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일 해외 증시

23.02.16 전일 해외 증시

by 밤부스투자 2023. 2. 16.
반응형

미국 증시 동향

- 장 시각 전 발표된 소매판매, 뉴욕주제조업지수, 산업생산 등 주요 실물경제지표들의 호조 속에 연준의 추가 긴축 우려를 키우며 달러와 국채수익률이 상승하는 등 초반 약세를 보임.

- 그러나 미국 경제가 지금과 같은 금융환경에 잘 적응하고 있다는 점과 커진 경제에 대한 자신감으로 장중 매수세가 유입되며 낙폭 축소.

- 여기에 여행, 게임 등 소비자 경험을 대표하는 기업들의 실적 호전과 긍정적인 가이던스도 투자 심리 개선에 기여.

 

- 다우: +0.11%, 나스닥: +0.92%, S&P500: +0.28%, 러셀2000: +1.09%

 

특이 종목

- 코로나 펜데믹의 영향에서 점차 벗어나면서 그동안 위축되었던 소비자의 강한 여행수요가 관련 기업들의 실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일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에어비앤비: +13.4% 는 전세계적으로 해외 도시를 찾는 관광객의 수가 증가했다면서 4분기 순이익이 1년 전 대비 약 6배 가까이 증가.

 

- 트립어드바이저: +0.3%  역시 패키지 휴가에 대한 강력한 수요로 4분기 수익이 전년대비 47% 증가했다는 소식에 강세.

- 유럽의 대표적인 여행사인 투이(TUI) 역시 전일 예상을 상회한 실적과 긍정적 가이던스 전망으로 강세

- 이는 소비자들의 소비행태가 제품에서 '경험'으로 전환하고 있다는 증거로 향후 관련 산업 및 기업에 대한 긍정적 전망이 줄이음.

- 로블록스: +26.4%

 시장 예상을 상회한 실적일일 평균 활성 사용자가 전년대비 19% 증가했다는 소식에 급등.

 

- 다만, 데본에너지: -10.5% 는 어닝 쇼크를 기록하며 급락.

- 주가는 지난 해 9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

- 전일 공개한 버크셔해서웨이의 투자 포트폴리오 (Form-13F)에 따르면 몇달전 41억 달러 상당의 TSMC : -5.3% 지분을 매수한 것과 달리 85% 이상의 지분을 청산한 것으로 나타남.

- 이외 액티비전 블리자드: +1.2% 와 뉴욕멜론은행: +0.1% 에 대한 보유 비중 축소.

- 반면 파라마운트글로벌: +9.3% 에 대한 지분은 증가

 

주요 경제 지표

- 1월 소매판매: mom: 3% 증가. 2021년 3월 이후 가장 큰 월간 증가율을 기록.

- 자동차를 제외한 핵심소매판매도 2.3% 증가. 

- 1월 소매판매 강세의 원인자동차 판매가 11월 -2.2%, 12월 -1.8% 감소한 후 5.9% 급증했기 때문.

- 주유소 판매는 지난 6개월 중 5개월 동안 급격하게 하락한 후 지난 달 안정세 유지.

- 특히 소매점 및 백화점 등 일반상품과 온라인 판매, 음식료에 대한 소매판매가 급증하는 등 전 부문에서 고른 소비개선이 나타남.

- 특히 애틀란타 연은에서 추정하는 1분기 GDP 성장률은 직전 2.2% 에서 2.4%로 0.2% 포인트 상향됐는데, 소매판매 증가 기여율이 2.06% 에서 2.46% 로 증가.

- 또한 거주투자는 소폭 개선된 반면 민간재고투자는 크게 악화.

 

- 1월 산업생산: 지난 11월, 12월 두달 연속 위축에서 개선된 안정세 유지.

- 항목별로는 자동차와 가전제품, 의류 등이 직전대비 크게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고 에너지가 크게 둔화.

- 공장 가동률은 78.3% (이전 78.8% 예상 79.1%) 를 기록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유틸리티 가동률이 76.4% 에서 68.6% 로 급감한 영향이 큼.

 

국제 유가

- 미 원유재고가 시장 예상 (+200만 배럴)과 직전 (242.3만배럴0 수치를 크게 상화핸 1,628.3만 배럴 증가햇다는 소식에 상승 출발했으나 달러 강세 영향으로 상승폭을 축소하고 하락 전환.

- 그러나 전날 OPEC 원유시장보고서에 이어 국제에너지기구 IEA가 내놓은 원유시장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세계 석유 수요는 이전 대비 2백만b에 증가한 1억 190만bpd가 될 것으로 예쌍.

- 특히 중국 경제재개가 본격화하면서 올해 석유 증가분 중 90만bpd(45%)는 중국 수요가 될 것으로 전망.

- 특히 수급과 관련해 올 상반기까지는 공급이 수요를 초과해 가격 하락 압력이 크겠지만, 점차 수요가 회복하고 일부 러시아 생산이 중단된다면 수급을 빠르게 공급부족으로 바뀔수 있다고 경고.

 

한국 증시 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 -2.93%

- MSCI 신흥 지수 ETF: -0.96%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 1,283.99원으로 반영시 달러/원 환율 1원 상승 출발 예상.

- Eurex KOSPI200 선물: 0.23% 상승. KOSPI: 0.3% 내외 상승 출발할 것으로 예상.

글로벌 지수
주요 ETF, 섹터지수
원자재

밤부스 생각

- 아, 미국시장 조정 한번 오고가야하는데

- 미국 시장 너무 견조하게 간다.

- 짧은기간의 급락 한번 나와주고 가야 더 건강한데

- 이러면 긴축 길어진다. 연준도 안좋은얘기 계속꺼낼거고

- 일단 우리시장은 계속 가자.

 

 

반응형

댓글