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핀둬둬4

23.05.23 (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미 증시는 바이든의 긍정적인 부채한도 협상 관련 언급으로 상승하기도 했으나, - 장 중 펜타곤 근처에서 대규모 폭발이 발생했다는 루머로 하락 전환하기도 하는 등 불안 심리는 지속 - AI 관련 종목군의 강세 등으로 나스닥은 상승세를 유지한 가운데 장중 메카시 하원의장이 협상이 낙관적이지 못하다고 주장하자 재차 매물 출회되는 등 개별 뉴스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제한적인 등락. - 결국 미 증시는 장 마감 후 있을 부채한도 협상 결과를 기다리며 개별 종목 변하에 주목해 나스닥은 상승했으나 - 다우는 하락하는 혼조 마감 - 다우: -0.42%, 나스닥: +0.50%, S&P500: +0.02%, 러셀2000: +1.22% 특징 종목 - 마이크론: -2.85% 중국 정부가 보안을 이유로 제.. 2023. 5. 23.
23.03.28 (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퍼스트 시티즌스: +53.74% 가 실리콘밸리 은행 인수를 발표하자 지역 은행 우려가 완화되며 상승 출발 - 더불어 도이치뱅크: +4.71% 의 CDS 프리미엄이 크게 하락하는 등 안정을 찾은 점도 긍정적인 영향. - 그렇지만, AI가 범죄에 이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부각되자 관련 종목 중심으로 잠시 쉬어가는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나스닥이 하락 전환하는 등 개별 종목의 영향이 확대. - 결국 시장은 본격적인 실적 시즌을 앞두고 은행 리스크가 완화 불구 기술주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혼조 마감. - 다우: +0.60%, 나스닥: -0.47%, S%P500: +0.16%, 러셀2000: +1.08% 특이 종목 - 퍼스트 시티즌스: +53.74% 가 실리콘 밸리 은행을 할인된.. 2023. 3. 28.
22.12.19 (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선물옵션 만기일을 맞아 전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기도 했으나 - 경기 침체 우려로 낙폭 확대 - 특히 포드: -6.98% 가 비용 증가 등을 이유로 가격을 상향 조정하자 전기차 및 자동차 업종이 하락 주도. - 여기에 델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가 "시장이 인플레이션에 왤케 낙관적인지 모르겠다" 라고 언급하는등 매파적인 발언도 부담 - 다만, 장 마감 앞두고 1.6% 내외 하락을 뒤로하고 재차 반발 매수세 유입되며 낙폭 일부 축소하며 마감 - 다우 :-0.85%, 나스닥: -0.97%, S&P500: -1.11%, 러셀2000: -0.63% 특징 종목 - 메타 플랫폼: +2.82% JP모건이 그동안 하락하게 만들었던 애플의 개인정보 보호 변경, 틱톡과의 경쟁등이 2023년.. 2022. 12. 19.
22.11.29 (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중국의 코로나 확산과 시위 여파로 하락 출발한 가운데 이번 사태가 중국 정부의 코로나 제로 정책 변화 기대를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자 낙폭을 축소하기도 했음. - 그렇지만 애플: -2.63% 등의 생산 문제로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되자 낙폭이 확대 - 장 후반 불러드 총재의 매파적인 발언으로 변동성을 키우며 마감 - 특히 신용평가사 S&P가 미국의 내년 성장률을 -0.1%로 전망하자 중국 코로나 이슈와 함께 경기 침체 이슈를 자극한 점이 하락 요인으로 추정 - 다우: -1.45%, 나스닥: -1.58%, S&P500: -1.54%, 러셀2000: -2.05% 특이 종목 - 테슬라: +0.03% '하이랜드' 라는 명칭으로 제조 비용을 낮추고 전기차 매력을 높이기 위해 모델3 개편.. 2022. 1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