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일 해외 증시

23.01.26 (목) 전일 해외 증시

by 밤부스투자 2023. 1. 26.
반응형

미국 증시 동향

- MS: -0.59% 

클라우드 서비스 성장 둔화 언급 소식 등을 빌미로 대형 기술주 실적 부진 가능성이 제기되며 차익 매물 출회 속 하락 출발.

- 그러나 많은 부분 선반영 되어 왔던 점을 감안 낙폭이 확대되기 보다는 매물 소화 과정을 보이며 2.3% 하락하던 나스닥 중심으로 하락폭 축소.

- ASML: +1.72%

 하반기 성장을 언급하는 등 장기적인 관점에서 긍정적인 흐름을 언급하자 기대 심리가 부각되며 반발 매수세가 유입된 점이 특징.

- 특히 캐나다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 후 향후 금리 동결 발표로 단기 금리가 하락하자 크게 하락하던 대형 기술주의 낙폭 축소가 뚜렷

 

- 다우: +0.03%, 나스닥: -0.18%, S&P500: -0.02%, 러셀2000: +0.25%

 

특징 종목

- MS: -0.59%

 클라우드 서비스 성장 둔화 우려를 표명하자 장중 한 때 4.6% 급락하기도 했으나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낙폭 축소.

- MS의 발표로 아마존: +0.89% 도 한 때 5% 가까이 급락했으나 낙폭 축소 .

- 애플: -0.47%, 알파벳: -2.54%, 메타: -1.15%대형 기술주도 장 초반 하락을 뒤로하고 낙폭 축소.

- 다만, 알파벳은 미 법무부의 반독점 소송에 따른 우려로 하락 지속.

- TI: -1.15%

 양호한 실적 발표에도 불구하고 전망에 대한 불안을 발표하자 하락한 반면,

- ASML: +1.72%

 예상을 상회한 실적과 하반기 반등 언급에 힘입어 강세.

 

- 인페이즈 에너지: -4.17%, 선런: -7.01%, 선파워: -0.92%태양광 업종은 일부 투자회사들이 투자 의견을 하향 조정하자 하락.

- 퍼스트솔라: -1.88%, 진코솔라: -1.87% 등 여타 태양광 업종도 동반 하락.

- 다빈치로 알려진 로봇 수술용 의료기기 종목인 인튜이티브: -5.50% 는 중국 코로나 여파로 해당 지역 시술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부진한 실적을 발표하자 하락.

- 노퍽 서던: -5.05%

 배당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부진한 실적과 가이던스 발표로 하락.

- CSX: -2.54% 도 부진.

 

- AT&T: +6.58%

 예상보다 많은 가입자를 발표하자 급등.

- US뱅코프: +5.31%도 견고한 EPS 를 발표하자 상승

- 테슬라: +0.38%

 사긴 외 예상보다 견고한 실적과 마진율을 발표했음에도 보합권 등락.

- 시게이트: +0.03% 

견고한 실적 발표 후 시간외 7% 급등.

- 다만, IBM :-0.52% 

 시간 외 혼재된 실적 발표 후 소폭 하락.

- 서비스나우: +1.21%

 부진한 가이던스로 5% 하락.

 

주요 경제 지표

1월 스테이츠 스트리트 투자자 신뢰지스

- 지난달 발표된 76.0보다 개선된 76.5로 발표됐으나, 여전히 기준선인 100을 하회

- 유럽 지역은 0.3p 하락한 102.2로 발표된 가운데 아시아 지역이 5.7p 상승한 92.5로, 북미 지역이 0.7p 상승한 73.1로 발표.

 

미국 모기지 신청 건수

- 지난주 발표된 전주 대비 27.9% 증가에 이어 7.0% 증가로 발표되었으며 재 신청건수도 34.2% 에서 14.6% 증가.

- 모기지 금리가 6.23%에서 6.20%로 3주 연속 하락하며 모기지 수요가 증가.

 

국제 유가

- MS등의 실적 발표로 경기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으나, 미 에너지 정보청이 발표한 주간 원유 재고가 100만 배럴 증가를 하회한 53만 배럴 증가에 그치자 상승.

- 한편, 미국 천연가스는 향후 2주 동안 온화한 날씨가 예상되고 있어 수요 감소 가능성이 제기되자 큰 폭으로 하락.

- 미국에서 두 번쨰로 큰 LNG 수출업체인 Freeport LNG 가 이번 주 초 공장 수리를 마쳤으며 미국 규제 당국에 화재 유휴 시설을 재가동하기 위한 조기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했다는 소식도 영향.

 

달러화

- 다음주 FOMC 를 앞두고 적극적인 대응이 제한된 가운데 여타 환율에 대해 약세.

- 더불어 아시아 지역의 연휴가 지속됨에 따라 거래량이 감소한 점도 변화폭 제한 요인.

- 유로화는 최근 발표된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완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따는 점이 부각되자 달러 대비 강세.

- 역외 위안화가 달러 대비 강세를 보인 가운데  

- 브라질 헤알와, 남아공 란드화, 호주 달러 등도 달러 대비 강세

 

- 달러 약세 영향으로 소폭 상승.

- 구리 및 비철금속은 달러 약세 및 중국 소비 확대 등에 대한 기대 심리로 상승.

 

한국 증시 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 0.24% 상승

- MSIC 신흥 지수 ETF: 0.10% 상승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 1,232.32원으로 반영시 달러/원 환율 1원 상승 출발 예상

- Eurex KOSPI200 선물: 보합, KOSPI는 0.3% 내외 상승 출발 예상

글로벌 지수
주요 ETF, 섹터지수
주요 원자재

 

 

밤부스 생각

- 미장 매물 나옴에도 소화하고 보합 마무리.

- 시장은 간다.

- 금도 숏쳐도 좋을 듯..?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