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29 22.05.11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최근 급락과 중국의 적극적인 부양정책에 힘입어 나스닥 중심으로 상승 출발 - 그러나 연준 위원들의 발언으로 공격적인 긴축 정책이 부각되고 경제 성장 둔화를 이유로 재차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전환. - 바이든 대통령 기자회견에서 인플레 관련 새로운 내용은 없었찌만 중국에 대한 관세 철회를 언급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을 시사 했고 인플레이션 피크 기대로 투자 심리가 개선되자 기술주 중심으로 재차 상승 - 다우: -0.26%, 나스닥: +0.98%, S&P500 +0.25%, 러셀2000 -0.02% 특이종목: - 엔비디아 +3.81%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회사인 넷앱 (+2.38%) 이 인공지능 데이터 센터를 위해 엔비디아와 협력한다는 발표로 상승. - ASML: +2.09% (5억달러 규.. 2022. 5. 11. 22.05.10 (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중국의 경제 봉쇄 확대에 따른 공급망 불안과 그 여파로 경기 둔화 이슈가 부각되자 하락 출발. - 인플레이션 피크아웃을 보여주는 경제지표들의 발표로 국채 금리가 하락 했음에도 여전히 시장은 연준에 대한 신뢰 부족과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속 매물 출회. - 특히 그동안 상승하던 에너지 업종이 급락한 가운데 반도체, 대형 기술주 등도 약세를 보여 나스닥이 4% 대 하락 마감. - 다우: -1.99%, 나스닥: -4.29%, s&p500 -3.20%, 러셀2000 -4.21% 특이종목 - 엑슨모빌: -7.89% - 코노코필립스: -9.74% - 셰브론: -6.70% 등 에너지 업종은 사우디의 아시아 수출 물량 가격 인하와 중국 봉쇄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로 국제유가가 급락하자 큰 폭 하락... 2022. 5. 10. 22.05.09 (월) 전일 해외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견고한 고용지표 발표에도 불구하고 전일 급락에 따른 불안 심리가 지속되며 하락 - 특히 국채 금리가 안정을 보이자 상승 전환에 성공하기도 했지만 오후 들어 10년물 국채 금리가 일부 수급적인 요인 등에 의해 상승폭을 확대하자 재차 하락하는 등 변동성 지속. - 한편, 에너지 업종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일부 소매판매, 바이오, 소프트웨어 업종 등 기술주가 부진을 보이는 등 업종 차별화도 특징 - 다우: -0.30%, 나스닥: -1.40%, S&P500 -0.57%, 러셀2000 -1.69% 특이종목 - 언더아머 (-23.79%): 부진한 실적과 공급망 불안이 매출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을 발표한 이후 급락. - 나이키: -3.49%, 로스스토어 -3.65%, TJX -2.11%, V.. 2022. 5. 9. 22.05.06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FOMC 이후 급등 했으나, 오늘은 되돌림이 유입되며 하락 출발 - 특히 중국 기업 상장 폐지 이슈, 아마존 (-7.56%) 등 전자상거래 업종의 급락 - 영국 BOE 총재의 급격한 경기 둔화 관련 우려 표명으로 낙폭 확대 - 파월 연준 의장이 75bp 금리인상 배제했으나, 시장은 75bp 인상 확률을 상향 조정. - 이 여파로 국채 금리가 급등하여 반도체 및 소프트웨어 등 기술주 중심으로 낙폭 확대하며 나스닥 5% 급락 - 다우: -3.12%, 나스닥: -4.99% , S&P500 -3.56%, 러셀2000 -4.04% 특이종목 - 아마존: -7.56% 마스터카드가 발표한 보고서에 4월 전자상거래 부문이 전년 대비 1.8% 감소했다고 발표하자 급락 - 웨이페어 : -25.68%, 쇼.. 2022. 5. 6. 이전 1 ··· 119 120 121 122 123 124 125 ··· 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