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일 해외 증시

23.03.06 (월) 전일 해외 증시

by 밤부스투자 2023. 3. 6.
반응형

미국 증시 동향

- 미 증시는 애플: +3.51% 과 메타: +6.14% 가 호재성 재료로 강세를 보이자 상승 출발한 가운데 미 국채 금리가 하락폭을 확대한 점도 긍정적.

- 금리 하락은 연준이 통화정책 보고서를 통해 50bp 이상의 금리인상에 대해 부정적인 발표를 한 데 이어 ISM 서비스업 지수의 물가지수는 둔화. 

- 유로존 생산자물가지수 하락, 덜 매파적인 연준 위원들의 발언 등에 힘입은 결과. 

- 이러한 내용으로 달러화가 약세를 보였고 국채 금리도 하락하자 호재가 유입된 AI, 전기차 등 기술주가 상승을 주도

- 다우: +1.17%, 나스닥: +1.97%, S&P500: +1.61%, 러셀2000: +1.35%

 

특이종목

- 애플: +3.51%

 모건스탠리가 아이폰 수요 증가, 서비스 부문 성장 가속화, 신제품 출시, 총마진, 잠재적인 아이폰 구매 등을 이유로 목표주가를 175달러에서 180달러로 상향 조정한 데 힘입어 상승.

- 스카이웍; +1.77%, 쿼보: +1.44% 등 애플 부품주들도 동반 상승.

- 브로드컴: +5.70%

 견고한 실적과 가이던스도 견고할 것이라고 발표하자 급등.

- 퍼스트솔라: +6.00%

 UBS가 투자의견을 매수로, 목표주가를 140달러에서 250달러로 상향 조정하자 급등.

 

- 메타 플랫폼: +6.14%

 바클레이즈가 AI 관련 주요 종목 중 하나라고 발표한 데 힘입어 상승.

- 바클레이즈는 엔비디아: +2.47%, 아리스타 네트웍: +3.00%, 깃랩: +4.56%, 스프라웃: +4.50%, 바이두: +2.15%, 아이언 마운틴: +3.49% 등도 관련 종목으로 발표.

- 관련해 MS: +1.67%, 알파벳: +1.85%, 아마존: +3.01% 등도 동반 상승했으며 C3 AI: 33.65% 도 급등.

 

- 테슬라: +3.61%

 네바다주가 3억 3천만달러 세금 감면 승인했다는 소식과 2월 중국 판매량이 전월 대비 13%, 전년 대비 32% 증가한 데 힘입어 상승.

- 니오: +5.28%, 샤오펑: +3.11% 등은 물론 리비안: +7.63%, 루시드: +4.81% 등도 동반 상승.

- 포드: +4.22% 2월에 판매량이 22% 증가했다는 소식과 판매 부진에 벗어나기 시작함에 따라 올해 생산을 늘릴 예정이며 그중 절반은 전기차라고 발표하자 급등.

- 오토데이터에 따르면 작년에 미국 자동차 판매는 8% 감소한 1,400만대를 약간 밑돌았으나 올해는, 1,500만대로 증가할 것이라고 발표. GM: +3.74% 도 강세

 

주요 경제 지표

미국 2월 ISM 서비스업지수

- 지난달 발표된 55.2 를 소폭 하회한 55.1로 발표됐으나, 예상치인 54.5보다는 개선돼 견조한 흐름이 지속.

- 세부항목을 보면 신규주문이 60.4에서 62.6으로 개선됐으나 가격지수가 67.8에서 65.6으로 , 생산지수가 60.4에서 56.3으로 위축.

 

국제 유가

- 증산을 요구해오던 아랍에미리트가 OPEC을 탈퇴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3% 하락하기도 했으나, 과거에도 관련 발표가 이어져 왔던점을 감안 되돌림이 유입되었으며,

- 중국의 전인대 기대와 달러 약세 등으로 결국 상승 전환하며 마감.

- 미국 천연가스가 급등했는데 이는 미국 LNG 수출 급증과 난방 수요 증가 전망 등에 힘입은 결과로 추정.

 

- 달러 약세에 힘입어 상승

- 구리 및 비철금속은 중국 전인대 기대 속 달러 약세에 기대 강세.

 

한국 증시 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 2.09% 상승

- MSCI 신흥 지수 ETF: 0.89% 상승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 1,294.17원으로 반영시 달러/원 환율 8원 하락 출발 예상

- Eurex KOSPI200 선물: 0.92% 상승. KOSPI: 1% 내외 상승 출발 예상

글로벌 지수
주요 ETF, 섹터지수
주요 원자재

 

출처: 미래에셋증권

 

 

밤부스 생각

- 2차전지 장비주쪽으로 수급 몰릴것같다. 에코프로 상승 부담감이 결국 장비주로 올 듯.

- 엘앤에프쪽으로 갈 가능성도 농후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