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애브비6

23.04.28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미 증시는 부진한 1분기 GDP 성장률 발표에도 불구하고 기업 실적에 주목하며 상승. - 특히 메타 플랫폼: +13.93% 이 광고 수익과 활성 고객수 증가 소식에 힘입어 급등하자 관련 대형 기술주가 동반 강세를 보이며 상승세를 더욱 확대. - 여기에 퍼스트 리퍼블릭: +8.79% 도 반등을 보여 지역은행 리스크 확대 우려가 완화된 점도 투자심리 개선 요인. - 이에 힘입어 대형 기술주의 급등 속 여타 종목군도 강세 - 다우: +1.57%, 나스닥: +2.43%, S&P500: +1.96%, 러셀2000: +1.20% 특징 종목 - 메타 플랫폼: +13.93% 광고 수익 증가와 활성 고객수 증가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한 긍정적인 발표에 급등. - 알파벳: +3.74%과 핀터레스트: +.. 2023. 4. 28.
23.02.10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전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와 기업실적 호전에 힘입어 상승 출발했으나 - 장중 차익실현 압력이 커지며 하락 전환 후 낙폭을 더욱 확대 - 최근 구글이 내놓은 인공지능 (AI) 바드의 정확성 논란이 지속되며 약세 흐름을 이어간 가운데, - 테슬라는 다양한 호재성 재료 영향으로 연초 저점대비 100% 이상 상승하며 - S&P500 기업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 - 이에 개인투자자들의 투자심리 개선이 전주대비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남. - 다만 최근 상승에 따른 증시 밸류에 대한 부담 증가와 연준위원들의 강도높은 발언 및 강력한 고용시장 영향으로 미 국채수익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며 차익실현 욕구 키움. - 또한 부채한도 관련 미 의회예산국의 경고도 투자심리에 부정적 영향 - 다우: .. 2023. 2. 10.
23.01.12 (목)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6개월 연속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 부각되자 상승. - 이는 국채 금리 하락으로 이어져 호재성 재료가 유입된 일부 대형 기술주의 강세를 견인 - 이에 나스닥이 2% 가까이 상승. - 여기에 장 후반 콜린스 총재가 25bp 인상을 기대한다고 언급 후 국채 금리 하락폭이 확대된 점도 영향 - 다만, 물가 하락은 많은 부분 선반영되었다는 점에서 여전히 경계감은 이어져. - 일부 종목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는 등 종목 이슈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종목장세도 특징. - 다우: +0.80%, 나스닥: +1.76%, S&P500: +1.28%, 러셀2000: +1.17% 특징 종목 - 아마존: +5.81% 코웬이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했으나, 매수 의견은 유지했다.. 2023. 1. 12.
22.10.31 (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부진한 아마존: -6.80% 실적 발표로 대형 기술주가 약세를 보이며 보합권 혼조 출발. - 그렇지만, 아마존은 물론 애플: +7.55%의 CEO 등이 달러 강세가 실적에 막대한 영향을 줬을 뿐 이를 제외한다면 크게 개선되었다고 발표한 데 힘입어 상승 확대. - 특히 시장 참여자들은 연준의 금리인상이 마무리되고 있어 달러 강세가 지속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점이 관련 발언과 함께 투자 심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 - 다우: +2.59%, 나스닥: +2.78%, S&P500: +2.46%, 러셀2000: +2.25% 특이 종목 - 애플: +7.55% 실적 발표 후 환율 이슈가 없었다면 두 자릿수 성장을 했을 것이라는 팀 쿡 CEO의 발언에 힘입어 상승. - 더불어 일부 주요 품목의 매출 .. 2022.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