -3.00%, 한국무브넥스: -4.63%, 대원강업: -9.12%, 에스엘: +15.21%

> 자동차 올해 실적 계속 좋지만 반도체 및 엔터 산업이 더 기대 받으며 수급 뺏어간 것으로 보임. 하반기 매크로 불안은 계속 될 것이므로 순환매 돌 것 같음. 자동차, 부품은 조정받으면서 계속 우상향. 자동차가 빠지면 더 좋은 산업 (ex: 엔터, 반도체, 바이오) 이 오르고 엔터, 반도체 빠지면 바이오, 자동차 오르고 이런식으로 갈듯. (경기는 좋지 않고 투자는 해야하기 때문에 순환매 지속 될 것)

 

13. 이 외 금일 하락한 산업 중 산업 자체가 펀더멘털리 문제 생겨서 빠진 산업은 없었음. 그냥 시장 빠지면서 빠짐. 

 다만, 광고, 인터넷, 로봇 (AMR 제외), 건설, 건자재 등은 아직 투자하기는 좀 적합하지 않은듯. 건설은 바닥이긴 하지만 시간을 투자해야함. 참고로 현대건설 카타르 LNG 20억불짜리 실주함.

 

종목 뉴스

생략

 

수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