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동향
- 중국의 경제 봉쇄 확대에 따른 공급망 불안과 그 여파로 경기 둔화 이슈가 부각되자 하락 출발.
- 인플레이션 피크아웃을 보여주는 경제지표들의 발표로 국채 금리가 하락 했음에도 여전히 시장은 연준에 대한 신뢰 부족과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속 매물 출회.
- 특히 그동안 상승하던 에너지 업종이 급락한 가운데 반도체, 대형 기술주 등도 약세를 보여 나스닥이 4% 대 하락 마감.
- 다우: -1.99%, 나스닥: -4.29%, s&p500 -3.20%, 러셀2000 -4.21%
특이종목
- 엑슨모빌: -7.89%
- 코노코필립스: -9.74%
- 셰브론: -6.70%
등 에너지 업종은 사우디의 아시아 수출 물량 가격 인하와 중국 봉쇄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로 국제유가가 급락하자 큰 폭 하락.
-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로 철강 및 비철금속의 낙폭이 확대되자
- 뉴코 :-4.77%
- us스틸: -4.85%
- 프리포트 맥모란: -6.23%
등 하락.
미국 파종 면적 증가 가능성 부각 속 곡물 가격 하락하자
- CF -8.96%
- 모자이크: -12.79% 등 농산물 관련 기업들 부진
- 리비안: -20.88%
보호예수 끝나자 포드 (-5.91%)와 JP모건의 지분 매각 소식에 급락.
- 또 다른 주주인 아마존 (-5.21%)도 이 여파로 하락.
- 엔비디아: -9.24%
- AMD: -9.52%
- 세일즈포스: -3.59%
- 인튜이트: -7.25%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인상과 비트코인 금락 여파로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 테슬라: -9.07%
- 코인베이스: -19.05%
- 마이크로스트래티지: -25.55%
- 블록: -12.82%
등 관련주도 동반 급락
- 월마트: +1.17%
- 코스트코: -0.90%
- 타겟: -0.45%
등 소매 유통업종은 물론
- 켈로그: +2.47%
- 킴벌리클락: +1.99%
- P&G -0.25%
등 필수 소비재 견고한 모습 보임
한국 증시 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 3.21% 하락
- MSCI 신흥 지수 ETF: 2.88% 하락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 1,276.62원으로 반영시 달러/원 환율은 2원 상승 출발 예상
- Eurex KOSPI200 선물: 0.90% 하락 코스피 1% 하락 출발 예상
출처: 미래에셋증권
밤부스 생각
- 시장은 급락하고 신뢰를 잃었다고 하나 과대 낙폭.
- 유동성 축소 장이라 다시 급등장은 당연히 어려우나
- 낙폭분 회복은 금방 올 듯.
- 사자
'전일 해외 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5.12 (목) 전일 해외증시 (2) | 2022.05.12 |
---|---|
22.05.11 (수) 전일 해외 증시 (0) | 2022.05.11 |
22.05.09 (월) 전일 해외증시 (0) | 2022.05.09 |
22.05.06 (금) 전일 해외 증시 (0) | 2022.05.06 |
22.05.04 (수) 전일 해외 증시 (1) | 2022.05.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