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플랫폼15 22.07.28 (목)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동향 - 부진한 실적을 발표한 MS: +6.69% 와 알파벳: +7.66%이 과도한 선반영과 핵심 사업인 클라우드 부문의 성장 기대에 힘입어 강세를 보이자 여타 기술주 및 반도체 업종 중심으로 상승 - 그런 가운데 연준이 FOMC 를 통해 75bp 금리인상을 단행했으나 많은 부분 반영이 되었다는 평가 속 상승 지속. - 여기에 파월 연준 의장이 향후 제한적인 금리인상을 할 수 있다며 덜 매파적인 발언을 하자 상승폭 확대 - 다우: +1.37%, 나스닥: +4.06%, S&P500: +2.62%, 러셀2000: +2.39% 특이 종목 - MS: +6.69%와 알파벳: +7.66% 부진한 실적 발표 불구 많은 부분 선반영이 되었다는 평가 속 클라우드 관련 성장 기대로 강세. - 이에 힘입어 아마존:.. 2022. 7. 28. 22.07.25 (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경제 지표 둔화에 따른 '경기 침체' 이슈가 부각된 가운데 - 스냅: -39.08%과 씨게이트: -8.11%의 영향으로 대형 기술주 및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할가. - 그렇지만, FOMC 와 대형 기술주 실적 발표를 앞두고 우려와 기대 심리가 부각된 가운데 반발 매수세도 여전히 진행 되 장 후반 낙폭을 일부 축소. - 특히 장 후반 달러화 약세의 견고한 실적을 발표한 일부 헬스케어 및 경기 방어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된 점도 특징. - 다우: -0.43%, 나스닥: -1.87%, S&P500: -0.93%, 러셀2000: -1.62% 특이 종목 - 스냅: -39.08% 실적 발표이후 많은 경쟁과 광고 산업에 대한 우려에 직면해 있다는 점이 부각되며 - 오펜하이머를 비롯한 많은 투자.. 2022. 7. 25. 22.07.20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과도한 하락을 감안한 반발 매수 심리가 높아진 가운데 러시아 천연가스 공급 재개 기대가 부각되자 본격적인 상승. - 특히 관련 이슈로 달러 대비 강세를 보인 가운데 '경기 침체' 우려가 완화된 점이 긍정적인 영향. - 여기에 개인 소비 등을 감안 경기 침체 이슈는 과도 했다는 소식도 영향. - 이에 힘입어 그동안 하락을 주도했던 반도체와 소프트웨어를 비롯한 기술주는 물론 여행, 레저, 항공, 금융, 산업재 등 대부분 업종이 상승. - 다우: +2.43%, 나스닥: +3.11%, s&P500: +2.76%, 러셀 2000: +3.50% 특이 종목 - 러시아 가스 공급 재개 소식은 유럽 경기에 대한 우려를 완화. -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협약 소식도 영향을 주자 - 부킹닷컴: +5.52%.. 2022. 7. 20. 22.07.06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영국 BOE가 금융안정 보고서를 통해 우크라이나 사태로 영국과 세계 경제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주장하자 '경기 침체' 이슈로 2% 내외 하락 출발. - 여기에 독일 등 유로존의 경기침체 우려로 유로화가 급락한 점도 투자 심리 위축 요인. - 다만, 최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휴전 기대가 높아지고, 기술주 특히 클라우드 관련 긍정적인 소식에 힘입어 관련 종목이 강세를 보이자 나스닥은 상승 전환후 상승폭 확대 - 다우: -0.42%, 나스닥: +1.75%, S&P500: +0.16%, 러셀2000: +0.79% 특이종목 - 엔비디아; +3.04% 메타플랫폼 : +5.10% 이 데이터센터에 사용되는 GPU를 5배 늘리기를 원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상승. - AMD: +2.08% 도 동반 .. 2022. 7. 6.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