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9

23.05.22 (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미 증시는 옵션만기일을 맞아 부채 한도 협상에 대한 불안 심리가 유입되며 하락. - 반면, 파월 연준의장이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목표보다 훨씬 높다고 경고했으나, 지표를 좀더 지켜보려고 한다며 금리 동결을 시사한 점은 긍정적인 영향. - 이렇듯 부채 한도 협상에 대한 불안과 연준 정책의 변화 기대가 충돌해 시장은 종목 차별화 속 제한적인 등락. - 특히 최근 상승이 컸던 반도체와 소비 관련 종목이 하락했으나 에너지와 제약업종이 강세를 보인 점이 특징 - 다우: -0.33%, 나스닥: -0.24%, S&P500: -0.14%, 러셀2000: -0.62% 특징 종목 - 풋 락커: -27.24% 전일 장 마감 후 부진한 실적과 가이던스 발표로 급락. - 이 여파로 나이키: -3.46% 도 하.. 2023. 5. 22.
23.05.19 (금) 금일 국내 시황 정리 - KOSPI: 2,537.79 (DD: +0.89%) - KOSDAQ: 841.72 (DD: +0.70%) 시장 분위기 - 전일 미국 엔비디아 젠슨 황 CEO가 CNBC에 출연해 AI 산업 관련 발언 을 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음. "이전 계산 방법을 기반으로 1조 달러 상당의 데이터 센터 인프라가 설치돼 있지만, AI를 통해 인프라 설치가 더욱 가속화 할 것이다" 위와 같이 강조했고, 그에 따라 미국의 반도체, 클라우드 관련 종목군 강세를 보임. - 반도체 역사의 성장요인이 PC, 모바일, 서버 였다면. 현재 서버에 관한 수요가 엄청 늘 수 있다는 얘기 이기 때문에 이는 시장에 가뭄의 단비가 돼 준 것으로 판단. 이 타이밍에 DDR5 관련 좋은 레포트들이 나오며 IT 산업 금일 급등. 산업별로 .. 2023. 5. 19.
23.05.19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미 증시는 부채 한도 합의 기대에도 경기에 대한 우려 속 다우지수가 장 중 한 때 하락 전환. - 그러나 나스닥은 엔비디아: +4.97% 가 신제품 발표 및 젠슨 황 CEO발언에 힘입어 강세를 보이자 상승하는 차별화가 진행. - 특히 젠슨 황의 AI 산업에 대한 발언 등으로 AI 관련된 대형 기술주와 반도체 업종이 상승 주도. - 물론, 매파적인 연준위원들의 발언과 경기 침체 우려로 매물이 출회되기도 했으나 기술주의 강세가 전일에 이어 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고, 장 후반 옵션만기일을 앞두고 수급적인 요인으로 상승 확대하며 마감. - 다우: +0.34%, 나스닥: +1.51%, S&P500: +0.94%, 러셀2000: +0.58% 특징 종목 - 엔비디아: +4.97% 신제품 발표와.. 2023. 5. 19.
23.05.18 (목) 금일 국내 시황 정리 - KOSPI: 2,515.40 (DD: +0.83%) - KOSDAQ: 835.89 (DD: +0.20%) 시장 분위기 - 전일 미국 시장이 부채한도 협상 관련 타결 얘기가 있으며 상승했고, 금일 국내 시장도 함께 상승. - 산업별로는 대부분의 산업이 상승했으며 특히 반도체, 디스플레이, PCB, 건설기계, 건설, 건자재, 자동차, 로봇, 방산, 상사, 임플란트, 산업이 상승을 주도, - 인터넷, 게임, 엔터, 드라마제작사, 항공, 여행, 화장품, 의류, 음식료, 바이오, 시멘트 산업이 하락. 산업별 상황 1. 먼저 화장품 산업에 대해 최근 해본 생각을 얘기하고 싶음. 일단 현재 화장품 분류는 1) 아모레퍼시픽, 코스맥스 2) 에이블씨엔씨, 토니모리 3) 클리오 4) 잉글우드랩, 코스메카코리아 5) 아.. 2023. 5.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