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도체 8대 공정
1. 웨이퍼 제작 (둥근 원판제작)
2. 산화 공정 (웨이퍼 표면에 산화막 형성)
3. 포토 공정 (반도체 회로 그려넣기)
4. 식각 공정 (불필요한 부분 깎아내기)
5. 확산,증착 (불소, 인, 비소 등 불순물 투입)
6. 금속배선 (회로패턴 따라 금속선 연결)
7. 테스트 (불량품 검사)
8. 패키징 (반도체 보호를 위한 포장)
반도체 8대 공정
반도체 공정별 비중
반도체 공정별 비중
식각, 세정이 가장 높은 26%, 증착이 20%, 노광이 19% 순으로 이뤄짐.
순서대로 공부를 해보자.
금속, 배선단계 직관적으로 간단하게 이해하기
회로도 만들면
반도체는 전기가 통해야하는데
회로도에 전기가 통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가
금속, 배선 단계
반도체 회로에
전기가 잘 통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티타늄, 텅스텐같은 금속(알루미늄이 가장 많이 쓰임)으로 얇은 금속 막을 증착(경우에따라 pvd, cvd다 씀)하여
반도체 전기가 통할 수 있게 해주는 단계
금속, 배선 공정 관련주
소재
독일: 바스프가 대표적
한국: 네패스, 후성, 디엔에프
장비
미국: AMAT
일본: TEL
램리서치
한국: 엘오티베큠
금속 배선 관련주들은 cvd 증착과도 관련이 있기 떄문에
cvd 증착 종목들과도 관련이 있음.
반응형
'반도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식각 파츠 공부 (6) | 2022.04.22 |
---|---|
반도체 8대공정- (5,6사이)CMP공정 (0) | 2022.04.15 |
반도체 8대공정- 4.식각공정 (1) | 2022.04.11 |
반도체 8대공정- 3. 포토공정 (7) | 2022.04.08 |
반도체 8대공정 -5. 증착공정 (박막형성 공정) (1) | 2022.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