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동향
- 견고한 고용지표 결과로 인한 경기 침체 이슈 완화에도 불구하고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인상 기조를 높였다는 점에서 방향성 없이 매물 소화과정을 보이며 보합권 혼조 마감.
- 장중 뉴욕 연은 총재를 비롯한 연준 위원들의 통화정책과 경제 전망 관련 발언이 지수의 방향성을 잃게 만들었으며, 본격적인 실적 시즌을 앞두고 관망세가 짙은 가운데 개별 종목 장세가 특징
- 다우: -0.15%, 나스닥: +0.12%, S&P500: -0.08%, 러셀2000: -0.01%
특이종목
- 테슬라: +2.54%
6월 한달 동안 중국에서 7만 8,906대의 자동차를 출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상승.
이는 지난 4월 상하이 봉쇄로 인한 공장이 멈췄을 때 1,500대 생산과 완화되었던 5월 3만 2,165대에 비해 엄청난 턴어라운드가 진행되었다는 점이 긍정적인 영향.
- 한편, 장 마감 후 일론 머스크 CEO는 트위터: -5.10% 인수를 철회한다고 발표하자 테슬라는 시간 외로 2%대 상승 중.
- 트위터는 전일 인수 철회 가능성 부각으로 장중 5% 하락에 이어 머스크의 발표로 시간외로도 5% 가까이 하락 중.
- 알파벳: +0.72%
7월 15일 장 마감 후 발효될 예정인 20:1 주식분할을 앞두고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전환 성공
- 미국과 캐나다가 캐나다 태양광 제품에 대한 관세 철폐를 체결했다는 소식에
- 썬파워: +7.09%, 솔라엣지: +2.88%, 캐나다 솔라: +2.65% 등이 강세를 보였으며 엔페이즈: +4.65% 도 상승.
- 모더나: +2.22%, 노바백스: +4.07%
가을에 추가적인 코로나 부스터샷 접종 기대가 높아지자 상승.
- 코스트코: +1,22%
6월 미국 국내 동일점포 매출이 전년 대비 21.5% 급증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강세.
- 반면, 페이팔: -2.15%
부진한 전자상거래 추세를 감안 핀테크 산업이 향후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며 투자의견이 하향 조정되자 하락.
- AI대출 플랫폼 회사인 업스타트: -19,71%
회사의 실망스러운 가이던스 발표로 급락
- 게임스톱: -4.87%
정리해고와 CFO 교체 소식에 하락
한국 증시 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 0.73% 상승
- MSCI 신흥 지수 ETF: 보합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 1,294.71원으로 반영시 달러/원 환율 7원 하락 출발 예상.
- Eurex KOSPI200 선물: 0.45% 상승. KOSPI 0.5% 내외 상승 출발 예상
출처: 미래에셋증권
밤부스 생각
- 가즈아 장
- 고용지표 높게 나왔는데 미국의 70%는 소비자 주머니에서 나오기 떄문에 고용지표가 중요. 결국 침체 위기는 많이 사그라든것.
- 유가, 곡물가 오르는데 최근에 빠진건 공급적 이슈로 빠진거고 오르는건 수요적 이슈라 이도 좋음.
- 만약 여기서 눌린다해도 다시 이지수위로 올라갈 수 있고 바닥잡기는 현실적 불가능하니 그냥 사놓고 기다리자.
'전일 해외 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7.13 (수) 전일 해외 증시 (0) | 2022.07.13 |
---|---|
22.07.12 (화) 전일 해외 증시 (0) | 2022.07.12 |
22.07.08 (금) 전일 해외 증시 (2) | 2022.07.08 |
22.07.07 (목) 전일 해외 증시 (2) | 2022.07.07 |
22.07.06 (수) 전일 해외 증시 (1) | 2022.07.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